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가오픈액세스플랫폼(AccessON)의 개인 연구저작물 리포지터리인 Self Archiving과 학회의 Journal Repository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측정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조사와 서비스 수혜자 및 관계자 15명과의 심층면담, 국내 연구자 1,31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가치 측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Self Archiving의 가치는 시간가치법을 적용하여 연구자 개인의 연간 절감 시간가치를 측정하였다. 국내 연구자들의 실제 학술활동에 기반하여 연구자 시간당 인건비, 국내생산 OA 논문 편수 등과 같은 요소들을 측정한 후, 연도별 이용 목표치를 토대로 총 수요를 추정하여 총 가치를 산출하였다. Journal Repository는 시장유추법을 적용하여, 상용 서비스의 객단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절감비용을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총 사업기간 8년 동안 Self Archiving의 가치는 1억 450만 원, Journal Repository는 312억 원으로 산출되었다. 두 서비스의 총 가치는 8년간 총 313.5억 원, 연평균 390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OA 환경 구축을 위한 핵심 전략인 개인 및 학회 리포지터리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를 핵심 수혜자 관점에서 실증적으로 추정했다는 데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purposed to measure the economic value of repository services of the National Open Access Platform (AccessON), namely Self Archiving and Journal Repository. The value of Self Archiving was measured by applying time-saving value and the value of Journal Repositories by applying market analogy. Based on existing statistics, in-depth interviews with service beneficiaries and stakeholders, and a survey administered to 1,313 researchers, the value of Self Archiving was estimated to be 145 million won and an additional 12 million won with the OA legalization. The value of Journal Repositories was estimated to be 31.2 billion won. The total value of the repository services was 31.35 billion won over the 8-year business period. This result presented an estimated economic value of a national OA repository from the key beneficiaries’ perspec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