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디지털 아카이브즈의 문제점과 방향 - 문화원형 콘텐츠를 중심으로 -

Digital Archives of Cultural Archetype Contents: Its Problems and Direction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06, v.17 no.2, pp.23-42
함한희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
박순철 ( 전북대학교 전자정보공학부)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고는 문화원형콘텐츠를 유통시키고 있는 문화콘텐츠닷컴의 디지털아카이브 시스템에 주목해서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문화원형콘텐츠는 전통문화와 컴퓨터기술을 접목시켜 개척한 새로운 분야이다. 정부에서는 이 산업을 육성해서 한국문화의 세계화와 국가 경쟁력을 강화시킬 의도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역사와 전통 풍물 생활 전승 예술 지리지 등 다양한 분야의 문화원형을 디지털 콘텐츠화하여 문화산업에 필요한 창작소재로 제공하는 것이 그 핵심내용이다. 아울러 디지털 콘텐츠 유통체계 정립과 저작권 관리를 통해서 공공부문 문화콘텐츠의 산업적 활용도를 제고하려는 의도도 포함된다. 본고에서 다루는 대상자료는 현재 문화콘텐츠닷컴에서 유통, 관리되고 있는 문화원형콘텐츠들이다. 이 성과물들은 2002년부터 2005년까지 개발되어서 문화콘텐츠닷컴 DB에 구축되어 있다. 이 자료들을 통해서 현재의 디지털아카이브 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현재의 시스템이 안고 있는 한계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각 자료에서 사용하는 주요 용어의 선택에 따라 유사한 자료들이 서로 다른 주제로 분류되면서 다른 항목에 속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는, 따라서 서로 다른 항목 간에 교차검색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계점이 있다. 현재의 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본고에서는 온톨로지 기능을 포함한 데이터마이닝시스템을 이용해서 풍부한 지식정보표현과 활용이 가능한 디지털아카이브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데이터마이닝은 다섯 가지의 방법으로 가능하다. 의미검색 문서요약 문서클러스터링 문서분류 그리고 주제추적이다. 최근에 빠르게 개발되고 있는 디지털 신기술도 인문학과 긴밀하게 연결되지 않으면, 그 활용도가 제한적이라는 점을 본고를 통해서 지적하였다. 창작소재로서의 문화원형콘텐츠의 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길은 바로 신지식관리를 위한 통학적(uni-discipline) 접근이라는 점을 일깨우고자 한다.

keywords
문화원형콘텐츠, 문화콘텐츠닷컴, 디지털콘텐츠, 디지털아카이브즈, 데이터마이닝, 온톨로지, 의미검색, 통학적 연구

Abstract

This is a study of the digital archives of Culturecontent.com where 'Cultural Archetype Contents' are currently in service. One of the major purposes of our study is to point out problems in the current system and eventually propose improvements to the digital archives. The government launched a four-year project for developing the cultural archetype content sources and establishing its related business with the hope of enhancing the nation's competitiveness. More specifically, the project focuses on the production of source materials of cultural archetype contents in the subjects of Korea's history. tradition, everyday life. arts and general geographical books. In addition, through this project, the government also intends to establish a proper distribution system of digitalized culture contents and to control copyright issues. This paper analyzes the digital archives system that stores the culture content data that have been produced from 2002 to 2005 and evaluates the current system's weaknesses and strengths. The summary of our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the digital archives system does not contain a semantic search engine and therefore its full function is 1agged. Second, similar data is not classified into the same categories but into the different ones, thereby confusing and inconveniencing users. Users who want to find source materials could be disappointed by the current distributive system. Our paper suggests a better system of digital archives with text mining technology which consists of five significant intelligent process-keyword searches, summarization, clustering, classification and topic tracking. Our paper endeavors to develop the best technical environment for preserving and using culture contents data. With the new digitalized upgraded settings, users of culture contents data will discover a world of new knowledge. The technology we introduce in this paper will lead to the highest achievable digital intelligence through a new framework.

keywords
문화원형콘텐츠, 문화콘텐츠닷컴, 디지털콘텐츠, 디지털아카이브즈, 데이터마이닝, 온톨로지, 의미검색, 통학적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