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Life History Research Based Private Document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5, v.15 no.4, pp.49-76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4.049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ersonal history of individuals directly and vividly reflects the courses of their life and the society of which they are a part. It has become a meaningful part of the social landscape today to pursue efforts to understand humans and humanity correctly and properly through the windows of private records. Notably, the significance of keeping private recor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the society of which they are a part lies in the fact that they cooperate to build a foundation on which they can prosper together. One of necessary things to be done to fully appreciate the values of such private records is to perform serious analyses on particular individuals who are behind those records. Developing and refining methods of life history research such as time-line interviews exert positive influence in setting up a direction for private documentation systems where private records are collected and maintained.

keywords
개인 기록화, 생애사, 생애사 연구, 개인 기록물, Private Documentation, Life History Research, personal history, private records

Reference

1.

설동훈. (2009). 사회학의 이해, 제2판:다산출판사.

2.

김범준. (2007). 교육학개론:공동체.

3.

김성일. (2007). 기록화 전략의 일반모형과 그 적용.

4.

김영천. (2012). 질적 연구방법으로 생애사연구의 성격과 의의. 교육문화연구, 18(3), 5-43.

5.

김진용. (2013). 개인아카이브의 유형별 특성에 대한 연구.

6.

김형숙. (2012). 미술 창의성 연구를 위한 생애사 방법론 고찰. 조형교육, (44), 65-94.

7.

김혜림. (2010). 개인 아카이브 구축 방안 연구 : 이승만 기록 통합 검색을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에 대한 제안.

8.

박성희. (2008). 생애사 연구와 노인교육의 의의 (1-21). 한국교육인류학회-노년교육연구회.

9.

박성희. (2011). 생애사에 기초한 질적 연구방법:원미사.

10.

설문원. (2010). 지역 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적용. 기록학연구, 26(26), 103-149.

11.

오명진. (2012). 동시대 역사적 사건의 기록화 전략.

12.

유철인. (1998). 생애사 연구방법 : 자료의 수집과 텍스트의 해석. 간호학탐구, 7(1), 186-195.

13.

이기대. (2007). 명성황후 편지글:다운샘.

14.

이동성. (2013). 생애사 연구동향의 방법론적 검토: 세 가지 방법적 이슈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6(2), 47-82.

15.

이동성. (2013). 생애사 연구방법론의 이론적 배경과 분석방법에 대한 탐구. 초등교육연구, 26(2), 71-96.

16.

이만영. (1995). 생애사 해석에 대한 경험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4, 85-116.

17.

이민원. (2007). 명성황후와 감고당:동아시아연구소.

18.

이연창. (2007). 인물 기록관(Personal Archives) 구축방안 연구.

19.

이은화. (2009). 아카이브즈 개인 기록 컬렉션 관리에 관한 연구 : 배민수 컬렉션 분석을 중심으로.

20.

이희영. (2005). 사회학 방법론으로서의 생애사 재구성 :행위이론의 관점에서 본 이론적 의의와 방법론적 원칙. 한국사회학, 39(3), 120-148.

21.

채수인. (2009). 민간기록물 수집체계에 관한 연구.

22.

최영신. (1999). 질적 자료 수집: 생애사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 1-22.

23.

최영주. (2006). 대학기록관의 개인기록관리 방안.

24.

한경혜. (2005). 생애사 연구를 통해 본 남성의 삶 (-).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자료집.

25.

한희동. (2013).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통한 대학의 설립자 기록물 수집 방안 : A대학을 중심으로.

26.

Cook, Terry. (1997). What is past is prologue: A History of Archival Ideas Since 1898, and the Future paradigm Shift. Archivaria, 43, 17-63.

27.

Hobbs, Catherine. (2001). The Character of personal Archives-Reflections on the Value of Records of Individuals. Archivaria, 52, 126-135.

28.

Pollad, Riva A. (2001). The Character of personal Archives: A Critical Literature Review. Archivaria, 52, 136-150.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