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The process of biased hypothesis testing, which occurs when people tend to search for information that would provide support for their hypotheses and ignore hypotheses-disconfirming information, may influence the ways individuals interact with other people, and may end up eliciting behaviors in others that actually correspond to their initial hypotheses, leading them to provide behavioral evidence for the initial expectancies. These processes of biased hypothesis testing and behavioral confirmation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especially in the instructional setting as a type of self-fulfilling prophecies. In the current paper manifestations of the processes of biased hypothesis testing and behavioral confirmation in three areas of the legal system, legal decision making, police interrogations (false confessions), and eyewitness identifications, were discussed. Furthermore, procedures that can be used to minimize problems resulting from biased hypothesis testing and behavioral confirmation were explored.
본 연구는 사건관련전위를 이용하여 정신병질자들이 정서인식에 따른 반응억제의 어려움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교도소에 수용 중인 수형자들을 대상으로 PCL-R(Psychopathy Checklist–Revised)의 점수에 따라 6명의 정신병질 수형자집단과 4명의 정상 수형자집단을 선별하고, 얼굴자극을 이용한 시각 Go/NoGo 과제를 실시하였다. 모든 피험자들은 Go 자극에 버튼을 누르고 NoGo 자극에 버튼을 누르지 않도록 지시를 받았으며, 과제를 실시하는 동안 사건관련전위를 측정하였다. 과제 1에서는 공포표정을 NoGo자극으로 사용하고 중성표정을 Go자극으로 사용하였으며, 과제 2에서는 슬픈 표정을 NoGo자극으로 사용하고 중성표정을 Go자극으로 사용하였다. 과제 3에서는 행복표정을 NoGo자극으로 사용하고 중성표정을 Go자극으로 사용하였다. 정신병질 수형자집단은 공포표정의 NoGo P3 진폭이 중성표정의 Go P3 진폭보다 크게 나타난 반면에 정상 수형자집단은 공포표정과 중성표정 간의 P3 요인의 진폭이 유사하거나 공포표정의 NoGo P3 진폭보다 중성표정의 Go P3 진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P3 잠재기를 분석한 결과, 정신병질 수형자집단은 슬픔 표정자극의 NoGo조건에서 중성표정자극의 Go조건보다 느린 P3 잠재기를 나타낸 반면, 정상 수형자집단은 NoGo조건에서 Go조건보다 빠른 P3 잠재기를 나타냈다. 정서인식검사결과, 정신병질 수형자집단은 정상 수형자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정확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병질자들이 공포, 슬픔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인식한 후에 반응을 억제하는데 인지적인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investigated response inhibition and emotional recognition in psychopathic and nonpsychopathic inmates according to the scores of Psychopathy Checklist–Revised. Event-related potentials were collected as subjects performed three emotional Go/NoGo tasks that required participants to respond in Go condition and to inhibit response in NoGo condition. In all tasks, Go stimuli were neutral faces. NoGo stimuli of Task 1 were fearful faces and NoGo stimuli of Task 2 were sad faces and NoGo stimuli of Task 3 were happy faces. The psychopathic offenders showed greater P3 amplitude for fearful faces than for neutral faces at the frontocentral and central areas. For the nonpsychopathic offendoers, this effect was absent or the P3 amplitude was larger on neutral faces than on fearful faces. In Emotional Recognition Test, the psychopaths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than the nonpsychopaths. These results support that the neural processes involved in response inhibition are abnormal in psychopaths when emotional stimuli of facial expressions a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비수감자 집단을 대상으로 정신병질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개발된 정신병질 자기보고검사(the Self-Report Psychopathy Scale: SRPS)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본 검사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수감자 집단에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비수감자 집단인 대학생들(509명)과 수감자 집단인 재소자들(411명)에게 한국어판 정신병질 자기보고검사를 실시하였다. 정신병질 자기보고검사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수감자 집단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추출된 요인들이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신병질의 구성개념과 대부분 일치하고 있었다. 비수감자 집단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5요인 모형과 6요인 모형이 추출되었고, 최적의 요인 모형을 선정하고자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5요인 모형이 6요인 모형보다 더욱 적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정신병질 자기보고검사의 수감자 집단에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감자 집단에 대한 5요인 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비수감자 집단에서 도출된 요인 모형은 수감자 집단에 적용하기에 최적의 적합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한국어판 정신병질 자기보고검사 도구를 마련하여 그 타당도를 검증하고 수감자 집단에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Self-Report Psychopathy Scale (SRPS) and investigate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 scale in a institutionalized population. The SRPS was developed to assess psychopathic attributes in a noninstitutionalized population by Levenson, Kiehl, & Fitzpatrick (1995). The samples consisted of 509 undergraduates (as noninstitutionalized sample) and 411 prisoners (as institutionalized sample).