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권호 목록

한국 임상심리학자의 종합심리검사에 대한 견해와 활용 실태
엄정연(덕성여자대학교) ; 최승원(덕성여자대학교) pp.1-17 https://doi.org/10.15842/kjcp.2018.37.1.001
초록보기
초록

진단은 임상심리전문가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이며 이를 위해 여러 검사의 조합인 종합심리검사(Full Battery)가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시행되는 종합심리검사는 특정 검사의 고정적인 조합을 의미하고 있다. 이러한 고정적 구성이 수십 년 동안 관습적으로 시행되어온 것에 대해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관련한 연구는 전무하다시피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관습적으로 시행된 종합심리검사의 효용성을 생각해 보고, 추후 종합심리검사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데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 다양한 영역에서 종합심리검사를 시행하고 있는 임상심리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95명의 임상심리전문가에게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현재 시행 중인 종합심리검사에 포함된 검사, 주요 목적과 그에 따른 정보 정도, 만족도, 종합심리검사의 효용적인 점과 비효용적인점, 미래지향점에 대해 질문하였다. 연구결과 종합심리검사가 고정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병원장면에서는 추가적으로 신경심리검사를 시행하는 경향이 있었다. 임상심리전문가들은 종합심리검사의 가장 주된 시행목적이 진단이며, 전반적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해준다고 하였으나 일부 목적에 대해서는 정보가 부족하다고 답하였다. 이를 병원장면과 비병원장면으로 구분하여비교했을 때 병원장면에서 정보 제공 및 만족도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이 나타났다. 효용성에 관해서 수검자에 대한 이해와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해 상반된 의견이 있었으며, 무엇보다 검사 구성의 융통성에서 효용성이 부족하다는 지적과 시간 및 비용의 효율성이 부족하다는의견이 다수 보고되었다. 추후 종합심리검사의 지향점으로는 검사 구성 및 시행에 대한 유연성이 가장 강조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 임상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종합심리검사의 활용 현황과 효용성 및 미래지향점에 대한 임상심리전문가의 의견을 조사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참여한 전문가의 수가 적고 이들 중 상당수가 전문가 자격을 취득한 지 오래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존재한다. 추후 더 많은 전문가의 의견을 통해 일반화되고 구체적인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examining the usefulness of fixed psychological testing and discussing way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omprehensive psychological testing. An onlin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95 clinical psychologists as part on the study. It was found that comprehensive psychological testing consisted of a fixed configuration. The main purpose of the testing was ‘diagnostic’ and generally provided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information. But for some purposes, they didn’t provide enough information. The test provided different levels and types of information in hospital and non-hospital Participants responded that utility sides are ‘client understanding’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esting’. However ‘time and cost inefficiency’ and ‘lack of flexibility in test configuration’ were mentioned as the disadvantag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to investigate comprehensive psychological testing in Korea.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the number of involved clinical psychologists is small and many of them had recently acquired their professional qualifications.

사회적 배척이 얼굴표정 정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사회불안의 조절효과
최지수(가톨릭대학교) ; 양재원(가톨릭대학교) pp.18-30 https://doi.org/10.15842/kjcp.2018.37.1.002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Social Reconnection Hypothesis suggests that social exclusion may trigger a desire in people to form bonds with others in order to satisfy their need to belong. In the present study, we explored whether this adaptive response after social exclusion is moderated by social anxiety. Eighty-two undergraduate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including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IAS) and a recall task for social exclusion/acceptance manipulation. Thereafter, we assessed emotion recognition bias through a computer-based experiment, asking the participants to search for a target expression (happy, angry) in a crowd of faces. By applying signal detection theory, we examined sensitivity (d’) and response criterion (c) for each expression. We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emotion recognition for each expression across exclusion and acceptance, not considering social anxiety.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anxiety was found in c, not in d’. In terms of c for the angry expression, those with lower social anxiety tended to judge an angry face as “absent” after exclusion, more than after acceptance. On the other hand, those with higher social anxiety did not judge differently after exclusion/accepta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dividuals with lower social anxiety cope with exclusion through adaptive emotion recognition, whereas those with higher social anxiety do not.

