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분변화에 따른 북방전복의 생리적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고염분 및 저염분의 농도에 따라 생존율, 삼투질농도, 대사율 및 조직학적 반응을 분석하였다. 염분변화에 따른 북방전복의 생존율은 37 psu에서는 100%였다. 반면 19.8 psu에서 노출 6일째, 12.8 psu 이하에서는 노출 24시간 이내 모두 사망하여 북방전복의 7-days LS50은 24.9 psu (20.1-28.2 psu)를 나타내었다. 염분변화에 따른 호흡률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반면 암모니아질소 배설률은 증가하였다. 삼투질농도는 염분 26.8 psu이상에서는 1시간 이내 순치하였다. 북방전복 발근육의 조직학적 반응은 염분감소에 따라 혈림프동의 확장, 상피세포의 괴사 및 식세포 증가 등의 현상이 관찰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survival rate, osmorality, respiration and excretion rate and histological response with change of salinity in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at 24 ± 1℃. Survival rate was 100% at 37.0 psu whereas all died after 6 days at 19.8 psu and within 24 hours at 12.8 psu respectively. The 7-day median lethal limit (7day-LS50) was 20.1-28.2 psu with confidence limits of 20.1-28.2 psu. Respiration rate in low salinity groups was lower than control group, but ammonia excretion rate was more increased in comparison to control group. Osmorality was acclimated within 1 hour at above of 26.8 psu but others could not acclimated at each experimental salinity. Histological observation of foot muscle showed hemolymph sinus distension, epidermal destruction and increased infiltration of phagocytic hem
2008년 4월에 전남 고흥군 포두면 남성리 지선에서 바지락이 서식하기 어려운 니질의 양식장에 폐기물로 처리되는 굴 패각을 분쇄하여 넣어준 후, 2008년 6월에 울산 태화강에서 채취한 바지락 종패를 씨뿌림하여 양식 가능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조사해역 저질의 입도분석에서 굴 패각을 넣어준 시험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평균 입도와 평균 분급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퇴적물에서도 산휘발성황화물 (AVS), 화학적 산소요구량 (COD), 강열감량 (IL), 함수율이 굴 패각 시험구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굴 패각을 이용한 바지락 양식장 저질개선 후, 2008년 6월에 평균 각장 21.00 mm, 전중량 1.86 g을 씨뿌림하였다. 23개월이 경과한 2010년 4월에 굴 패각 시험구에서는 각장 36.10 mm, 전중량 8.92 g으로 성장하였으며, 최종 생존율은 43.5%로 나타났다. 그러나 굴 패각을 넣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13개월이 경과한 2009년 7월에 각장 32.62 mm, 전중량 7.34 g으로 성장은 빠르게 나타났으나, 모두 폐사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2008년 4월에 전남 고흥군 포두면 남성리 지선에서 바지락 이 서식하기 어려운 니질의 양식장에 폐기물로 처리되는 굴 패각을 분쇄하여 넣어준 후, 2008년 6월에 울산 태화강에서 채취한 바지락 종패를 씨뿌림하여 양식 가능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조사해역 저질의 입도분석에서 굴 패각을 넣어준 시험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평균 입도와 평균 분급도는 증가한 것으로나타났다. 또한 퇴적물에서도 산휘발성황화물 (AVS), 화학적산소요구량 (COD), 강열감량 (IL), 함수율이 굴 패각 시험구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굴 패각을 이용한 바지락 양식장 저질개선 후, 2008년 6월에 평균 각장 21.00 mm, 전중량 1.86 g을 씨뿌림하였다. 23개월이 경과한 2010년 4월에 굴 패각 시험구에서는 각장36.10 mm, 전중량 8.92 g으로 성장하였으며, 최종 생존율은43.5%로 나타났다. 그러나 굴 패각을 넣지 않은 대조구에서는13개월이 경과한 2009년 7월에 각장 32.62 mm, 전중량7.34 g으로 성장은 빠르게 나타났으나, 모두 폐사하는 결과를나타냈다.
