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뼈이식재 족보 바로 알고 사용하기

Bone graft materials and its intended use

Abstract

뼈이식은 공여부에 따라 자가뼈와 동종뼈, 이종뼈및 합성뼈로 구분되는데 자가뼈 이식은 뼈이식의gold standard로서 선학들의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어 있어 그 기전이 다른 뼈이식 기전에 비하여 비교적 상세히 밝혀져 있다. 자가뼈이므로 이식 후 거부반응도 없고 법적으로도 의학적 소견에 거스르지 않는이상 뼈이식에 관한 엄격한 규정이 필요하지도 않다. 반면 그 외의 뼈이식은 면역 반응 등의 안전성 문제가가장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어 있어 유효성 문제와 더불어 환자들에게 사용되기까지 여러 가지 법적인 장치가 잘 마련되어 있다.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DA)에서는 각종 뼈이식재에 관한 허가 사항을 홈페이지에서 찾아보기 쉽게구성해 놓고 필요에 의해 자료들을 취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놓고 있다1). FDA에서 자가뼈를 제외한뼈이식재는 의료기기(medical devices)로 규정되어있으며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그중 치과재료로 특정되어있다2). 본 연제에서는 자가뼈를 이용한 뼈이식 과정에서 나타나는 뼈치유의 일반적인 과정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고, 의료기기로서의 동종뼈,이종뼈 및 합성뼈 각각의 대표적인 제품의 예를 들어허가 주체로서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DA)이 사용승인한 각 제품의 적응증(intended use)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keywords
Bone graft materials, Bone biology, Approvals and clearances

참고문헌

1.

1. http://www.fda.gov/MedicalDevices/Productsand MedicalProcedures/DeviceApprovalsand Clearances.html

2.

2. 의료기기 허가 등에 관한 규정.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09-204호(2009.12.22, 개정), 별표 3 의료 기기의 품목군.

3.

3. Davis JE. Understanding peri-implant endosseous healing. J Dent Edu 67:932-49, 2003

4.

4. Kakagiri T, Takahashi N. Regulatory mechanisms of osteoblast and osteoclast differentiation. Oral Dis 8:147-59, 2002

5.

5. Lynch SE, Genco RJ, Marx RE.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in Maxillofacial Surgery and Periodontics. Chicago, IL: Quintessence Publishing Group, 1999

6.

6. Frost HM. Bone remodelling Dynamics. Springfield, IL: Thomas CC, 1963

7.

7. Frost HM. Intermediary Organization of the Skeleton. Boca Raton, FL: CRC Press, 1986

8.

8. Robling AG, Castillo AB, Turner CH. Biomechanical and molecular regulation of bone remodeling. Ann Rev Biomed Eng 8:455-98, 2006

9.

9. Canalis E, Economides AN, Gazzerro E. bone morphogenetic proteins, their antagonists, and the skeleton. Endocr Rev 24:218-35, 2003

10.

10. Basbutski JD, Wang HL. Periodontal and endodontic regeneration. J Endodont 35:321-8, 2009

11.

11. Melcher AH. On the repair potential of periodontal tissues. J Periodontol 47:256-60, 1976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