아동의 ADHD 성향과 의사결정 능력이 부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예슬(유성한가족병원) ; 김교헌(충남대학교) pp.31-39 https://doi.org/10.15842/kjcp.2018.37.1.00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traits and injury behavior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mplicit and explicit decision-making abilities between ADHD traits and injury behaviors. A total of 56 elementary school students (27 boys, 29 girls) completed two decision-making tasks including Iowa Gambling Task (IGT) and Game of Dice Task (GDT). Their parents carried out an assessment battery consisting of the measures of ADHD traits and injury behaviors, such as actual injury experience and injury behavior tendenc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DHD traits of the children and their injury behaviors an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DHD traits and implicit and explicit decision-making abilities. A Bootstrap approach was used to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implicit and explicit decision-making abilities. Results indicated that, for the actual injury experience, there were no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two decision-making abilities, just the influence of ADHD traits’. In addition, for the injury behavior tendency, only the implicit decision-making ability mediates the influence of ADHD traits on injury behavior tendency. Thus, the significant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have been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overall findings, followed b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우울한 여대생의 사회적 평가에 대한 반응: 정서 및 자존감 변화를 중심으로
이지선(서강대학교) ; 김향숙(서강대학교) pp.40-53 https://doi.org/10.15842/kjcp.2018.37.1.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평가 상황에서 우울한 사람들이 보이는 상태 자존감과 정서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 참여에동의한 여학생들 중, 26명을 우울집단으로, 29명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모든 참가자들은 실험실에서 동조자와 정해진 주제로 대화를 나누었으며, 대화를 나눈 이후 긍정 피드백과 부정 피드백 조건에 무선 할당되어 긍정 혹은 부정 피드백을 받게 되었다. 자존감 및 정서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실 입장 직후, 평가를 받기 직전, 평가를 받은 직후 총 세 차례에 걸쳐 상태 자존감과 정서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정서 변화에서는 유의한 집단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자존감의 경우, 우울집단은 긍정 피드백을 받은 후, 기저선에 비해 상태 자존감이 유의하게 상승했다. 이는 우울집단의 상태 자존감이 통제집단에 비해, 사회적 피드백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은 자기 확증 이론과 자기 고양 이론의 통합적 차원에서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anges in emotion and state self-esteem of depressed individuals after social feedback. For this purpose, 26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depression (DIs) and 29 healthy controls (HC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positive or negative feedback condition and asked to converse with a confederate. Changes in emotion (positive and negative feelings) and state self-esteem after the feedback were measured by Visual Analogous Scale and Korean Version of State Self Esteem Scale, respectively.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in self-esteem, but not in emotion, between group and feedback condition was found. Specifically, HCs’ state self-esteem was unchanged after feedback. For DIs, state self-esteem was positively changed only after positive social feedback. The result indicated that, compared to HCs, DIs’ state self-esteem was more sensitively affected by social feedback.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interpreted in terms of integration of self-enhancement and self-verification theories, an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청소년의 위험회피 기질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걱정과 파국화의 매개효과
김수진(동덕여자대학교) ; 이주영(동덕여자대학교) pp.54-65 https://doi.org/10.15842/kjcp.2018.37.1.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위험회피 기질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걱정과 파국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기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43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위험회피 기질, 걱정, 파국화, 자살사고 변인들 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위험회피 기질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서 걱정과 파국화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위험회피 기질과 자살사고 간의 관계를 걱정이 매개하는 단일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위험회피 기질이 걱정과 파국화를 순차적으로 거쳐 자살사고에 도달하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높은 위험회피 기질이 자살사고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으나 직접적으로 자살사고를 일으키는 요인이기보다는 간접적으로 자살사고에 이를 수 있는 취약성임을 시사한다. 특히걱정과 파국화라는 인지적 변인을 통해 자살사고가 발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청소년들의 부정적 인지적 과정에 대한 개입이 자살사고를 조절하는 데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harm avoidance on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an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worry and catastrophizing. A total of 438 adolescents in Seoul and Kyunggi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12-18,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and Korea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harm avoidance, worry, catastrophizing, and suicidal ideation. Second, the relationship of harm avoidance and suicidal ideation was significantly mediated by worry, and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 was also significant from harm avoidance to worry, catastrophizing, and suicidal ideation successively. It is presumed that adolescents’ harm avoidance can affect suicidal ideation by mediating maladaptive cognitions. An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negative cognition is important in preventing suicidal idea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further discussed.