This paper examines relation between growth of adult top shell and their selectivity over different marine algae. For the study the top shell density and the algal species in different depth were surveyed by SCUBA. To test selectivity over different types of algae, five algal species including Ecklonia cava, Undaria pinnatifida, Ulva spp, Gelidium amansii and Sargassum spp were provided to top shells in indoor water tank condition. In the field survey, the wet weight of Ecklonia cava was significantly (r = 0.612, p < 0.05) correlated to the shell length (SL) of top shell. In the indoor water tank experiment conducted over 12 hours after sunrise, adult top shell (SL > SL 4.5 cm) tended to select Ecklonia cava and Undaria pinnatifida, which are common and abundant algal in the subtidal waters in Jeju Island. Our field survey and the indoor experiment suggest that E. cava and U. pinnatifida could be food preferred by adult top shell in its habitat.
유생의 발달크기에 따라 미세조류 12종에 대하여 섭취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유생의 크기에 따라 섭취 가능한 미세조류는 많은 차이를 보였다. 전체 유생크기에서 I. galban, I. aff. galbana, P. lutheri, C. ellipsoidea, N. oculata는 94.2-99.7%의 섭취율를 보였고, C. calcitrans, C. gracilis, C. simplex는 평균 각장 <TEX>$189.3{\pm}13.8{\mu}m$</TEX> 크기인 중형 각 정기 이후 90.0% 이상의 섭취율을 보였다. P. triconutum, D. tertiolecta, T. tetrathele는 평균 각장 <TEX>$65.0-100.0{\mu}m$</TEX>의 D형 유생은 섭취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이후 유생에서는 각각 97.3-99.7%, 43.3-99.3%, 48.5-99.3% 섭취하였다. 그러나 T. weissflogii는 평균 각장 <TEX>$306.2{\pm}14.7{\mu}m$</TEX> 이상에서 1.0-1.7%의 섭취율을 보였지만, 전체 유생기동안 그의 섭취가 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이용해 전체 50.0% 이상 섭취 가능한 먹이생물의 세포크기를 조사한 결과, 평균 각장 <TEX>$102.3{\mu}m$</TEX> 이하의 D형 단계는 장축과 단축 모두 <TEX>$4.6{\mu}m$</TEX> 이하, <TEX>$158.3{\mu}m$</TEX> 미만에서는 장축기준으로 <TEX>$9.3{\mu}m$</TEX> 미만까지 섭취가 가능하고, <TEX>$158.3{\mu}m$</TEX> 이상 크기는 단축 기준 <TEX>$9.3{\mu}m$</TEX>까지 섭취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제 유생기 동안 장축과 단축을 포함해서 <TEX>$10.0{\mu}m$</TEX> 이상은 섭취가 되지 않았다.
유생의 발달크기에 따라 미세조류 12종에 대하여 섭취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유생의 크기에 따라 섭취 가능한 미세조류는많은 차이를 보였다. 전체 유생크기에서 I. galban, I. aff. galbana, P. lutheri, C. ellipsoidea, N. oculata는94.2-99.7%의 섭취율를 보였고, C. calcitrans, C. gracilis,C. simplex는 평균 각장 189.3 ± 13.8 μm 크기인 중형 각정기 이 후 90.0% 이상의 섭취율을 보였다. P. triconutum,D. tertiolecta, T. tetrathele는 평균 각장 65.0-100.0 μm의D형 유생은 섭취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이 후 유생에서는 각각 97.3-99.7%, 43.3-99.3%, 48.5-99.3% 섭취하였다. 그러나 T. weissflogii는 평균 각장 306.2 ± 14.7 μm 이상에서1.0-1.7%의 섭취율을 보였지만, 전체 유생기동안 그의 섭취가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이용해 전체 50.0% 이상 섭취 가능한 먹이생물의 세포크기를 조사한 결과, 평균 각장 102.3μm 이하의 D형 단계는 장축과 단축 모두 4.6 μm 이하,158.3 μm 미만에서는 장축기준으로 9.3 μm 미만까지 섭취가 가능하고, 158.3 μm 이상 크기는 단축 기준 9.3 μm까지섭취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제 유생기 동안 장축과 단축을 포함해서 10.0 μm 이상은 섭취가 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북방전복 (H. discus hannai) 의 겨울철 저수온으로 발생하는 폐사원인 규명을 위한 생리학적인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온 12℃를 대조구로 7℃ 및 4℃의 실험구를 설정하고 10일간에 걸쳐 생존율, 항산화효소의 활성 및 총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7℃ 저수온 실험구에서는SOD 활성 및 총 단백질 농도가 대조구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생존율은 90.8%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4℃ 저수온 실험구에서는 SOD 활성은 노출직후에 급격히 상승하여 12시간째까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총 단백질농도에 있어서는 24시간째부터 실험종료 시까지 대조구보다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생존율은 3일째 10마리의 폐사를 시작으로 10일째 전 개체가 페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북방전복 (H. discus hannai) 은 7℃의 저수온 실험구에서는다양한 생리적 기작을 이용하여 생존이 가능한 반면에 4℃의저수온 실험구에서는 생리적 순응반응을 나타내고 있으나 방어기작의 한계를 벗어나 생존이 불가능하다고 추정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the