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연쇄성 방화범과 비연쇄성 방화범의 범죄행동 비교 분석

Study to compare crime scene actions of serial arsonists with those of non-serial arsonists

초록

본 논문 목적은 연쇄성 방화범과 비연쇄성 방화범의 특성과 범죄행동을 비교 분석하고 연쇄 방화범의 유형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찰청 및 전국지방경찰청에서 운영하는 과학적 범죄분석시스템인 SCAS에서 2006년부터 2009년 사이에 검거된 방화범죄자 127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단일방화 76건, 연속방화 26건, 연쇄방화 25건이 분류되었고 남성이 119명, 여성이 8명이었다. 분석결과 범행 계획, 대상선정, 범죄자와 피해자 관계, 이동수단, 장소선정 및 침입여부, 범행동기, 정신과 치료경험에 있어서 차이가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연쇄방화범의 경우 사전에 범행을 계획하고 대상은 우발적으로 선정하며 주로 도보이동을 하였다. 또한 인적이 드문 장소를 선정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피해자와는 비면식 관계인 경우가 많았다. 범행 후 현장에서 관찰하는 경우가 많으며 범행동기는 심리적 긴장감 해소와 같은 개인 감정의 해소인 경우가 많았다. 연쇄 방화범의 유형은 좌절에 의한 방화, 보복적 방화, 이익추구적 방화, 자기과시적 방화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됨이 확인되었다.

keywords
방화 연쇄방화 프로파일링 연쇄방화 유형 arson serial arson crime scene actions criminal profiling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crime scene actions of serial arsonists with those of non-serial arsonists and analyzed the type of serial arsonists based on crime scene actions. 127 cases was selected through Scientific Crime Analysis System run by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These cases were classified as single arson, spree arson and serial arson. As a result, there are several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serial arsonists selected a target, It was opportunistic. They typically walked to the scene of the crime and designed the arson previously. The motive serial arsonists set fires is to gain the psychological gratification or to relieve his stress. Serial arsonits were classified as four types: despair, display, revenge and profit motivated serial arsonists.

keywords
방화 연쇄방화 프로파일링 연쇄방화 유형 arson serial arson crime scene actions criminal profiling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