거부민감성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해석편향과 부정적 기억편향의 이중매개 효과 검증
박정현(강원대학교) ; 이종선(강원대학교) pp.66-79 https://doi.org/10.15842/kjcp.2018.37.1.006
초록보기
초록

거부민감성과 부정적 인지편향은 우울증의 위험인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거부민감성이란 거부에 대해 지각하고 반응하는 것에 대한 개인차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으로써, 거부민감성이 높은 사람은 대인관계 상황에서 거부당할 것이라는 불안한 기대를 가지고, 거부를 즉시 지각하며, 거부에 대해 과민한 반응을 하게 된다. 인지편향이란 주어진 정보나 상황에 대해 해석하고 기억하는 정보처리 과정에서 나타나는일련의 패턴을 일컬으며, 우울한 사람들은 부정적 인지편향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 심리적 기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함이다. 159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와 거부민감성 척도 설문지를 실시하고, e-prime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해석편향측정과제(Similarity Rating Task)와기억편향과제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모형과 두 개의 대안모형을 비교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완전이중매개인 대안모형2가 최종모형으로 선정되었으며 자료를 설명함에 있어 가장 적합하였다. 이는 높은 거부민감성이 부정적 해석편향과 부정적 기억편향을 통해 우울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하며, 거부민감성과 우울 간의 관계를 설명함에 있어 Hirsch와연구자 등이 제안한 결합된 인지편향가설(combined cognitive bias hypothesis)을 지지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치료적 함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Rejection sensitivity and negative cognitive bias are risk factors for depression. Rejection sensitivity is a concept that explains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and reactions to rejection. Individuals with high rejection sensitivity anxiously expect, readily perceive, and overreact to rejection. Cognitive bias is a pattern of deviation that occurs when people interpret and remember given information or situations. Depressed people have negative cognitive bia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interpretation bias and negative memory bi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among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 total of 159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completed the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and Similarity Rating Task using E-prime Software. Th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in this field. To compare the research model and the two alternative mode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he complete dual mediation model attained the best fit for present study. The finding suggests that high rejection sensitivity may contribute to depression through the increase of negative interpretation bias and negative memory bias. Our findings support the combined cognitive bias hypothesis proposed by Hirsch and colleagu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Finally, the therapeutic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남성 공군 조종사의 인적요인 관련 비행사고 노출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성은정(연세대학교) ; 박수현(연세대학교) pp.80-90 https://doi.org/10.15842/kjcp.2018.37.1.007
초록보기
초록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임상적 수준의 유의미한 고통뿐 아니라, 사회적·직업적 기능 수행 및 적응에 있어서도 장기간에 걸쳐 어려움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상경험에 대한 심리적 반응들은 외상사건의 종류 또는 피해를 경험한 개인들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외상사건에 노출된 개인의 특성과 외상경험 자체의 특수성을 고려한 보호요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군 전투기 조종사의 비행사고 관련 외상사건 노출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조종사들의 주된 특성이라 할 수 있는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남성 공군 전투기 조종사 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인적요인 관련 비행사고에 노출된 조종사 집단에서 그러한 경험이 없는 집단에 비해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있었다. 또한 인적요소에 의한 비행사고 노출과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조종사의 비행임무 수행 중 외상사건 노출이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유의미하게 연관될 수 있으며 높은 수준의 인지적 유연성은 외상경험이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으로 이어지는 것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s characterized by not only significant psychological distress but also long-term difficulties in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ing and adjustment. Psychological response to exposure to trauma can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raumatic incident or factors related to the individual exposed to trauma. As such,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protective factors that consid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particular nature of the trauma. The present study thus examined the effect of exposure to human error-related aircraft accident in air force pilots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Secondly, the moderation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was tested. A total of 64 male air force pilo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indicated that air force pilots exposed to human error-related aircraft accident evidenced mor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an pilots with no prior exposure to human error-related aircraft accident. Furthermore, cognitive flexibil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light-related trauma secondary to human error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e findings indicate that exposure to traumatic events during flight missions may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that high degree of cognitive flexibility may serve as a protective factor.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정서명명이 신경성 폭식증 경향 여대생의 정서적 섭식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인지적 재해석과 심리교육과의 비교
이성인(전남대학교) ; 이혜진(전남대학교) pp.91-103 https://doi.org/10.15842/kjcp.2018.37.1.008
초록보기
초록