basic data on physiological responses of low water temperature stress of the cultured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Abalones were exposed at low water temperatures of 7℃ and 4℃. We have investigated survival rate,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and total protein (TP) in the abalone by the exposure times (0, 3, 6, 12, 24, 72, 120, 168 and 216 hours). Survival rate of the abalone at 7℃ experiment was 90.8%, whereas at 4℃ experiment was 0% after exposure 10 days. SOD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12 hours after exposure to 4℃, and then was recovered to starting level after 24 hour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12℃) and 7℃ experiments. T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216 hours after 24 hours at 4℃ experiment, but 7℃ experim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control (12℃) experiment. Therefore, H. discus hannai was acclimated in low water temperature stress at 7℃, but at 4℃, all abalone died possibly because they exceed the limits of defense ability to too low temperature.
동해안 일대의 양식자원 증식과 어업인의 소득증대를 위해남해안 일대에서 주를 이루고 있는 전복양식을 동해안 일대로넓히기 위해서 수심이 깊고 파고가 높은 동해안 지역에 맞는전복과 해삼 복합사육기를 개발하고 복합사육기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양식 생산력을 조사하였다. 전복해삼복합사육기에각장 5 cm 전복 500마리와 7-9 cm 해삼을 50, 75, 100마리로각각 넣어 실험한 결과 해삼 적정수용능력은 13-18마리/m2로서 사육기당 52-72마리가 적절하였다. 수용량에 따른 생화학적건강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복합사육기에 각장 5 cm 전복 300마리와 500마리를 각기 달리 수용하고, Reflotron kit를 이용하여 GOT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와 GPT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를 조사하였으며, 전복과 해삼을 함께 사육하여 RNA/DHA ratio와 DNA 및RNA contents (ug/mg) 를 조사한 결과, 전복 단독구와 복합사육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P > 0.05) 전복과 해삼을 함께 양성하더라도 해삼이 전복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체 개발한 전복해삼 복합사육기와남해안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전복 사육기의 생산능력을 비교하기 위해서 수하식으로 8개월 동안 실험한 결과, 자체 개발한 복합사육기에서 양식한 전복과 해삼이 성장이 빨라 전복해삼복합사육기가 동해안 일대의 양식사업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We have developed a polyculture container which is preferable for rearing of abalones and sea cucumbers in East Sea. To test the rearing capacity of the polyculture container, 50, 75 and 100 sea cucumbers ranging from the body length of 7-9 cm were cultured in three containers including 500 abalones with the shell length of about 5 cm, respectively. It was revealed that preferable density for sea cucumbers was 52-72 individuals in the polyculture container.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and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were analyzed with Reflotron kit to investigate the health degree of abalones in two polyculture containers including 300 and 500 abalones with the shell length of about 5 cm.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has been an important tool to know myocardial infarction, disease of liver, and destruction of muscle. Nex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n growth of abalones and sea cucumbers in polyculture container. Experimental findings, RNA/DHA ratio, DNA and RNA contents (ug/m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groups. The results imply that the method of polyculture can be rearing with sea cucumber without growth retardation of abalone. Production ability between polycultur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used in south sea were carried out using suspended culture method during 8months. It was revealed that abalones and sea cucumbers are faster growing in polyculture container than in container used in south sea. Therefore, polyculture container is considered more appropriate for the abalones and sea cucumbers culture in East Sea.
