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창의적<TEX>$\cdot$</TEX>자율적 인재양성을 위해 학생들의 책 읽기 습관 함양과 탐구 중심의 수업방법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제7차 교육과정의 시행에 따라 수행평가, 재량활동<TEX>$\cdot$</TEX>특별활동 등을 지원하기 위한 기본시설로서 학교도서관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에 따라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방안'을 수립하게 되었는데 그 주요내용은 열악한 학교도서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시설, 장서, 재정, 인력운영 계획과 함께 학교도서관이 교수-학습활동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도서관 활용 수업 방안까지 포괄됨으로써 학교도서관이 명실상부하게 학교의 중심부로 자리잡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The knowledge-based society needs creative and active knowledge workers. To meet the need of this modern society, Korea education begins to focus on reading ability of students and project-based school education. The 7th School Education Program requires performance evaluation, optional activit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es and the school library is a necessary facility for these educational activities. Ministry of Education of Korea made a master plan to rebuild the school library for The 7th School Education Program. The master plan includes the assistance for the school library facility, school library materials, budget, the library staff. And also the master plan includes promotion for school education in the library to develop the school library as the center of schoo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