정서명명이란 자신이 경험하는 감정이 무엇인지 이름 붙임으로써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도록 돕는 정서조절 전략이다. 본 연구는 정서명명 처치가 신경성 폭식증 경향이 있는 여대생들의 정서적 섭식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대생 901명 중신경성 폭식증 경향이 있는 42명을 선별하여 정서명명(n=14), 인지적 재해석(n=13), 심리교육(n=15) 처치 집단으로 무선할당하고 개인별로 처치를 진행하였다. 처치가 끝난 후 즉흥 발표 과제를 실시하여 불안을 유도하였고, 발표를 하면서 앞서 훈련한 정서명명 또는 인지적 재해석 전략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발표가 끝난 후에는 가짜 맛 평가 과제를 실시하여 참여자들이 섭취한 고탄수화물 간식(빵, 초콜릿, 감자칩)의 양(kcal)으로 정서적 섭식행동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정서명명과 인지적 재해석 집단은 심리교육 집단에 비해 발표 과제 당시 불안 수준이 유의하게 낮았고, 발표 후 실제 간식 섭취량 또한 유의하게 낮았다. 특히, 정서명명 집단은 인지적 재해석 집단보다 간식 섭취량이유의하게 더 낮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정서명명과 인지적 재해석 처치 둘 다 불안으로 인한 섭식행동 감소에 효과적이며, 특히 정서명명 처치는 인지적 재해석 처치보다 더욱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이 같은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임상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ffect labeling refers to naming one’s emotional experiences, which has proven to be a helpful strategy in down-regulating negative emo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ffect labeling on reducing emotion-induced eating among individuals with bulimic symptoms. Forty-two female undergraduates with bulimic tendencie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treatment groups: affect labeling (AL; n=14), cognitive reappraisal (CR; n=13), or psychological education (PE; n=15). Following treatment, an impromptu speech task was given in order to induce anxiety, and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use the previously learned strategy during the speech task. Subsequently, a bogus taste test was conducted with high-carbohydrate snacks, and snack intake (kcal) was calculated as a measure of anxiety-induced eating behaviors.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AL and CR groups reported lower speech anxiety and consumed less snacks, as compared to the PE group. Furthermore, the AL group consumed even less snacks than the CR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ile both AL and CR are effective in reducing anxiety-induced eating behaviors, AL may be more effective than CR.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임상용 도박인지척도(GRCS-12)의 개발과 타당화: 임상표본
전영민(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 이정임(고려대학교) ; 박은경(이화여자대학교) pp.104-118 https://doi.org/10.15842/kjcp.2018.37.1.00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clinical version of the Gambling Related Cognition Scale (GRCS-12), which is based on Gambling Related Cognitions Scale (GRCS) and confirm its optimal validity for Korean clinical sample. A total of 2,420 problem/pathological gamblers (male 97.1%) seeking treatment for gambling disorder completed the GRCS.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Item analysis and explanatory factor analysis (EFA) were performed on the data of group 1(1,237) to construct GRCS-12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as performed on the data of group 2 (1,183) and the validity of GRCS-12 was confirmed. Based on the results of item analysis and EFA on the data of group 1, GRCS-12 consisting of four factors (prediction/interpretation, gambling-related expectancies, illusion of control, and perceived inability to stop gambling) and twelve items was constructed for group 1. The four factors accounted for 67.06% of the total variance.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confirmed using group 2. The CFA results indicated that the four factors had internal consistency ranging from 0.68 to 0.72, while the reliability of all twelve items was 0.80. Thus, GRCS-12 showed good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criterion-related and predictive validity, and sensitivity to chang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have also been discussed.

한국판 모멸감 척도(K-HI)의 타당화 연구
이세라(전남대학교) ; 신현균(전남대학교) pp.119-129 https://doi.org/10.15842/kjcp.2018.37.1.010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Humiliation Inventory (HI) was developed by Hartling and Luchetta(1999) to assess the internal experience of humili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HI (K-HI).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as conducted on the data of 252 adults (Mean age=34.83, SD=7.6) to check factorial validation. After 10 items that cross-loaded onto two factors were removed, three factors of 22 items were confirmed. Based on the E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as conducted on the data of 253 adults (Mean age=34.12, SD=8.5) to test the stability and generalization of the factor structure. The original Inventory had two subscales: “fear of humiliation” (F1), and “cumulative humiliation” (F2). When a third factor, “humiliation of incompetence” (F3), was added to K-HI, the model fit (TLI=.90, CFI=.91, RMSEA=.09) was better than that of the two-factor model. This result may reflect cultural distinctiveness. Korea is a highly competitive society,-; therefore, “fear of humiliation” and “humiliation of incompetence” may have different meanings among the Korean people. Also, K-HI exhibited appropriate concurrent validity. It correlated with Internalized Shame positively and with Rosenberg’s Self-Esteem negatively. Assuming that humiliation correlates with anger and aggression, correlat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with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They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and demonstrated the clinical utility of K-HI. Cronbach’s αs of the three factors were good (F1=.96, F2=.94, F3=.81). K-HI is expected to be used in the studies of other themes, such as anger, aggression, depression, suicide, and psychotherap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