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0376-4672
상악 구치부는 구강 내에서 가장 흔한 결손부위로,이 부위의 부족한 치조골은 종종 임플란트 식립의 장애요소로 작용한다. 즉, 상악동의 함기화 또는 발치후 치조골의 수직적 높이와 폭경의 감소 등의 이유로가용골의 양이 적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악 구치부임플란트 식립의 난이도가 높이지게 된다1).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골의 수직적 높이를 증가시키는 상악동 거상술과 골의 너비를 증가시키는 골편 이식술(Onlay bone graft)등이 이용되어 왔다2~4). 상악동 거상술은 1976년 Tatum4)이 처음 외측 상악동 이식술을 소개한 뒤,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연구되어 왔다. 이 중외측창 접근법(lateral window approach)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 및 골이식술은 심하게 위축된 상악구치부에 대한 처치방법으로 높은 성공율을 보였으며,현재까지 예견성 있는 술식으로 인정받고 있다5).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할 때 사용할 골이식재의 선택은 임상가에게 있어서 고민이 되는 부분이다. 골이식재로서 자가골은 골형성능 및 골유도능을 갖춘 최상의이식재로 평가받지만, 상악동에 적용 시 빠른 흡수 양상을 보인다6). Johansson 등7)에 따르면 상악동 거상술 시 자가골을 사용하고 장기간 관찰한 결과, 합성골에 비해 흡수가 빨라서 결과적으로 임플란트 매식체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자가골을 사용할 경우 자가골 채득을 위한 제2의 수술이 필요한 점, 구강 내에서 충분한 양의 자가골을 얻기 어려운 점 등이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다8). 아울러 최근합성골의 사용만으로도 자가골과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는 보고가 있어, 최근엔 상악동 골이식재로 합성골의 사용이 대두되는 추세이다. 현재 사용되는 합성골은 HA, β-TCP, HA와 β-TCP의 혼합물, 흡수성 혹은 비흡수성 중합체,bioactive glass, calcium sulfate 등이 있고 최근에는 HA와 β-TCP의 혼합한 골대체 물질에 대한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9). HA는 신생골이 형성될 수있는 골격을 제공해줄 수 있지만 골재생 능력에 있어서는 평가가 부정적이었던 반면, β-TCP는 치아주위골 결손부에서 신생골 형성능력이 있음이 증명되었으나 흡수속도와 양상에서는 예견성이 낮았다10~11). 이러한 관점에서 안정성이 높은 HA와 생물학적 활성도가높은 β-TCP를 혼합하여 골이식재로 사용할 경우 합성골의 흡수와 신생골의 형성에 있어서 균형을 맞출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12~13). 이중 HA와 β-TCP가70:30의 비율로 혼합하여 상품화 한 것이 Osteon®(Dentium, Seoul, Korea)이며, 이는 다공성 구조로 신생골의 성장 및 석회화를 용이하게 한다14). 김 등14)은 Osteon을 사용하여 사람에서 상악동거상술을 시행한 뒤 3.5, 4.5, 6.5개월 후에 상악동측방에서 골시편을 채취하여 조직학적 관찰을 한 결과, 잔존 이식재 사이에 활발한 신생골의 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연구 에서는 Osteon을 단독으로 적용하여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보철물 장착 후 6개월의 재내원 기간을 두고 그 부위에 식립된 임플란트를관찰하여 임상적, 방사선 계측학적 방법을 통해 그 부위의 생존율과 골흡수율을 조사하였다.
1. Smiler DG, Johnson PW, Lozada JL, et al. Sinus lift grafts and endosseous implants. Treatment of the atrophic posterior maxilla. Dent Clin North Am 1992;36:151-86; discussion 187-8.
2. Boyne PJ, James RA. Grafting of the maxillary sinus floor with autogenous marrow and bone. J Oral Surg 1980;38:613-6.
3. Summers RB. A new concept in maxillary implant surgery: the osteotome technique. Compendium 1994;15:152, 154-6, 158 passim; quiz 162.
4. Tatum H, Jr. Maxillary and sinus implant reconstructions. Dent Clin North Am 1986;30:207-29.
5. Buchmann R, Khoury F, Faust C, Lange DE. Periimplant conditions in periodontally compromised patients following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A long-term post-therapy trial. Clin Oral Implants Res 1999;10:103- 10.
6. Misch CE, Dietsh F. Bone-grafting materials in implant dentistry. Implant Dent 1993;2:158-67.
7. Johansson B, Grepe A, Wannfors K, Hirsch JM. A clinical study of changes in the volume of bone grafts in the atrophic maxilla. Dentomaxillofac Radiol 2001;30:157-61.
8. Hallman M, Hedin M, Sennerby L, Lundgren S. A prospective 1-year clinical and radiographic study of implants placed after maxillary sinus floor augmentation with bovine hydroxyapatite and autogenous bone. J Oral Maxillofac Surg 2002;60:277-84; discussion 285-6.
9. Daculsi G, LeGeros RZ, Nery E, et al. Transformation of biphasic calcium phosphate ceramics in vivo: ultrastructur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J Biomed Mater Res 1989;23:883-94.
