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시행되고 있는 정보활용능력 관련 교과목의 내용을 분석하여 실제 대학에서 교양 과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정보활용능력의 새로운 교수학습 형을 개발하려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미국과 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의 고등교육을 위한 정보활용능력 기준과 모형을 분석하였으며, 국외 5개 대학의 5 교과목의 교육내용과 국내 23개 대학에서 현재 정보활용능력 관련과목으로 교수되는 33개 교과목의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핵심 요소로 사용되는 정보활용능력의 7개 영역인 정보자원영역, 정보요구영역, 정보접근영역, 정보분석영역, 정보관리영역, 정보전달영역, 정보윤리영역을 추출하여 영역별로 강의할 수 있는 14주 과정에 적합한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정보활용능력 교수학습모형의 내용에는 영역별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전략 강의시간. 평가내용, 강의도구 등이 포함되어 있다.
This research has been done to develope a curricular model for the Information Literacy Course as one of liberal arts courses in Korean universities. This curricular model had resulted from investigating the standards and models for Information Literacy at the 4 standards(ACRL in USA, CAUL in Australia ANZILL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and SCONUL in the United Kingdom), 5 syllabi for Information Literacy used by 5 American universities and 33 syllabi by 23 Korean universities. On the basis of these educational result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syllabi, a learning-instruction model has come into being for the Information Literacy Course that includes 7 core areas : information sources, information need, information access. information analysis, information management, information transfer and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eth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