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구성성분별 골이식재의 분류와 임상적용

Clinical appl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bone graft material according to component

Abstract

골이식재의 분류는 매우 다양하다. 공여 조직에 따라 자가골, 동종골, 이종골 및 합성골로 분류할 수 있고 골치유 기전에 따라 골형성, 골유도 및 골전도성 재료로 분류하기도 한다. 또한 구성 성분에 따라 분류할경우 매우 복잡해진다. 다양한 종류의 골이식재료들이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지만 수요자인 대다수의 치과의사들은 정확한 정보를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제조사의 광고, 영업사원의 설명, 유명 연자들의 강의를 기반으로 재료를 선택하고 있다1). 일부 단행본에서 체계적 분류를 시도한 바 있지만 미흡한 상태이며 국내 최초로 2009년 대한치과이식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국내 유통되고 있는 골이식재료의 분류작업을 시도하였으며 심포지움을 개최하였다2). 현재 수입 및 국산 골이식재가 많이 유통되고 있으나 학문적 및 임상적 체계 정립이 안되어 있고 치과의사들이 선택하는 골이식재들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가 부족하고 이식재의 치유기전 및 성분을 판단할 수 있는 자료나 지침서가 없다. 골이식재의 분류 필요성은 골이식재를 사용하는 의료인 상호간의 객관적 정보 확보 및 교류의 활성화, 임상의와 학자들간에 골이식재의 분석 및 평가에 대한 일관성 유지, 체계적이고 근거에 입각한 골이식술을 통해 대국민 안전성과 인지도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논문에서는 구성성분에 따른 골이식재의 분류와 임상활용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keywords
organic, inorganic component, osteoinduction, osteoconduction

참고문헌

1.

1. Kim YK. Systematic classification and application of alloplastic bony substitutes and sutogenous teeth bone graft material. The J Kor Acad Implant Dent. 2009; 28(2): 77-88.

2.

2. 2009 Autumn Congress of The Korean Academy of Implant Dentistry. Symposium.

3.

3. Min BM. Oral Biochemistry. Daehan Narae Pub Co. Seoul. 2007; 76-81.

4.

4. Lee SH. Low Crystalline hydroxyl carbonate apatite. J Korean Dent Assoc. 2006; 44(9): 524-533.

5.

5. 김형섭, 장윤혁, 이상훈 등. 아파타이트의 크기, 결 정도 및 탄산기의 양이 골전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체재료학회지. 2005; 9: 193-197.

6.

6. Kim YK, Kim SG, Byeon JH, Lee HJ, Um IU, Lim SC, Kim SY. Development of a novel bone grafting material using autogenous teeth.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10 Jan 6. [Epub ahead of print]

7.

7. Wilkins R, Kelly CM, Giusti DE. Bioassayed demineralized bone matrix and calcium sulfate: Use in bone grafting procedures. Annales Chirurgiae et Gynaecologiae. 1999; 88: 180-185.

8.

8. Wilkins RM. Clinical effectiveness of demineralized bone matrix assayed in human cell culture. In Advances in Tissue Banking, Vol. 3 (G.O. Phillips, D.M. Strong, R. von Versen, A. Nather, eds) World Scientific Company, Singapore, 1999.

9.

9. Kim YK, Kim SG, Lee BG. Bone Graft and Implant. Vol. 1. Bone biology and bone graft material. Narae Pub Co. Seoul. 2007; 28-33.

10.

10. Kim YK, Lee JY. The evaluation of postoperative safety of autogenous teeth bone graft. The J Kor Acad Implant Dent. 2009; 28(2): 29-35.

11.

11. Young-Kyun Kim, Hyo-Jung Lee, Su-Gwan Kim, In-Woong Um, Sunc-Chul Lim, Suk-Young Kim: Analysis of inorganic component and SEM analysis of autogenous teeth bone graft material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after graft. The J Korean Acad Implant Dent. 2009; 28(1): 1-9.

12.

12. Greenwald AS, Boden SD, Goldberg VM et al. Bone-graft substitutes: Facts, fictions & applications.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s surgeons. 70th Annual Meeting. Feb 5-9, 2003. New Orleans, Louisiana.

13.

13. Laurencin CT. Bone graft substitute materials. eMedicine Orthopedic Surg. Dec 3, 2009; 1-22.

14.

14. Jeong YM, Lee TH, Park JK et al. Bone Regeneration with Injectable MPEG-PCL Diblock Copolymer and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 J Korean Assoc Maxillofac Plast Reconstr Surg. 2010; 32(1): 9-15.

15.

15. Lee J, Sung HM, Jang JD et al. Successful reconstruction of 15cm segmental defects by bone marrow stem cells and resected autogenous bone graft in central hemangioma. J Oral Maxillofac Surg. 2010; 68: 188-194.

16.

16. Tadic D, Beckmann F, Donath T, Epple M. Comparison of different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orous bone substitution materials and structural investigations by synchrotron ucomputer tomography. Mat.-wiss.u. Werkstofftech. 2004; 35(4): 240-244.

17.

17. Tadic D, Epple M. A through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14 calcium phosphate-based bone substitution materials in comparison to natural bone. Biomaterials. 2004; 25: 987-99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