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사서의 핵심능력에 대한 대학도서관 사서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ognition of Academic Librarian about ALA's Core Competencys of Librarianship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09, v.20 no.4, pp.237-250
노동조 (상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2009년 1월 27일 미국도서관협회 평의원회에서 공표한 '사서의 핵심능력'에 대한 국내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도서관 현장의 사서 17명을 대상으로 사전 교육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서의 핵심능력에 명시된 8개 영역과 40개 세부능력에 대하여 각각의 중요도와 전공심화정도, 필요 교과목 등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8개 영역별 중요도에서는 기록된 지식과 정보의 조직, 전문직 기초, 참고봉사와 이용자 서비스의 순으로 중요했으며, 전공심화정도에서는 전문직 기초, 연구, 참고봉사와 이용자 서비스의 순인 것으로 밝혀졌다. 사서의 핵심능력 배양에 필요한 교과목은 도서관경영론, 정보서비스론, 문헌정보학개론, 도서관정보정책론, 도서관연구방법론, 도서관자동화론의 순이었다.

keywords
사서, 핵심능력, 핵심자질, 문헌정보학 교육, 미국도서관협회, 교과목 개발, 대학도서관

Abstract

This study evaluates Core Competences of Librarianship announced at the congress of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on January 27th, 2009. For this study, we trained 17 librarians working at academic library, and find out each importance, major intention, required subjects regarding 8 scopes and 40 detailed qualifications indicated Core Competences of Librarianship through surve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importance order of 8 scopes is organization of recorded knowledge and information, foundations of the profession, reference and user services, and importance order of major intention is foundations of the profession, research, reference and user services respectively. Importance order of required subjects for nurturing Core Competences of Librarianship is library management, information service, and 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research methods for librarianship, and library automation respectively.

keywords
사서, 핵심능력, 핵심자질, 문헌정보학 교육, 미국도서관협회, 교과목 개발, 대학도서관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