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the noninstitutionalized sample provided the evidence for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RPS. The result of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the noninstitutionalized sample confirmed that 5-factor model was fit to the data. 5-fact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institutionalized sample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dequacy of fit in association with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 SRPS in a institutionalized population, The result confirmed that the SRPS was a reference data rather than a good scal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Finally th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범죄자 프로파일링 기법 중 최근에는 범행현장에서 발견되는 범죄자의 행동차이를 토대로 사건을 분석하는 추세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는 범죄 수사단계에서의 활용가치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피해자만이 발생하는 아동의 실종(납치)발생 시 범죄현장의 행동근거로 유추하는 프로파일링 수사기법도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다행스럽게도, 성범죄 목적으로 아동을 납치, 살해하는 범죄자의 범행 특성이 한 범죄자가 범행한 것과 같이 동일한 범행수법을 보인다는 경험적 연구결과는 아동납치성살해범 수사에 매우 유용할 것이다. 본 논문은 외국의 아동납치성살해범의 범행특성과의 비교를 위해 국내 아동납치성살해범의 자료를 검토하였다. 사례 수 부족으로 인한 일반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이들의 주된 목적이 아동성범죄임에 착안, 13세미만 아동성범죄의 M.O.를 함께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외국 범죄자처럼 국내 아동납치성살해범도 범행 초기, 중, 후의 범행수법이 대부분 유사했다. 즉, 대부분의 범죄 피해자는 범인과의 면식관계가 없는 우연적으로 만난 평범한 아이들이었으며 환심을 사거나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으로 조우하였다. 또한 과도한 구속과 통제가 필요없는 아동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납치 즉시 과도한 폭력으로 아동을 구속하였고, 납치의 가장 주된 목적은 성적 원인이었다. 하지만, 살인까지 일련의 시나리오처럼 연결된다는 외국의 경우와는 달리 국내범죄자에게 있어 살인은 합리적인 이유에 의해 이뤄졌다. 범행 후 사체는 대부분 토막, 유기하였다. 다행히 피해자가 생존했을 경우를 제외하고 국내 아동납치성살해범 수사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분기점은 사체발견시점이며 그로 인한 범인검거는 평균 3일을 넘지 않았다. 반면, 13세미만아동성범죄자의 경우, 피해아동선택방법을 제외한 조우방법, 범행 중, 후, 각각에서 아동납치성살해범과의 유사성은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범죄 아동실종(특히, 성적 납치)의 수사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인데, 첫째는 지역민의 협조를 얻어내어 납치 초기시점의 저인망식 수색을 하는 것이고, 둘째는 공개시점의 단축, 마지막으로 지역 내 시민공동체의 활성화이다. 부수적으로 13세미만 아동성범죄자 사례를 통한 범죄예방을 제안하자면, 사법부에서는 이런 경우 지능이나 사회성 검사 등을 범죄자정보에 필수화시키고 이들을 위한 지역 내 정서지원, 사회적응훈련을 통해 범죄예방을 모색해볼 수 있을 것이다. 심리학과 사회학, 범죄학자들의 조력을 통한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경찰수사력의 향상은 기본적으로 중요한 일이지만 외국의 실종, 아동 납치수사와 관련된 많은 자료는 피해자 가족을 포함한 지역사회가 수사의 주체임을 강조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국내의 실종수사에도 지역 내 개개인이 함께 공동체로 참여할 수 있는 의식이 필요하다. 나아가 보다 많은 실증적 자료 분석을 통해 아동실종사건 발생 시 실종과 납치를 변별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Criminal Profiling Investigation on the basis of criminal behavior distinction Analysis in crime scene have increased in recent year, and this is useful high. But there is on children missing(or kidnapping) only victim, that is not useful. Fortunately, empirical study findings according to interview of offenders show that they similar/same M.O. feature per criminal as though they are same people do that. And that results are very useful in child-kidnapping-sexual assault murder investigation. For comparison on result of external cases, I examine internal child-kidnapping-sexual assault and murder cases. In order to make up for the mistake of hasty generalization due to lake of the cases, I search cases of molesting children under 13, pay attention that they have sexual motive for children. The result of internal child-kidnapping-sexual assault and murder cases were similar/same M.O. with pre, in, and post crime, as external cases. In short, most of crime victim is ordinary children and they(victim and criminal) met by chance on the street. Criminal get their victim using flirt with victim or ask for help. And right after kidnapping, they had binding and control victim using excessive assault, they are just children although not necessary control. And they kidnapped for main desires, sexual drive. But they killed victim by rational reason, differ from external