2011년 4월 20일부터 7월 15일까지 전복배합사료와 건다시마를 먹이원으로 한 북방전복과 해삼의 실내 복합사육에서 생존율과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관찰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북방전복의 크기는 각장 <TEX>$28.54{\pm}1.23mm$</TEX>, 전중량 <TEX>$2.92{\pm}0.26g$</TEX> 이었고, 해삼은 습중량 <TEX>$3.0{\pm}0.2g$</TEX> 이었다. 먹이는 전복배합사료 실험구, 건다시마 실험구 및 전복배합사료와 건다시마 혼합 실험구로 설정하였다. 북방전복과 해삼의 생존율은 모든 실험구에서 각각 97.0%, 87.0% 이상을 보였다. 북방전복의 생존율은 건다시마 실험구에서 가장 높은 반면 해삼은 가장 낮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성장은 북방전복의 경우 전복배합사료 실험구에서, 해삼의 경우 전복배합사료와 건다시마를 동시에 공급한 실험구에서 가장 빨랐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survival and growth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and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co-cultured and supplied with abalone formula feed (AFF) and dry sea tangle (DST) in indoor tank.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from April 20 to July 15 in 2011, we used abalone with shell length of 28.54 ± 1.23 mm and total weight of 2.92 ± 0.26 g. The sea cucumber used in the experiment weighed 3.0 ± 0.2 g in wet weight. For the experiment, 3 types of feeds including AFF, DST and AFF-DST mixed (1:1) group were supplied to abalone and sea cucumber. During the experiment, survival of abalone reached over 97.0% and 87.0% for sea cucmber in three experimental tanks. Survival of the abalone was found to be higher in DST group, while it was lower among sea cucumber, although the surviva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experimental group. Growth of abalone fed with AFF was significantly higher, while the growth rae of sea cucumber was highest in the tank fed with AFF+DST mixed diet (P < 0.05).
일본(기수)재첩 유생사육을 위한 최적조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온, 염분, 유생 수용밀도, 먹이생물 종류 및 공급량, 채묘방법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일본(기수)재첩의 부유유생은 <TEX>$24^{\circ}C$</TEX>와 <TEX>$27^{\circ}C$</TEX>에서 빠른 성장을 보였으며, <TEX>$18^{\circ}C$</TEX>와 <TEX>$21^{\circ}C$</TEX>에서 50%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보임으로서 유생 사육을 위한 적정 수온은 <TEX>$21-24^{\circ}C$</TEX>이며, 최적수온은 <TEX>$24^{\circ}C$</TEX> 이었다. 또한 염분 3 psu 이상에서 성장과 생존이 가능하였으나 적정 염분은 6-9 psu 이었다. 유생밀도별 사육시험에서 1 ml당 1-10 개체에서 높은 성장과 생존율을 보였으나 경제성을 고려한 적정 유생사육 밀도는 1 ml당 10 개체였다. 먹이생물에 따른 유생의 성장과 생존율은 Isochrysis galbana, Pavlova lutheri 및 Chaetoceros calcitrans를 혼합하여 10,000-20,000 cells/ml의 밀도로 공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성숙유생의 채묘는 모래저질에서 성장과 생존율이 유의하게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0.25 mm 이하의 미세사질에서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기수재첩 유생사육을 위한 최적조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온, 염분, 유생 수용밀도, 먹이생물 종류 및 공급량, 채묘방법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기수재첩의 부유유생은 24℃와 27℃에서 빠른 성장을 보였으며, 18℃와 21℃에서 50%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보임으로서 유생 사육을 위한 적정 수온은 21-24℃이며, 최적 수온은24℃ 이었다. 또한 염분 3 psu 이상에서 성장과 생존이 가능하였으나 적정 염분은 6-9 psu 이었다. 