10. Gauthier O, Bouler JM, Aguado E, et al. 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 ceramics: influence of macropore diameter and macroporosity percentage on bone ingrowth. Biomaterials 1998;19:133-9.
11. Karabuda C, Ozdemir O, Tosun T, et al. Histological and clinical evaluation of 3 different grafting materials for sinus lifting procedure based on 8 cases. J Periodontol 2001;72:1436-42.
12. Nery EB, LeGeros RZ, Lynch KL, Lee K. Tissue response to biphasic calcium phosphate ceramic with different ratios of HA/beta TCP in periodontal osseous defects. J Periodontol 1992;63:729-35.
13. Yamada S, Heymann D, Bouler JM, Daculsi G. Osteoclastic resorption of biphasic calcium phosphate ceramic in vitro. J Biomed Mater Res 1997;37:346-52.
14. Kim YK, Yun PY, Lim SC, et al. Clinical evaluations of OSTEON as a new alloplastic material in sinus bone grafting and its effect on bone healing. J Biomed Mater Res B Appl Biomater 2008;86:270-7.
15. Zitzmann NU, Scharer P. Sinus elevation procedures in the resorbed posterior maxilla. Comparison of the crestal and lateral approach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998;85:8-17.
16. Zarb GA, Zarb FL. Tissue integrated dental prostheses. Quintessence Int 1985;16:39-42.
17. Buser D, Weber HP, Lang NP. Tissue integration of non-submerged implants. 1-year results of a prospective study with 100 ITI hollow-cylinder and hollow-screw implants. Clin Oral Implants Res 1990;1:33-40.
18. Cutler SJ, Ederer F. Maximum utilization of the life table method in analyzing survival. J Chronic Dis 1958;8:699- 712.
19. Misch CE, Perel ML, Wang HL, et al. Implant success, survival, and failure: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Oral Implantologists (ICOI) Pisa Consensus Conference. Implant Dent 2008;17:5-15.
20. Klein CP, Driessen AA, de Groot K, van den Hooff A. Biodegradation behavior of various calcium phosphate materials in bone tissue. J Biomed Mater Res 1983;17:769-84.
21. 연제영, 김동진, 홍성배 등. 성견 일벽성 치주 결손 부에 이식한 biphasic calcium phosphate의 조직계측 학적 평가. 대한치주과학회지 2008;38:171-178.
22. 엄유정, 홍지연, 김성태 등. 토끼 두개골에서 새로 개발된 biphasic calcium phosphate의골형성 효과: A pilot study. 대한치주과학회지 2008;38:163-170.
23. 김민수, 이지현, 정의원 등. MBCP를 이용하여 거상 된 상악 구치부에 식립한 임플란트의 기능 후 2년 누적생존율 - 후향적 임상 연구, 대한치주과학회지 2008;38:669-678.
24. Albrektsson T, Zarb G, Worthington P, Eriksson AR. The long-term efficacy of currently used dental implants: a review and proposed criteria of succes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86;1:11-25.
25. Carr AB, Choi YG, Eckert SE, Desjardins RP.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the clinical performance of 1-stage dental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3;18:399-405.
26. Jensen OT, Shulman LB, Block MS, Iacono VJ. Report of the Sinus Consensus Conference of 1996.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8;13 Suppl:11-45.
27. 연제영, 채경준, 정의원 등. 측방 접근법에 의한 상 악동 거상술을 이용하여 식립된 골내 임플란트의 10 년간 후향적 연구. 대한치주과학회지 2007;37:691- 704.
28. Hatano N, Shimizu Y, Ooya K. A clinical long-term radiographic evaluation of graft height changes after maxillary sinus floor augmentation with a 2:1 autogenous bone/xenograft mixture and simultaneous placement of dental implants. Clin Oral Implants Res 2004;15:339-45.
29. Maiorana C, Sigurta D, Mirandola A, et al. Sinus elevation with alloplasts or xenogenic materials and implants: an up-to-4-year clinical and radiologic followup.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6;21:426-32.
30. 김지선, 이서경, 채경준 등. 상악동 골이식술을 동반 한 임프란트 식립 시 골이식재의 높이 변화에 관한 방사선학적 평가. 대한치주과학회지 2007;37:277-286.
31. 강남원, 정의원, 최성호 등. Osteotome 상악동 거상 술과 동시에 식립한 Branemark Ti-Unite와 ITI SLA 임 프란트의 비교 연구. 대한치주과학회지 2005;35:609- 621.
32. Wanschitz F, Figl M, Wagner A, Rolf E. Measurement of volume changes after sinus floor augmentation with a phycogenic hydroxyapatite.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6;21:433-8.
33. Gray CF, Staff RT, Redpath TW, et al. Assessment of maxillary sinus volume for the sinus lift operation by three-dimens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Dentomaxillofac Radiol 2000;29:154-8.
34. Johansson B, Grepe A, Wannfors K, et al. Volumetry of simulated bone grafts in the edentulous maxilla by computed tomography: an experimental study. Dentomaxillofac Radiol 2001;30:1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