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학교도서관 정보활용교육의 범위와 계열 설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cope and Sequence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School Library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05, v.16 no.1, pp.45-74
이병기 (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도서관이용교육과 독서교육 그리고 정보활용교육을 종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전략으로서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즉, 범위와 계열을 설정하였다.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에서 적용되고 있는 정보활용교육의 사례를 비교<TEX>${\cdot}$</TEX>분석하고,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범위와 계열을 설정하였다. 새롭게 설정한 정보활용교육의 범위와 계열은 정보활용교육의 모형에서 추출한 5대 기능과 과정을 근간으로 하였으며, 전통적인 도서관이용교육과 독서교육의 내용을 수용하였다. 또한, 모든 정보매체와 정보텍스트의 형식, 정보활용의 과정과 전략, 정보의 체계 및 구조를 종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편성하였으며, 초등학교 저학년(1-3), 고학년(4-6), 중학교(1-3), 고등학교(1-3)로 구분하여 교육내용에 따른 계열을 설정하였다.

keywords
학교도서관 교육과정,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 도서관이용지도, 범위와 계열

Abstract

The study has developed the scope and sequence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s curriculum for integration strategies of traditional reading education, library use educa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 the scope and sequence of reading education, library use educa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s curriculum in Korea, American and Japan. Basing on the comparative result, it proposed the scope and sequence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s curriculum in Korea. The scope and sequence which it proposes based on the skill and process of information literacy model, it includes contents of traditional reading education, library use education. Also, supposed scope take in all format of information media, the process and strategies of information use,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 the supposed sequence divided into elementary school(1-3), elementary school(1-4), middle school(1-3), high school(1-3)

keywords
학교도서관 교육과정,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 도서관이용지도, 범위와 계열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