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전방개교합이 동반된 하악과두흡수 환자의 임상적 특징 및 악안면 골격형태에 관한 연구

Clinical and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anterior open bite and mandibular condylar resorption

Abstract

하악과두흡수는 하악과두용해 라고도하며 과두형태변화와 크기 감소가 점진적으로 또는 갑작스럽게 일어나 하악과두의 관절면이 파괴되고 변형이 유발된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1). 임상적으로 하악과두의 점진적인흡수변화는 하악골의 상대적인 위치변화를 가지고 오며, 차차 안모와 교합상태의 변화까지 일으키게 되어환자는 교합과 골격의 불안정, 턱관절 기능이상, 통증등을 호소하며 하악성장률 차이로 인한 안면비대칭,전치부 개방교합, 하악 후퇴 등이 나타날 수 있다1,2). 그 중에 특히 개교합이 동반될 경우 구치만 접촉되고전방부 치아가 전체적으로 개교가 되면서 tongue thrusting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지금까지 개교합의 발생 원인들을 과거의 문헌들에서는 근육조직의 잘못된 위치 설정 기능3,4), 손가락을빠는 습관5,6), 혀의 활성도7,8), 림프조직과 막혀진 비호흡계의 기능9,10), 원하지 않는 성장 형태11~13), 악간 위치의 불일치, 교합과 맹출력, 머리의 위치14), 정신지체15), 그리고 유전16)을 포함한 많은 잠재적 원인을 포함시켜 왔으나 개교 교합 발생에 있어 또 다른 중요한 원인요소가 관절원판전위17,18) 및 하악과두흡수라고 생각한다. 그 동안 하악과두흡수와 개교합을 보이는 환자에서특징적인 측면안모형태를 관찰할 수 있다는 주장이 있어 왔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과학적인 연구는 드물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악과두흡수 환자 중에 특히 전방개교합을 나타내는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악안면골격형태의 특징을 분석하여 악안면 골격형태가 하악과두흡수 및 전방개교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keywords
mandibular condylar resorption, open bite, parafunctional oral habit, vertical facial pattern, jaw rotation

참고문헌

1.

1. Huang YL, Pogrel MA, Kaban LB.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ondylar resorption. J Oral Maxillofac Surg 1997;55:114-120.

2.

2. Norman JED, Bramley P. A textbook of colour atla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Wolfe, 1990:69-77.

3.

3. Frankel R. Lip seal training in the treatment of skeletal open bite. Eur J Orthod 1980;2:219-218.

4.

4. Frankel R, Frankel C. A functional approach to treatment of skeletal open bite. Am J Orthod 1983;84:54-68.

5.

5. Sweinehart EW. A clinical study of open bite. Am J Orthod 1942;28:18-34.

6.

6. Bowden BD. A longitudinal study of the effects of digit-and du㎜y-sucking. Am J Orthod 1966;52:887- 901.

7.

7. Straub W. Malfunctions of the tongue. Part I. The abnormal swallowing habit:its causes, effects and results in relation to orthodontic treatment and speech therapy. Am J Orthod 1979;76:565-576.

8.

8. Lowe AA. Correlation between orofacial muscle activity and craniofacial morphology in a sample of control and anterior open-bite subjects. Am J Orthod 1980;78:89-98.

9.

9. McNamara JA, Jr. Influence of respiratory pattern on craniofacial growth. Angle Orthod 1981;51:269- 300.

10.

10. Trotman CA, McNamara JA, Jr, Dibbes JMH, Van der Wheele LT. Association of lip posture and the dimensions of the tonsils and sagittal airway with facial morphology. Angle Orthod 1997;67:425-432.

11.

11. Schudy FF. The rotation of the mandible resulting from growth:its implications in orthodontic treatment. Angle Orthod 1965;35:36-50.

12.

12. Richardson A. Facial growth and the prognosis for anterior open bite. Trans Eur Orthod Soc 1971;47:149-157.

13.

13. Nanda SK. Pattern of vertical growth in the fac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8;93:103-116.

14.

14. Proffit WR. Equilibrium theory revisited:factors influencing position of the teeth. Angle Orthod 1798;48:175-186.

15.

15. Gershater MM. The proper perspective of open bite. Angle Orthod 1972;42:263-272.

16.

16. Lundstrom A, McWilliam JS. A composition of vertical and horizontal cephalometric variables with regard to heritability. Eur J Orthod 1987;9:104-108.

