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도서관의 소통적 공간에 대한 사서 인식조사에 따른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the Communication Space of the Library According to Librarians' Perception Survey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20, v.31 no.4, pp.5-27
https://doi.org/10.14699/kbiblia.2020.31.4.005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윤정 ( 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을 소통적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도서관의 소통적 특성과 사서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수행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도서관 소통적 공간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의 소통적 특성은 지역성, 공동체성, 상호작용성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사서의 인식조사 결과, 도서관 소통적 공간에 대해 사서들이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인식도를 나타내는 만큼 도서관에서는 소통을 위한 활성화 방안이 추진되어야 한다. 첫째, 소통과 교류라는 도서관의 새로운 역할 수행을 위해서 소통의 방향성을 설정해야 한다. 둘째, 도서관이 조용한 공간에서 벗어나 소통의 공간으로 재창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마을의 기관과 단체, 모임 등과 함께 교류 및 연계를 하고 넷째, 이용자들이 주체적이며 자발적으로 소통, 커뮤니티를 운영해 나갈 수 있도록 도서관에서 지원해주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공공도서관, 소통, 커뮤니티 공간, 소통적 공간, 활성화 방안

Abstract

This study, as primary research that examines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library and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in order to make public libraries a communication space, surveyed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in public libraries and made an attempt to devise activation measures for the communication spaces of the library. As a result,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library were derived to be locality, community spirit, and interactivity. In addition, the perception survey found that librarians have positive remarks about the communication spaces of the library. As it shows a high degree of awareness, the library should focus on ways to revitalize communication. First, the direction of communication must be set in order to fulfill library's new role in communication and exchange. Second, it is desirable for the library to free itself from being a quiet space and recreate it as a space for communication. Third, the library needs to exchange and connect with organizations, groups, and gatherings of the community. Fourth, it seems necessary for the library to provide support for the users' independent and voluntary communication and operation of the community.

keywords
공공도서관, 소통, 커뮤니티 공간, 소통적 공간, 활성화 방안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