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기록학 석·박사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기록학의 주요 연구영역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2~2024년까지의 학위논문 2,225편을 조사하여 연도별·학교별·학위 종류별 발행 현황을 확인하고, 논문 제목을 연구대상·연구도메인·연구초점 등 세 가지 역할개념으로 구분하여 키워드를 추출, 군집화 및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위논문은 석사 2,152편(96.7%), 박사 73편(3.3%)이 발행되었고, 논문 제목에서 연구대상은 ‘활용·기록관리·기록’, 연구도메인은 ‘특정 기록·특정 기관’, 연구초점은 ‘현황 및 개선방안’에 대한 키워드가 주로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23개 주제영역에 대하여 연구영역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지난 20여 년간 다양한 주제영역을 다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특히 최근 10년간 IT기술, 기록학, 디지털 아카이빙, 교육 및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기록학의 연구영역을 분석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국내 기록학의 지적구조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main research areas of archival studies in domestic master's theses. The publication status was determined by examining 2,225 theses published from 2002 to 2024. Thesis titl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areas: research domain, research object, and research focus, with keywords extracted, cluster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master's theses accounted for 96.7% (2,152) of the total. Analysis of thesis titles also revealed that the research domain primarily covered “specific records/institutions,” the research object included “utilization / record management / records,” and the research focus centered on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In addition, examining changes in research areas showed active research across various subjects over the past 20 years, with notable increases in studies on information technology, archival studies, digital archiving, education, and curriculum over the past decad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by analyzing research areas in archival studies, providing the foundational data for understand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domestic archival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