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고려인 라키비움 공간구축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oryoin Larchiveum Space Construction Model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23, v.34 no.3, pp.183-204
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3.183
박현지(Hyunji Park)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장우권(Woo kwon Chang) (전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고려인 역사문화관을 중심으로 라키비움의 공간․기능을 고려한 고려인 라키비움 구축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사서, 기록연구사, 학예사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기관별 공간 및 업무 요구도 간 평균 차이를 알아보고자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2차 전문가(관장, 대표자, 고려인 전문가 등) 대상의 공간구성 요소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고려인 라키비움에 필요한 기능 위주로 설정한 공간․기능적 요소를 도출하였다. 공간요소는 도서관은 보존서고, 열람실, 휴게공간, 기록관은 기록물 보존실과 전시실, 문화관은 수장고와 전시실 등이다. 기능(업무)은 도서관 3, 기록관 5, 문화관 4개의 요소로 나타났다. 둘째, 면담 내용의 검토를 거쳐 고려인 라키비움 구축모형을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다. 공간구성은 지하1층에서 지상 3층까지 설치공간, 업무내용, 담당인력 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라키비움, 고려인, 고려인마을, 역사문화관, 공간구축모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construction model of Koryoin Larchiveum that considers the space and function of larchiveum, centering on the Koryoin Historical and Cultural Center.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librarians, archivists, and curators,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space and work requirements by institution. In addition, based on the surve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condary experts (directors, representatives, Koryoin experts, etc.) on spatial components. As a result, first, spatial and functional elements set mainly for functions necessary for Koryoin Larchiveum were derived. Spatial elements include storage, reading rooms, and resting areas for libraries, archives storage rooms and exhibition rooms for archives, and storage and exhibition rooms for cultural centers. Functions (work) were represented by 4 elements: library 3, archives 5, and cultural center. Second, after reviewing the interview, the Koryoin Larchiveum construction model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s for the spatial composition, the installation space, work contents, and manpower in charge were presented from the first basement floor to the third floor above the ground.

keywords
Larchiveum, Koryoin, Korean Village, History and Culture Center, Space Construction Model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