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말백합,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유생과 초기치패의 영양강화제에 따른 성장 및 생존

Growth and Survival on Enrichment of Larvae and Early Spats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초록

본 연구는 백합 인공종묘생산 시 유생 및 치패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하여 미세조류 (Chaetoceros gracilis, Isochrysis galbana)에 <TEX>$B_{12}$</TEX>, 키토산, PSB 및 다당류 등으로 영양 강화한 먹이생물을 공급하여 유생과 치패의 성장 및 생존율 등을 조사한 결과이다. 실험에 사용한 어미는 2010년 7월 23일 전남 영광군 백수면 하사리에서 채집된 어미를 수송하여 채란한 D형 유생 (각장 <TEX>$89.7{\pm}6.4{\mu}m$</TEX>) 과 착저 치패 (각장 <TEX>$198{\pm}12{\mu}m$</TEX>) 를 사용하였으며, 시험기간은 2010년 7월 25일부터 10월 4일까지 70일간 시험하였다. 미세조류 (Chaetoceros gracilis, Isochrysis galbana ) 에 <TEX>$B_{12}$</TEX> 0.1 ppm, 키토산 0.2 ppm, PSB 3 ppm 및 다당류 1 ppm 으로 영양 강화하여 유생사육 시 매일 <TEX>$3{\times}10^3-15{\times}10^3Cells/mL$</TEX>를 공급하여 성장 및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유생의 성장은 PSB 실험구 <TEX>$199{\pm}0.59{\mu}m$</TEX>, <TEX>$B_{12}$</TEX> 실험구 <TEX>$198{\pm}0.64{\mu}m$</TEX>, 키토산 <TEX>$197{\pm}0.52{\mu}m$</TEX>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생존율은 PSB 실험구가 99.3%로 가장 높았고, <TEX>$B_{12}$</TEX> 95.9%, 키토산 94.5%로 나타났다. 초기치패의 성장은 PSB 실험구가 <TEX>$2.74{\pm}0.58mm$</TEX> 로 가장 높았고, 다당류 <TEX>$2.67{\pm}0.55mm$</TEX>, <TEX>$B_{12}$</TEX> <TEX>$2.54{\pm}0.48mm$</TEX>, 키토산 <TEX>$2.49{\pm}0.51mm$</TEX> 순이었고, 생존율은 PSB 실험구가 32.1%로 가장 높았고, <TEX>$B_{12}$</TEX> 31.6%, 키토산 28.5%, 다당류 21.4% 순이었음. 이러한 결과 PSB의 경우 백합 초기치패 사육 시 저질 개선 효과가 있어 매우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고, 특히 바닥식 초기치패 사육의 경우 원생동물과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차후에 다른 약품들과 다양한 부분에서 세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Hard Clam, Spats, Live Food, Meretrix petechialis

Abstract

본 연구는 백합 인공종묘생산 시 유생 및 치패의 생존율을높이기 위하여 미세조류 (Chaetoceros gracilis, Isochrysis galbana)에 B_(12), 키토산, PSB 및 다당류 등으로 영양 강화한먹이생물을 공급하여 유생과 치패의 성장 및 생존율 등을 조사한 결과이다. 실험에 사용한 어미는 2010년 7월 23일 전남 영광군 백수면 하사리에서 채집된 어미를 수송하여 채란한 D형유생 (각장 89.7 ± 6.4 μm) 과 착저 치패 (각장 198 ± 12μm) 를 사용하였으며, 시험기간은 2010년 7월 25일부터 10월 4일까지 70일간 시험하였다. 미세조류 (Chaetoceros gracilis, Isochrysis galbana ) 에 B12 0.1 ppm, 키토산0.2 ppm, PSB 3 ppm 및 다당류 1 ppm 으로 영양 강화하여 유생사육 시 매일 3 × 10³(-15) × 10³ Cells/mL를 공급하여 성장 및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유생의 성장은 PSB 실험구 199 ± 0.59 μm,B12 실험구 198 ± 0.64 μm, 키토산 197 ± 0.52 μm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생존율은 PSB 실험구가 99.3%로 가장 높았고, B12 95.9%, 키토산 94.5%로 나타났다. 초기치패의 성장은 PSB 실험구가 2.74 ± 0.58 mm 로 가장 높았고, 다당류 2.67 ± 0.55 mm, B_(12) 2.54 ± 0.48mm, 키토산 2.49 ± 0.51 mm 순이었고, 생존율은 PSB 실험구가 32.1%로 가장 높았고, B12 31.6%, 키토산 28.5%, 다당류 21.4% 순이었음. 이러한 결과 PSB의 경우 백합 초기치패 사육 시 저질 개선 효과가 있어 매우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고, 특히 바닥식 초기치패 사육의 경우 원생동물과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차후에 다른 약품들과 다양한부분에서 세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Hard Clam, Spats, Live Food, Meretrix petechialis

참고문헌

1.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tests, Biometrices, 11: 1-42.

2.

Gauuza E, Benitez-Santana T, Atalah E, Vega-Orellana O, Ganga R and Izquierdo MS (2008) Crythecodinium cohinii and Schizochytrium sp. as potential substitutes to fisheries-derivid oils form seabream(Sparus aurata) microdiets. Aquaculture, 277: 109-116.

3.

Harel M, Koven W, Lein I Bar Y, Behrens P, stubblefield J, Zohar Y and Place AR. (2002) Advanced DHA, EPA and ArA enrichment materials for marine aquaculture using single cell heterotrophs. Aquaculture, 213: 347-362.

4.

Jiang Y, Chen F and Liang SZ. (1999) Production potential of docosahexaenoic acid by the heterotrophic narine dinoflagellate Crythecodinium cohinii. Process Biochem, 34: 633-637.

5.

Kamlangdee N and Fan KW. (200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roduction by Schizochytrium sp. isolated from mangrove. Songklanakarin J. Sci. Technol., 25: 643-650

6.

Kim, B.H., T.S. Moon, Y.G. Park, Y.G. Jin and Y.K. Shin (2009) Effect of Temperature on Induced Sexual Maturation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broodstock.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5: 113-119.

7.

Kim B.H., T.S. Moon, Y.G. Park, P.G. Jo and M.C. Kim (2010) Study on Spawning Induction and Larvae Breeding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6: 151-156.

8.

Kim, J.J., S.C. Kim and H.C. Hong (2004). Molecular phylogeny of Veneridae on the basis of partial sequences of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I.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0: 171-181.

9.

Min, D.K. (2005). Molluks in Korea. Hangule Co., 230pp.

10.

유성규 (2000). 천해양식. 구덕출판사. 부산. 639pp.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