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가정폭력 PTSD 척도 개발 및 구인 타당도 검증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PTSD Assessment Scale for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대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요인 분석 등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DSM-IV의 진단기준과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PTSD 측정 문항을 제작한 후, 가정폭력 피해 여성집단과 일반 기혼여성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개발한 측정도구의 내적 합치도는 우수하였고,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2요인이 산출되었다. 1요인은 재경험(re-experiencing)/회피(avoidance), 2요인은 정서적 무감각(emotional numbing)/과각성(hyperarousal)으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두 집단을 대상으로 가정폭력 피해여성 PTSD 척도, PDS(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IES-R(Impact of Event Scale-Revised)의 상관관계를 측정한 결과, 가정폭력 피해여성 PTSD 척도와 PDS, 가정폭력 피해여성 PTSD 척도와 IES-R, PDS와 IES-R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존재하였다. 또, 가정폭력 PTSD 평가척도, PDS, IES-R을 측정해 집단간 차이를 살펴보았는데, 세 척도 결과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keywords
Domestic violence, PTSD, factor mode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velopment of a scale, 가정폭력, PTSD, 요인설, 탐색적 요인 분석, 도구 개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TSD Assessment Scale for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examine its construct validity.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is the most common mental disorder among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This is why accurate assessment is important from the viewpoint of victim treatment. Twenty six items were generated through the previously published literature, especially DSM-IV. With this final scale, an investigation has been executed to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married women.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wo factors have been derived: re-experiencing/ avoidance, emotional numbing/hyper arousal.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the PTSD Assessment Scale and PDS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the PTSD Assessment Scale and IES-R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PDS and IES-R. Two groups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group and married women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in each scale, the PTSD Assessment Scale, PDS and IES-R. The research limitations and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keywords
Domestic violence, PTSD, factor mode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velopment of a scale, 가정폭력, PTSD, 요인설, 탐색적 요인 분석, 도구 개발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