유생밀도별 사육시험에서 1 ml당 1-10 개체에서 높은 성장과 생존율을 보였으나경제성을 고려한 적정 유생사육 밀도는 1 ml당 10 개체였다. 먹이생물에 따른 유생의 성장과 생존율은 Isochrysis galbana, Pavlova lutheri 및 Chaetoceros calcitrans를 혼합하여 10,000-20,000 cells/ml의 밀도로 공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성숙유생의 채묘는 모래저질에서 성장과 생존율이 유의하게 효과적 이었으며, 특히 0.25 mm 이하의 미세사질에서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Comparison of differen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ivalves is very useful for distinguishing species. Therefore, this study used a morphometric approach to document patterns of phenotypic change through the specimens of family Pinnidae inhabiting the bottom sediments at the coasts of An Thoi Archipelago (south-eastern Gulf of Thailand), in that way excluding intraspecific variations among different populations along a wide geographical range. It was revealed that individuals determined as Pinna trigonium separated from specimens of Pinna nigra and Atrina vexillum at high level, but P. nigra and A. vexillum were the single species A. vexillum, as it is assumed now. Also, it was found that both groups of P. trigonium individuals and A. vexillum specimens divided into tree subgroups unified the specimens with the similar morphometric parameters: small, medium and large within the populations, though there were no evident divisions into subgroups in the size distributions of the populations. In addition to the interspecific morphological variations, the species also showed significant intraspecific morphological variations even in the same population. Most probable reason for the appearance of the intraspecific morphological variations and division of all specimens into size-specific subgroups in the population is the fact that the growth of Pinnidae bivalves is not isometric.
본 연구는 백합 인공종묘생산 시 유생 및 치패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하여 미세조류 (Chaetoceros gracilis, Isochrysis galbana)에 <TEX>$B_{12}$</TEX>, 키토산, PSB 및 다당류 등으로 영양 강화한 먹이생물을 공급하여 유생과 치패의 성장 및 생존율 등을 조사한 결과이다. 실험에 사용한 어미는 2010년 7월 23일 전남 영광군 백수면 하사리에서 채집된 어미를 수송하여 채란한 D형 유생 (각장 <TEX>$89.7{\pm}6.4{\mu}m$</TEX>) 과 착저 치패 (각장 <TEX>$198{\pm}12{\mu}m$</TEX>) 를 사용하였으며, 시험기간은 2010년 7월 25일부터 10월 4일까지 70일간 시험하였다. 미세조류 (Chaetoceros gracilis, Isochrysis galbana ) 에 <TEX>$B_{12}$</TEX> 0.1 ppm, 키토산 0.2 ppm, PSB 3 ppm 및 다당류 1 ppm 으로 영양 강화하여 유생사육 시 매일 <TEX>$3{\times}10^3-15{\times}10^3Cells/mL$</TEX>를 공급하여 성장 및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유생의 성장은 PSB 실험구 <TEX>$199{\pm}0.59{\mu}m$</TEX>, <TEX>$B_{12}$</TEX> 실험구 <TEX>$198{\pm}0.64{\mu}m$</TEX>, 키토산 <TEX>$197{\pm}0.52{\mu}m$</TEX>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생존율은 PSB 실험구가 99.3%로 가장 높았고, <TEX>$B_{12}$</TEX> 95.9%, 키토산 94.5%로 나타났다. 초기치패의 성장은 PSB 실험구가 <TEX>$2.74{\pm}0.58mm$</TEX> 로 가장 높았고, 다당류 <TEX>$2.67{\pm}0.55mm$</TEX>, <TEX>$B_{12}$</TEX> <TEX>$2.54{\pm}0.48mm$</TEX>, 키토산 <TEX>$2.49{\pm}0.51mm$</TEX> 순이었고, 생존율은 PSB 실험구가 32.1%로 가장 높았고, <TEX>$B_{12}$</TEX> 31.6%, 키토산 28.5%, 다당류 21.4% 순이었음. 