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CBCT를 이용한 3차원 안면비대칭분석

3D Analysis of Facial Asymmetry using CBCT

Abstract

CT 영상의 3차원 재구성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치과용 CBCT 개발로 치과에서 CT 사용 영역이 확대되었다. CT는 주로 염증, 낭, 종양, 외상 등의 위치와 범위,형태에 대한 3차원 정보를 통해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사용되었다. 치과용 CBCT는 촬영 범위가 안면부에 제한되어 의과용 CT에 비해서는 대체적으로 방사선조사량이 더 낮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치과용CBCT는 임플란트 식립 전 치조골의 평가에 주로 사용되며 또한 심미교정치료를 위해서도 다양하게 활용된다. 치아 경사도의 3차원적 평가가 가능하여 교정치료계획에 활용할 수 있다. 치아의 위치 및 형태를 주변 매복치아와 연관하여 평가할 수 있으며, 매복치아와 인접치아의 관계 및 치근 흡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연조직의 두께와 돌출 정도, 혀의 위치와 크기, 기도에 대한평가도 가능하다. 3차원 입체 영상에 의해 악교정 수술후 하악과두 흡수 및 변형, 위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영상은 환자의 안면 비대칭 정도 평가에 정확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1). 사람들의 심미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안면비대칭에 대한 관심 역시 고조되고 있다. 안면비대칭 분석은 주로 후전방두부규격방사선사진에 의존되었지만치과용 CBCT의 개발과 함께 치과에서의 3차원 영상재구성에 의한 안면비대칭이 가능하게 되었다. 의과용CT 영상을 이용한 3차원 안면비대칭 분석법은 이미여러 연구자에 의해 개발 및 보고되었으며, CBCT를이용한 분석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2~6). 본 지면에서는 CBCT를 3차원 안면비대칭 분석의 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keywords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Facial asymmetry, Polar coordinates

참고문헌

1.

1. Lee DH, Lee JS, Yoon SJ, Kang BC. Three dimensional evaluation of impacted mesiodens using dental cone beam CT.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2010;40:109-14.

2.

2. Katsumata A, Fujishita M, Maeda M, Ariji Y, Ariji E, Langlais RP. 3D-CT evaluation of facial asymmetr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5;99:212-20.

3.

3. Hwang HS, Hwang CH, Lee KH, Kang BC. Maxillofacial 3-dimensional image analysis for the diagnosis of facial asymmetr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6;130:779-85.

4.

4. Park SH, Yu HS, Kim KD, Lee KJ, Baik HS. A proposal for a new analysis of craniofacial morphology by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6;129:600.e23-34.

5.

5. Baek SH, Cho IS, Chang YI, Kim MJ. Skeletodental factors affecting chin point deviation in female patients with Class III malocclusion and facial asymmetry: a three-dimensional analysis using computed tomograph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7;104:628-39.

6.

6. Yoon SJ, Lim HJ, Kang BC, Hwang HS. Three dimensional CT analysis of facial asymmetry.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2007;37:45-51.

7.

7. Kim DS, Han WJ, Kim EK. Comparison of CT numbers between cone-beam CT and multi-detector CT.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2010;40:63-8.

8.

8. Kim SY, Han JW, Park IW. Comparison of cone beam CT and conventional CT in absorbed and effective dose.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2008;38:7-15

9.

9. Ludlow JB. Dose and risk in dental diagnostic imaging: with emphasis on dosimetry of CBCT.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2009;39:175-84.

10.

10. Farman AG, Scarfe WC. Development of imaging selection criteria and procedures should precede cephalometric assessment with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6;130:257-65.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