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를 지원하는 자원봉사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체계화된 매뉴얼을 개발하여 자원봉사 활동의 전문화 및 활성화에 기여하기 시도되었다.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와 담당자와 이용자와의 면담, 전문가 간담회 등을 통하여 가장 수요가 많은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유형을 파악하고, 국내외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자원봉사 매뉴얼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실질적인 장애인 서비스 자원봉사 활용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대면낭독, 입력봉사, 도서관 비방문자 서비스, 이동보조, 보조공학기 서비스의 5개 분야를 선정하여 이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각각의 구체적인 활동 매뉴얼 내용을 제시하였다. 5개자원봉사의 활동분야, 장애 유형, 활동 목적, 세부 활동 내용 및 체크리스트로 구성된 활동내용의 구성도와 구성요소의 정의를 소개하였고, 구성요소의 기술사례를 대면낭독에 적용하여 활동 매뉴얼의 내용을 간략히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operating manual on the voluntary activity to the library services with disabled people in the public libraries. Various domestic and overseas manuals on the voluntary activity to the library services with disabled people were analyzed. From the survey and expert interviews, five types of most frequently asked library services with disabled people, face-to-face reading, word input services, services to off-library users, mobility aids services and assistance of engineering devices were extraced. Five specific areas on the voluntary activity were chosen in terms of activity area, barrier type, specific activity field, activity purpose and checklist. Finally, contents of the operating manual was applied to the area of face-to-fac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