이러한 결과 PSB의 경우 백합 초기치패 사육 시 저질 개선 효과가 있어 매우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고, 특히 바닥식 초기치패 사육의 경우 원생동물과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차후에 다른 약품들과 다양한 부분에서 세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백합 인공종묘생산 시 유생 및 치패의 생존율을높이기 위하여 미세조류 (Chaetoceros gracilis, Isochrysis galbana)에 B_(12), 키토산, PSB 및 다당류 등으로 영양 강화한먹이생물을 공급하여 유생과 치패의 성장 및 생존율 등을 조사한 결과이다. 실험에 사용한 어미는 2010년 7월 23일 전남 영광군 백수면 하사리에서 채집된 어미를 수송하여 채란한 D형유생 (각장 89.7 ± 6.4 μm) 과 착저 치패 (각장 198 ± 12μm) 를 사용하였으며, 시험기간은 2010년 7월 25일부터 10월 4일까지 70일간 시험하였다. 미세조류 (Chaetoceros gracilis, Isochrysis galbana ) 에 B12 0.1 ppm, 키토산0.2 ppm, PSB 3 ppm 및 다당류 1 ppm 으로 영양 강화하여 유생사육 시 매일 3 × 10³(-15) × 10³ Cells/mL를 공급하여 성장 및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유생의 성장은 PSB 실험구 199 ± 0.59 μm,B12 실험구 198 ± 0.64 μm, 키토산 197 ± 0.52 μm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생존율은 PSB 실험구가 99.3%로 가장 높았고, B12 95.9%, 키토산 94.5%로 나타났다. 초기치패의 성장은 PSB 실험구가 2.74 ± 0.58 mm 로 가장 높았고, 다당류 2.67 ± 0.55 mm, B_(12) 2.54 ± 0.48mm, 키토산 2.49 ± 0.51 mm 순이었고, 생존율은 PSB 실험구가 32.1%로 가장 높았고, B12 31.6%, 키토산 28.5%, 다당류 21.4% 순이었음. 이러한 결과 PSB의 경우 백합 초기치패 사육 시 저질 개선 효과가 있어 매우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고, 특히 바닥식 초기치패 사육의 경우 원생동물과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차후에 다른 약품들과 다양한부분에서 세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굴 인공종묘생산 시 적정 먹이생물을 선택하기 위하여 먹이생물로 이용되고 있는 12종의 미세조류를 대상으로 굴 유생의 소화도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유생의 발달단계에 따라 D형 유생, 초기각정기 유생, 각정기 유생 및 부착기 유생으로 구분하여 수용적 1L 수조에 5 마리/mL 밀도로 각각의 성장단계별 유생을 수용하고, 조사대상 먹이생물 12종을 각각 투여하였다. 소화도 측정은 먼저 12종의 먹이생물을 공급 후 3시간 동안 충분히 섭취하도록 방치한 후 먹이섭취 상태를 현광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이 후 유생은 걸름망으로 걸러 여과해수가 채워진 비이커에 재 수용 후 3,5 및 8시간 후 소화도를 현광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12종 미세조류의 소화도는 유생의 발달단계에 따라 다양했다. 전 유생기 동안 Thalassiosira weissflogii는 섭취가 관찰되지 않았고, 나머지 종의 소화도는 유생의 발달단계에 따라 0.8-99.7%: Chlorella ellipsoidea (0.8-5.4%), Nannochloris oculata (1.4-5.0%), Isochrysis galbana (99.1-99.5%), Pavlova lutheri (99.1-99.5%), I. aff. galbana (99.4-99.5%), Cheatoceros calcitrans (0.0-99.2%), C. gracilis (0.0-99.7%), C. simplex (0.0-95.9%), Phaeodactylum tricornutum (0.0-99.6%), Tetraselmis tetrathele (0.0-99.7%) 그리고 Dunaliella tertiolecta (0.0-99.6%)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기 유생은 I. galbana와 같이 소화성이 높은 것을 공급하고 각정기 이후 규조류 또는 담녹조류를 혼합해 주는 것이 소화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굴 인공종묘생산 시 적정 먹이생물을 선택하기 위하여 먹이생물로 이용되고 있는 12종의 미세조류를 대상으로 굴 유생의소화도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유생의 발달단계에 따라 D형 유생, 초기각정기 유생, 각정기 유생 및 부착기 유생으로 구분하여 수용적 1L 수조에 5 마리/mL 밀도로 각각의 성장단계별유생을 수용하고, 조사대상 먹이생물 12종을 각각 투여하였다. 소화도 측정은 먼저 12종의 먹이생물을 공급 후 3시간 동안충분히 섭취하도록 방치한 후 먹이섭취 상태를 현광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이 후 유생은 걸름망으로 걸러 여과해수가 채워진 비이커에 재 수용 후 3,5 및 8시간 후 소화도를 현광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12종 미세조류의 소화도는 유생의 발달단계에 따라 다양했다. 