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국내 문헌정보학 표준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과과정 분석 및 인식 조사 연구

A Study on Curriculum Analysis and Awareness of the Development of Standard Curriculum for Library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22, v.33 no.1, pp.199-232
https://doi.org/10.14699/kbiblia.2022.33.1.199
장수현(Su Hyun Jang) (중앙대학교)
남영준(Young Joon Nam) (중앙대학교)
박상욱(Sanguk Park)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표준교육과정 개발에 앞선 고려사항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정보학 분야 NCS 직무 단위 및 사서 자격 기준과 관련된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등을 검토하였다. 둘째, 2021년 기준 전국 문헌정보학 개설 교과목을 조사 및 분석해 현황을 알아보았다. 셋째, 사서 및 정보전문가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로 인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2021년에 개설된 문헌정보학과 교과목 중 가장 교과목 수가 높은 분야는 ‘정보서비스’였으며, 가장 빈번하게 도출된 키워드는 ‘정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는 IPA분석과 Borich 요구도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학년별 최우선 요구 교과목을 도출하였다. 이후 현장의 사서 및 정보전문가의 의견을 설문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조사한 결과 한국의 문헌정보학 교육은 단순한 표준화뿐만이 아닌 다양한 이용계층을 포괄할 수 있는 특성화된 교과목의 운영이 병행해서 진행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문헌정보학, 표준교과과정, 교육과정, 교과목, 국가직무능력표준,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andard Curriculum, Curriculum, Course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considerations prior to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curriculum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at secures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curriculum nationally. To this end, first,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notification related to NCS job units and librarian qualification standard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as reviewed. Second, The current status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ourses opene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ationwide. Third, surveys and focus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librarians and information experts. The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epartments opened in 2021, the field with the highest number of subjects was “information servic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frequently derived keyword was “information.”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IPA analysis and Borich demand analysis, and the top priority required subjects for each grade were derive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opinions of librarians and information experts in the field through surveys and focus interviews,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not only in standardization but also in parallel with the operation of specialized subjects that can cover various users.

keywords
문헌정보학, 표준교과과정, 교육과정, 교과목, 국가직무능력표준,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andard Curriculum, Curriculum, Course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투고일Submission Date
2022-02-21
수정일Revised Date
2022-02-24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2-03-19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