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이해용이성에 따라 전자자료이용에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이해용이성을 '메뉴명칭의 명확성과 메뉴배열구조의 논리성'으로 정의하고 기존의 덕성여자대학 도서관 인터페이스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인터페이스 개선안을 전자도서관에 탑재한 후 인터페이스 수정전후의 전자자료 이용률의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사용자인터페이스상의 메뉴명칭을 이해하기 쉬운 명칭으로 변경하고 메뉴배열 순서를 논리적으로 재구성하여 제공했을 때 동 메뉴사용이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메뉴명칭과 배열순서의 변경전후 사용자인터페이스 이용률을 비교해 보았을 때 67.9%의 이용률 급증현상을 보였다. 이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였다(<.0001).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easy understanding of user interface could affect the use of electronic materials in a virtual academic library. The user interface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Library was analysed in terms of label description and array of menus. The frequencies of menu use were collected by analysis of use log files after modified user interface was applied. Clear label descriptions of link menus and sub-menus of electronic material searche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number of user clicks on the modified menus. This study reveals that the more clearly menu labels are described, the more frequently users click the menus on the academic library user inter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