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행정박물 자료의 정리기술 표현에 관한 비교 분석

A Study on A Proposal of Description for Archival Objects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06, v.17 no.2, pp.137-155
라일옥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김포옥 (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행정박물은 증거적 가치, 역사적 가치, 행정적 가치를 지닌 기록물의 한 종류이다. 그러나 이러한 행정박물에 대한 연구가 미비 되어 있고 소홀히 관리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박물자료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행정박물의 기술요소(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행정박물의 기술요소안의 제시를 위해서 기록물 기술규칙이 마련되어 있는 국가의 기술규칙인 RAD와 기록물 표준 기술규칙인 ISAD(G)와 도서관계에서 사용되어 오던 기술규칙인 AACR2와 KCR4의 비교, 분석을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행정박물에 대한 기록물 기술규칙을 제시해 보았다. 행정박물에 대한 기술요소 제시(안)은 식별영역, 배경영역, 내용과 구조영역, 열람과 이용조건 영역, 연관자료 영역, 주기영역, 기술통제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박물관에서 사용하는 분류체계의 내용요소를 참고하여 그에 따른 하위 요소별 내용요소들을 제시하였다.

keywords
기록물, 행정박물, 기술규칙

Abstract

Objects which has been used for administration is a part of archives that holding merit of history, merit of evidence and merit of administration. But it does not be treated carefully as archival material also, it can not be found a study for the archival objects. Thu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description of the objects for management the objects appropriately. To derive a conclusion, this paper made a comparative by using the archival description of other nations such as General International Standard for Archival Description, Rules for Archival Description also refer to the cataloging rules which used for a long time to management materials at library such as Anglo-American Cataloging Rules, Korean Cataloging Rules. We divided the section into 7 area such as identity statement area, context area, content and structure area, condition of access and use area, allied material area, note area, and description control area for suggest a description for archival objects.

keywords
기록물, 행정박물, 기술규칙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