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총독부 공문서는 같은 기관과 업무 맥락에서 생산되었으나 여러 기관으로 분산되어 맥락이 손상되고 접근과 이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Records in Contexts(RiC) 기반의 메타데이터 기술 구조를 제시하여 공문서 간의 연계성을 높이고 맥락을 보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개념과 분산을 살펴보고 RiC-CM과 RiC-O의 개발 배경, 속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조선총독부 공문서 주요 소장기관의 메타데이터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기술에 필요한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주요 요소는 기록물명, 생산자명, 시간적 요소, 매체정보, 식별자이다. 각각의 요소에 RiC을 적용하기 위해 조선총독부 공문서를 기술하기 위해 적합한 RiC-CM과 RiC-O의 요소를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도식하여 예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조선총독부 공문서 관리의 편의성을 높이고 가치와 속성을 보존하기 위한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fficial document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ere created within a unified institutional and operational context; however, they were later dispersed across multiple institutions, resulting in a loss of contextual integrity and challenges in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se issues by proposing a metadata description framework based on Records in Contexts (RiC) to enhance connectivity among these documents while preserving their context.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oncept and distribution of these documents, as well as the development and attributes of the RiC-Conceptual Model (RiC-CM) and RiC-Ontology (RiC-O). Following this, an analysis of the metadata elements used by major institutions holding these documents was performed to identify essential descriptive components, such as document titles, creator names, temporal elements, media information, and identifiers. To effectively apply the RiC standard, appropriate RiC-CM and RiC-O elements were systematically organized, illustrated, and exemplified for each component. The study's findings provide a foundational framework for improving the management and accessibility of these documents, ensuring the preservation of their historical value and attribu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