17.

17. Hur YK, Choi JK.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ith developed anterior open bite following anterior disc dislocation without reductions. Korean J Oral Med 2006;31:255-263.

18.

18. Hur YK, Ko MY, Ahn YW. The Relationship between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and development of anterior open bite. Korean J Oral Med 2007;32:293-303.

19.

19. 대한치과교정학회. 한국성인 정상교합자의 측모 두부방사선사진 계측연구 결과보고서. 부정교합 백서발간위원회.

20.

20. 구 선주, 김 균요, 허 윤경, 채 종문, 최재갑. 하 악과두흡수 환자의 임상적 평가 및 악안면 골격 형 태 에 대 한 연 구 . 대 한 구 강 내 과 학 회 지 2009;34:91-102.

21.

21. Arnett GW, Milam SB, Gottesman L. Progressive mandibular retrusion-idiopathic condylar resorption. Part I.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6;110:8-15.

22.

22. Quinn JH, Stover JD. Arthroscopic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c perforations and associated advanced chondromalacia by discoplasty and abrasion arthroplasty: A supplemental report. J Oral Maxillofac Surg 1998;56:1237-1239 and Israel HA. Discussion, 1239-1240.

23.

23. Stegenga B, de Bont LG, Boering G, van Willigen JD. Tissue responses to degenerative changes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a review. J Oral Maxillofac Surg 1991;49:1079-1088.

24.

24. Langland OE, Langlais R, Morris CR. Principles and practice of panoramic radiology. 1982, WB Saunders Co. pp. 426-429.

25.

25. Worth HM. Radiology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n Zarb GA, Carlsson GE, editors: Temporomandibular joint: function and dysfunction, St Louis, 1979, Mosby, pp. 321-372.

26.

26. Hatcher DC. Craniofacial imaging. J Calif Dent Assoc 1991;19:27-34.

27.

27. Coster LD. Open-bite. Int J Orthod 1936;22:912- 938.

28.

28. 이 현경, 정 규림, 박 영국. 수직적 분류에 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측모 특성에 관한 연 구. 대한치과교정학회지 1992;22:205-226.

29.

29. 김 형일, 이 동주. 전치부 개방교합의 골격요소간 상호 연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교정학회지 1985;15:249-259.

30.

30. 배 근욱. 유 영규. 악안면 두개골격의 수직 수평 적 부조화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대 한치과교정학회지 1988;18:175-187.

31.

31. 강 대준.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에 의한 정상교합 자와 개방교합자에 관한 비교적 연구. 대한치과 교정학회지 1974;4:49-55.

32.

32. Nickerson JW, Boering G. Natural course of osteoarthrosis as it relates to internal derangement of the TMJ. Oral Maxillofac Surg Clin North Am 1989;1:27-45.

33.

33. Nickerson JW, Möystad A. Observation on individuals with radiographic bilateral condylar remodeling. J. Craniomandibular Pract 1982;1:21- 37.

34.

34. Stringert HG, Worms FW. Variations in skeletal and dental patterns with structural and functional alteration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A preliminary report. Am J Orthod 1986;89:285-297.

35.

35. Burch JG, Tallents RH, Wade DB, Beck FM. Lateral cephalometric analysis of asymptomatic volunteers and symptomatic patients with and without bilateral temporomandibular joint disc displacement. Am Ortho-DO 1988, pp. 248-55.

36.

36. Tanne K, Tanaka E, Sakuda M. Stress distributions in the TMJ during clenching in patients with vertical discrepancies of the craniofacial complex. J Orofac Pain 1995;9:153- 160.

37.

37. Nahoum HI. Vertical proportions:A guide for prognosis and treatment in anterior open-bite. Am J Orthod 1977;72:128-146.

38.

38. 전 윤식, 유 영규. 수직두개계측법에 의한 과개교 합 및 개교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교정학회지 1981;11:109-123.

39.

39. 김 태우. 측두하악관절 퇴행성관절질환을 동반한 전치부개교환자의 측모두부방사선계측학적 연구. 대한치과교정학회지 1993;23:455-474.

40.

40. 박 진성, 서 정훈. 개교와 과개교합의 골격요소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대한치과교정학 회지 1979;9:133-140.

41.

41. Wolford LM, Cardenas L. Idiopathic condylar resorption:diagnosis, treatment protocol, and outcome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9;116:667-77.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