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2435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진행했던 문화프로그램 운영사례들의 주요한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담당사서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문화프로그램 유형별 메타버스 플랫폼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공공도서관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문화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문화프로그램은 견학, 교육, 독서, 전시, 공연, 게임, 이벤트로 총 7가지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담당사서들은 견학, 전시, 게임, 이벤트에 대한 향후 활용성에 긍정적인 답변을 보였다. 교육은 문화프로그램의 성격에 따라 활용이 가능하지만, 독서와 공연은 향후 활용성이 떨어질 것이라는 답변을 보였다.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방안으로는 견학 문화프로그램은 제페토, 교육과 전시, 게임, 이벤트 문화프로그램은 게더타운과 젭의 활용성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imary features of cultural program operation instances on the metaverse platform. In addition, an interview was performed with librarians in charge of the public library culture program to get their perspectives on the viability of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for each sort of cultural program. Ultimately, we intended to provide guidelines for organizing and administering a cultural program on the metaverse platform in a public libra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seven types of cultural programs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library tours, education, reading, exhibits, performances, games, and events. librarians in charge of the public library culture program responded positively to the future use of library tours, exhibitions, games, and events. Education can be used depending on the character of the educational program while reading and performances are less likely to be used in the future. Regarding how to use the Metaverse platform, Zepeto was most likely to be used for tours, and Gather and Zep for education, exhibits, games, and ev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