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비즈니스 혁신의 하나인 프로세스 이노베이션에 대한 공공도서관으로의 적용가능성을 탐구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서 프로세스 이노베이션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나아가 공공도서관의 사서들을 대상으로 서면 질문조사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병행하여 도서관 업무를 수서 및 정리, 자료실 운영, 이용자 관리, 이용자 서비스, 프로그램, 자원봉사자 관리, 도서관 홍보, 도서관전산화 시스템, 시설 및 비품 관리, 서무와 통계 관리로 대분하고 각 업무별 세부업무를 확인한 다음, 공통분모를 도출하였다. 이어서 구글 행아웃을 통한 공공도서관 사서들과의 다자간 대면 인터뷰를 통하여 수서와 정리, 이용자 관리 업무에 있어서 프로세스 개선의 필요성 및 가능성을 확인하고 프로세스 이노베이션을 적용한 개선방안과 함께 새로운 적용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도서계약 및 희망도서 관련 업무의 절차를 개선하여 보다 신속하게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용자 관리 부분에서는 미국의 30개 공공도서관에 대한 웹 사이트 조사를 통하여 회원가입 시 요구 사항과 가입 절차를 분석하고 나아가 기존 공공도서관의 회원가입 절차에 대한 프로세스 분석을 통하여 개선된 프로세스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만족도 향상과 함께 도서관 업무 프로세스의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ill explor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process innovation as a public library for business innovation. In order to do this, the study defines the concept of process innovation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ccording to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librarians working for public libraries, this study will organize work done at libraries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acquisition, resource management, user management, user services, programs, volunteer management, marketing, library computerization system, facility management, general affairs and statistical management. In addition, through face-to-face surveys with librarians working for public librarie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issues within acquisition, user management, and applied process innovation. In response to these issues a new process has been developed. Using this new approach, book contract procedure and requests for book related work could be improved and optimized. In the user management section, the study analyzes the requirements and subscription procedures for members through a website survey of 30 public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n provides an improved system through process analysis of the membership process of Korean public libraries. It is expected that the new system will contribute to improvements in user satisfaction as well as improvements in library workf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