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이용자와 비이용자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 파주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Awareness of the Social Value of Public Libraries between Public library Users and Non-Users: Focused on Paju City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P)1229-2435; (E)2799-4767
2024, v.35 no.1, pp.47-71
https://doi.org/10.14699/kbiblia.2024.35.1.047
오동근(Dong-Geun Oh) (파주시 가람도서관 사서)
노동조(Dongjo Noh) (상명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이용자/비이용자 집단의 인식비교를 통하여 사회적 가치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보다 구체화하여 도서관 현장에 적용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파주 시민을 대상으로 2023년 5월 7일부터 15일간 대면 또는 온라인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유효 응답지 206부를 SPSS 25.0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독립표본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인구사회적 특성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에서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10대와 40대의 인식이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지역사회 개발에 대한 인식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고, 직업에 따른 인식에서도 학생, 기타, 주부, 자영업, 직장인 순으로 높았다. 둘째,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은 전 영역에서 이용자 집단이 비이용자 집단보다 높았다. 셋째, 도서관 이용 정도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향후 파주시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하여 비이용자의 이용자로의 유입과 남성과 60대, 20대를 대상으로 하는 신규 콘텐츠 및 서비스의 개발, 지역사회 활동 강화를 제안하였다.

keywords
공공도서관, 사회적 가치, 사회적 역할, 가치 평가, 가치 중심 경영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awareness of the social value of public libraries between users and non-users to materialize the abstract concept of social value and, thereby, to present measur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library field.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in person or online for 15 days from May 7, 2023, targeting Paju citizen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on 206 valid response copies using SPSS 25.0. In the results, it is shown that, first, for awareness of the social value of public librari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with in particular, awareness among those in their 10s and 40s being higher than other age groups. For awareness of community development, the awareness of the female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ale group, while, for the awareness according to occupation, it is shown that awareness was highest in the following order: student, others, housewife, self-employed, and office worker. Second, for the awareness of the social value of public libraries, the awareness of the user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user group in all areas. Third, for awareness of the social value of public librar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library u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measures to encourage non-users to become users, develop new content and services targeting male group and those in their 60s, and 20s, and strengthen community activities are needed to raise awareness of the social value of Paju City public libraries in the future.

keywords
Public Libraries, Social Value, Social Role, Valuation, Value Based Management

한국비블리아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