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P-ISSN1598-1487
  • E-ISSN2671-7247

A Study on the Activation Method of ICT-Based Video Record Management and Utiliz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18, v.18 no.2, pp.215-242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2.215




Abstract

The record continuum theory is now being studied in Australia, wherein the segregated record management of current, semi-current, and past records based on the temporal flow of the life cycle theory are being critcized. In addition, it emerged as a new paradigm for electronic record management without time and spatial constraints. Moreover, it is recognized as a logical and conceptual entity rather than as a fixed physical object. It also makes it possible to record multiple records in consideration of the complex, multidimensional environment of records. Based on this record continuation theory, the curre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is applied to the four axes and dimension of the record continuation diagram of theoretical researcher Frank Upward. The researchers aim to realize a video recording management method suitable for the electronic record age.

keywords
레코드 컨티뉴엄, 전자기록, 동영상 기록관리, 기록관리 다원화, ICT, records continuum, electronic record, video record management, record management pluralization, ICT

Reference

1.

국가기록원. (2016). 기록보존기술 연구개발사업 연구결과보고서: 클라우드기반 시청각자료 통합 운영 및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연구. 국가기록원.

2.

권재광. (2015). 방송콘텐츠의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187-188).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방송공학회.

3.

김명훈. (2010). 레코드 컨티뉴엄과 평가, 그리고 기록콘텐츠 -기록콘텐츠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41(3), 131-153.

4.

김명훈. (2017). 레코드 컨티뉴엄 기반 기록콘텐츠의 의미 모색: 종교기관 기록콘텐츠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52), 241-275.

5.

김판준. (2015). 디지털 큐레이션 연구동향 분석과 과제: 문헌정보학 분야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2(1), 265-295. http://dx.doi.org/10.3743/KOSIM.2015.32.1.265.

6.

노명환. (2015). ‘성리학적 구성주의’와 기호학 이론을 적용한 기록의 본질과 사회적 이해와 레코드 컨티뉴엄의 보완: 증거, 기억, 정체성, 공동체 4패러다임의 ‘상호 구성성’을 중심으로 (15-16). 한국기록과정보․문화학회 제1회 학술발표회.

7.

박대민. (2017). 미디어 문화기술의 활성화 방안. 한국언론진흥재단.

8.

박춘원. (2017). 4차 산업혁명 시대 기업 동영상 기록관리와 동적 메타데이터. 기록과정보문화학회지, , 2-3.

9.

선동한. (2016). 내용 기반의 부분 검색을 위한 동영상 장기보존 시스템.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12(1), 45-54.

10.

손재권. 디지털 큐레이션 시대가 왔다.

11.

신동헌. (2009). 시청각(사진/동영상) 기록물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과 운영 사례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9(1), 33-50.

12.

우혜린. (2008). 공공기관의 동영상기록물 관리에 관한 연구.

13.

원종관. (2008). 레코드 컨티뉴엄의 속성을 통해 본 증거와 기억의 조화에 관한 연구.

14.

이병길. (2013). 새마을운동 기록물의 개체기반 온톨로지 검색시스템 설계 및 평가.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67-97. http://dx.doi.org/10.14404/JKSARM.2013.13.3.067.

15.

이상헌. (2017). 소셜큐레이션서비스에 기반한 기록정보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16.

이승억. (2001). 한국공공분야 기록보유체제 전망- ‘기록물분류기준표’의 제도적 의의와 특성-. 기록학연구, 4, 45-46.

17.

전산용어사전편찬위원회. (2005). 컴퓨터 인터넷․IT용어 대사전:일진사.

18.

최홍규. (2015). 컨텐츠 큐레이션:커뮤니케이션북스.

19.

한국기록관리학회. (2013). 기록관리론 - 증거와 기억의 과학:아세아 문화사.

20.

Pugh, M. J.. (2004). 기록정보서비스:진리탐구.

21.

Caroline, W.. (2006). 기록관리학의 이해:태일사.

22.

국가기록원. (2016). 국가기록원 기록물 보유현황. http://www.archives.go.kr/next/data/possessionConditionOfRecode.do.

23.

김한별. (2014). [노트북을 열며] 데이터가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다. http://news.joins.com/article/22512495.

24.

백승구. 유튜브에 업로드 되는 동영상 분량, 하루에 66년치!.

25.

온-나라 PC영상회의. http://mw.on-nara.go.kr/.

26.

프랭크 업워드(F. Upward)의 「Structuring the records continuum - part one: postcustodial principles and properties」 1996, 의 도해(개념도). https://figshare.com/articles/Structuring_the_records_continuum_-_part_one_postcustodial_principles_and_properties/4037445.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