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P-ISSN1598-1487
  • E-ISSN2671-7247

A Study on Documenting Locality in Digital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1, v.11 no.1, pp.207-230
https://doi.org/10.14404/JKSARM.2011.11.1.20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new methodologies for documenting locality in digital environment, reformulation the Cox's documentation model focused on cooperative acquisition of documentary heritage institutions. This study defines the concepts of locality, space and place, relation of collective memory to archives, and analyzes the four approaches of documentation comparatively. Based on these analyses, it suggests the categories of documenting locality, and the directions of archive portal design for collective memory of locality.

keywords
지방기록, 기록화 전략, 지역 기록화, 도큐멘테이션 전략, 로컬리티, 참여형 아카이브, 지역 기록화 모형, 집단기억, local archives, community archives, documenting region, documentation strategy, locality, collective memory, participatory archives

Reference

1.

김주관. (2008). 민속자료와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민속연구, 17, 33-52.

2.

김주관. (2006). 문화자료와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9(2), 447-483.

3.

김주관. (2005). 생활사 아카이브 구축의 의미와 방법-20세기 민중생활사 아카이브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8(1), 217-250.

4.

남신우. (2003). 지방기록물 관리를 위한 통합관리 방안: 안산시를 중심으로.

5.

렐프, 에드워드. (2005). 장소와 장소상실:논형.

6.

박규택. (2009). 로컬의 공간성 이해를 위한 이론적 틀 ―사회ㆍ역사 구성주의 관점. 한국민족문화, (33), 159-183.

7.

박순철. (2008). 디지털아카이브시스템의 구축과 활동 -20세기민중생활사아카이브를 중심으로. 영남학, (14), 35-62.

8.

박주석. (2010). 만안구 재개발과 도시기록 아카이빙의 필요성, In 2010 만안의 이미지 ‘기억과 기록’ 자료집.

9.

설문원. (2010). 지역 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적용. 기록학연구, (26), 103-149.

10.

심재휘. (2011). 황동규 초기 시에 나타난 공간과 장소. 우리어문연구, (39), 437-462.

11.

양흥숙. (2011). 부산 로컬리티 탐구: 「디지털부산 역사문화대전」을 중심으로, In 제1회 SKK 로컬리티의 기록화 컬로퀴엄 자료집.

12.

엄수진. (2010). 사회적 측면을 고려한 농촌마을 계획의 마을조사 분석 연구: 문화역사마을가꾸기 사업 마을조사를 중심으로.

13.

엄수진. (2010). 마을 아카이브를 통해서 본 마을 단위 문화유산 기록화 연구: 인천 차이나타운 마을 아카이브 시범 구축을 중심으로 (257-266). 한국도시설계학회 2010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4.

옥한석. (2010). 사진 미디어에 의한 장소성의 재현. 로컬리티 인문학, 4, 247-264.

15.

올릭, 제프리 K.. (2011). 기억의 지도:옥당.

16.

유광흠. (2008). 건축․도시공간 아카이브구축 전략수립을 위한 연구:건축도시공간연구소.

17.

이동후. (2007). 도시 공간 이미지의 재구성: 이동성, 연결성, 그리고 디지털 사진의 상상적 지리에 관한 탐색적 고찰. 언론과 사회, 15(4), 123-155.

18.

이정재. (2004). 민속아카이브와 문화정책. 한국민속학, 40, 67-107.

19.

이 푸 투안. (2005). 공간과 장소:대윤.

20.

장세룡. (2009). 탈근대 도시성(Postmodern Urbanity)의 탐색 ― 부산의 도시성 이해를 위하여. 한국민족문화, (34), 335-368.

21.

지수걸. (2009).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의 방향과 방법. 기록학연구, (21), 247-281.

22.

차철욱. (2011). 근대 부산의 시가지 변화와 로컬리티: 로컬리티 연구와 기록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In 제3회 SKK 로컬리티의 기록화 컬로퀴엄: 근대 부산의 공간변화와 로컬리티 기록화 발표집.

23.

최윤진. (2011). 성미산 마을 아카이빙 체계 방안에 관한 연구.

24.

최재희. (2008). 국가차원의 문화유산기관 협력체 구성사례 및 시사점 - 영국 MLA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2), 61-74.

25.

함한희. (2008). 생활사 연구와 아카이브의 활용. 영남학, (14), 7-34.

26.

함한희. (2008). 마을민속 아카이브 어떻게 할 것인가. 민속연구, 17, -.

27.

Burton, Antoinette. (2001). Thinking beyond the boundaries: Empire, feminism and the domain of history(Cunningham 2005, 24에서 재인용). Social History, 26(1), 66-.

28.

Brothman, Brien. (2003). The Past that Archives Keep: Memory, History, and the Preservation of Archival Records. Archivaria, 51, -.

29.

Brothman, Brien. (1999). Where's Home? Documenting Locality at the Dawn of the Electronic Age. Archivaria, 47, 151-157.

30.

Cox, Richard J.. (1996). Documenting Localities: a Practical Model for American Archivists and Manuscript Curators:The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and The Scarecrow Press.

31.

Cunningham, Adrian. (2005). Archival Institutions, In Recordkeeping in society, Ch.2:Centre for Information Studies.

32.

Derrida, Jacques. (2005). Archive Fever:Cunningham.

33.

Duranti, Luciana. (1994). The documentation strategy and archival appraisal principles: a different perspective. Archivaria, 38, 11-36.

34.

Flinn, Andrew. (2007). Community Histories, Community Archives: Som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vists, 28(2), 151-176.

35.

Jimerson, Randall C.. (2003). Archives and memory. OCLC Systems & Services, 19(3), 89-95.

36.

Josias, Anthea. (2011). Toward an understanding of archives as a feature of collective memory. Archival Science, 11(1), 95-112.

37.

Ketelaar, Eric. (2008). Archives as Spaces of Memory.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vists, 29(1), 9-27.

38.

Mckemmish, Sue. (2005). Trace: Document, record, archive, archives, In Recordkeeping in society, Ch.11-20:Centre for Information Studies.

39.

Schwartz, J.. (2002). Archives, records, and power: the making of modern memory. Archival Science, 2, 1-19.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