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Article Detail

The color stability of the flowable resin and effect of surface glazing resin

Abstract

콤포짓트 레진이 심미적인 수복재료로 1940년대 소개된 이후 개선된 콤포짓트 레진의 지속적인 개 발이 있었다. 최근 수복용 콤포짓트 레진은 임상에 서의 사용 편리성과 균일한 임상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조작성 향상을 추구 하고 있는데 유동성 콤포 짓트 레진과 구치부를 위한 응축성 콤포짓트 레진 이 이에 속한다. 1996년 최초로 소개된 유동성 콤포짓트 레진은 혼합형 콤포짓트 레진이나 구치부 응축성 콤포짓트 레진에 비해 점도가 낮은 콤포짓트 레진으로 1.0㎛ 내외의 필러입자를 가지며 필러 함량은 소와 열구 전색제(pit and fissure sealant)와 미세 입자형 콤 포짓트 레진보다 많고 혼합형 콤포짓트 레진이나 구치부 응축성 콤포짓트 레진보다 적은편인 50- 70wt% 정도로 레진기질(matrix)을 더 많이 포함 하고 있다1). 유동성 콤포짓트 레진은 필러입자 평 균 크기 0.7㎛ 정도의 미세혼합형 콤포짓트 레진이 어서 표면 활택도가 우수하여 심미성이 높다고 보 고되었고, 또한 낮은 탄성계수 로 인해 치아에 가 해지는 응력을 흡수 하거나 분산시켜 치아가 휠 때 탈락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2,3). 최근 임상에서는 유동성 콤포짓트 레진이 기존의 콤포짓트 레진보다 높은 흐름성과 우식 와동의 내 벽과의 우수한 적합성, 쉬운 접근성, 높은 탄성을 가진 특성으로 인해 이장재나 3급 와동 및 5급 와 동 수복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제조사들은 수복용 외에 이장재, 아말감 변연, 콤포짓트 레진과 금관변연, 도재 수복물 보수 및 tunnel 와동수복, 소와 열구 전색제로 사용을 추천하고 있다. 3급 및 5급 와동은 심미성이 요구되는 수복부위로 수복물 의 색변화, 미적 부조화, 색소 침착에 큰 영향을 받 으므로 심미성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콤포짓트 레진의 색변화에는 내재성 변화와 외재 성 변화가 있는데 외재성 색소 변화는 커피나 홍차, 니코틴, 음료수 같은 외부에서 기인한 요소에 의한 오염으로 색소가 부착 또는 침투하여 발생한 변색 을 말한다. Rueggeberg와 Margeson4)은 콤포짓트 레진의 표면이 산소 미 중합층 (Oxygen Inhibition layer)과 기포에 의해 착색이 유도된다고 보고하였 는데 모든 레진은 중합과정에서 10-15㎛ 두께의 산 소 미 중합층이 형성되며 이 표면은 지저분하고 끈 적이는 층으로 제거되어야 이물질의 오염을 막을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끈적끈적한 산소 미 중 합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개발된 surface glazing resin은 제조사에 의하면 빠른 중합을 위해 단량체 를 methacrylate 대신 acrylate를 사용하고 매우 빠 른 광중합 개시제와 다량의 free radical을 발생시 켜 공기속의 산소가 레진 내 radical을 고갈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끈적끈적한 산소 미 중합층 발생을 억제해 광택 나는 부드러운 표면을 획득 할 수 있 어 표면 착색 방지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Doray 등5)은 surface glazing resin이 완전하게 중합된 표 면을 제공하고 표면의 기포를 줄여줌으로 인해 색 소침착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다. 콤포짓트 레진 성질 중 색 안정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어 왔는데 UM6)은 레진의 색 변화가 커 피나 홍차 음료 같은 외부 착색 요소의 부착이나 흡수로 인해 발생 된다고 보고 하였으며 Stober 등 7)은 UV, Mouth rinse, 홍차, 커피, 적포도주, 0.1% turmeric solution, deionized water하에서 미세혼합 형 콤포짓트 레진의 변색을 관찰하였으며 Nur 등8) 은 차, 커피, 와인등이 치아의 법랑질과 Acrylic resin에 심각한 변색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 하였 다. 본 연구에서는 3종의 유동성 콤포짓트 레진과 1 종의 전구치 겸용 콤포짓트 레진으로 시편을 제작 하여 surface glazing resin으로 glazing한 군과 기 계적으로만 연마한 군으로 나누어 커피믹스 용액과 녹차 용액에 185시간(약 8일)동안 침전시킨 후 분 광 광도계를 이용해 색조의 차이를 측정하였다. 유 동성 콤포짓트 레진의 색 안정성과 surface glazing resin이 콤포짓트 레진의 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으며 surface glazing resin이 콤포짓트 레진의 색 변화에 유의성 있는 결과를 주 지 않을 것이라는 귀무가설(null hypothesis)을 채 택하였다.

keywords
Flowable composite resin, Spectrophotometer, Surface glazing resin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