murder caused by sex motive happened like a serial scenario. Post crime, most of body was dismembered and abandoned. Except survival victim fortunately, body finding point marked a watershed in internal child-kidnapping-sexual assault-murder investigation. And then criminal was arrested in about 3days. Otherwise offender of children under 13 differs from child-kidnapping-sexual assault-murderer. It's differ from encounter to post crime, except choice of victims. Through these findings, I can offer crime child missing(especially, sexual kidnapping) investigation outline. First, child missing/kidnapping investigation have to dragnet investigation in the early kidnapping through search cooperation a local resident. Second, police have to short the point of open, and finally it's necessary to come up with measures to increase civil community. Incidentally, I offer crime preventation based on the cases of offender of children under 13. Department of Justice have to include the intelligence and social test, just in case of the offender of children under 13. And I can prevent children's sexual crime for support emotion and training for social adaptation of community. Basically, police investigative capacity need to increase objective and specialized through assistance from outside such as psychologist, sociologist and criminologist. But lots of the data about external missing, child kidnapping investigation emphasize that main agent is the local community include victim family. In conclusion, it's necessary to be mindful of join in local community in these investigation. Furthermore, I think that is in need of study for discrimination between just missing(run away from home, lose a way, etc.) and kidnapping, through the empirical data analysis.
The present paper explored the relation between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sexual aggression. Many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offenders report that significant proportion of juvenile or adult sexual offenders were sexual abuse victims in childhood. Paradoxically, some of sexually abused children recapitulate the abuse experience by engaging in sexual offense as juveniles or adults. This paper proposes that PTSD symptoms could be important mediating variables for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sexual victimization and subsequent sexual offending in adulthood. Trauma symptoms such as intrusive memory may lead to trauma-associated feelings such as fear and helplessness, which may in turn disrupt offenders’ subsequent socio-cognitive-emotional functioning. Disruptive socio-cognitive-emotional functioning finally contributes to engaging in maladaptive behaviors such as sexual offense.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비행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폭력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소년원 학생 중 518명을 대상으로 질문지검사를 실시하여 가정폭력경험과 대중매체폭력경험, 충동성 간의 관계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폭력경험, 대중매체폭력경험, 충동성이 폭력행동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폭력경험과 대중매체폭력경험이 충동성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폭력경험과 대중매체폭력경험이 충동성을 매개로 하여 폭력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폭력행동의 원인을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고, 연구결과를 폭력관련비행경험을 가진 청소년에게 적절한 개입을 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relate variables of adolescent's violent behavior. 518 adolescents in Youth Detention Center of the whole country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experiences of family violence, experiences of mass media violence, Impulsivenss and violent behavior.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sed using Amos 18.0 and a maximum likelibood mimimizatin function.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TLI,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The results was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 of experiences family violence, experiences of mass media violence, Impulsiveness on violent behavior on adolencent's violental behavior was significant. Second, the direct effect of experiences family violence, experiences of mass media violence on impuliveness was significant. Finally, the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f experiences of family violence and mass media violence was mediated by impuls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