전 유생기 동안 Thalassiosira weissflogii는 섭취가 관찰되지 않았고, 나머지 종의 소화도는유생의 발달단계에 따라 0.8-99.7%: Chlorella ellipsoidea (0.8-5.4%), Nannochloris oculata (1.4-5.0%), Isochrysis galbana (99.1-99.5%), Pavlova lutheri (99.1-99.5%), I. aff. galbana (99.4-99.5%), Cheatoceros calcitrans (0.0-99.2%), C. gracilis (0.0-99.7%), C. simplex (0.0-95.9%), Phaeodactylum tricornutum (0.0-99.6%),Tetraselmis tetrathele (0.0-99.7%) 그리고 Dunaliella tertiolecta (0.0-99.6%)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기 유생은 I. galbana와 같이 소화성이 높은 것을 공급하고 각정기 이후규조류 또는 담녹조류를 혼합해 주는 것이 소화성을 높일 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3종의 이매패류를 대상으로 소화맹낭의 소화효소구성 및 활성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이매패류는 지중해담치, 개조개 및 꼬막이며, 이들은 한국 남해안에서 2010년 11월에 채집하였다. 지중해담치, 개조개, 꼬막의소화맹낭을 구성하는 소화효소는 amylase와 cellulase가 약9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소화맹낭에서 amylase와cellulase 활성도는 지중해담치는 2.6과 0.8 U/mg, 개조개는2.4와 8.8 U/mg, 꼬막은 7.3과 11.8 U/mg였다. 그리고 소화맹낭의 소화효소 가운데 protease의 활성도는 지중해담치, 개조개, 꼬막에서 각각 0.00019, 0.00028, 0.00022 U/mg로가장 낮았다
Digestive enzymatic compositions and activities in digestive diverticula of the three species of bivalve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Mytilus galloprovincialis, Saxidomus purpuratus and Tegillarca granosa which were collected from southern coast of Korea on November 2010, were used for analysis. Amylase and cellulase occupied approximately 95% of digestive enzymes in digestive diverticula of M. galloprovincialis, S. purpuratus and T. granosa. The amylase and cellulase activities were 2.6 and 0.8 U/mg in M. galloprovincialis, 2.4 and 8.8 U/mg in S. purpuratus and 7.3 and 11.8 U/mg in T. granosa. And protease activities in digestive diverticula of M. galloprovincialis, S. purpuratus and T. granosa showed the lowest values to 0.00019, 0.00028 and 0.00022 U/mg, respectively.
The ultrastructures of germ cells during spermatogenesis and sperm morphology in male Mya arenaria, which was collected on the coastal waters of Samcheonpo, south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In the early stage of the spermatid during spermiogenesis, a few granules and a proacrosomal granule, which is formed by the Golgi complex, appear on the spermatid nucleus, and then it becomes a proacrosomal vesicle. Consequently, it becomes an acrosome by way of the process of acrosome formation. The morphologies of the sperm nucleus type and the acrosome of this species have a curved cylindrical type and cone shape, respectively. The spermatozoon is approximately 48-50 μm in length including a curved cylinderical sperm nucleus (about 2.65 μm long), an acrosome (about 0.64 μm in length) and tail flagellum (40-45 μm long). As some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crosomal vesicle, the peripheral parts of two basal rings show electron opaque part (region), while the apex part of the acrosome shows electron lucent part (region). These charateristics of the sperm belong to the family Myidae or some species of Veneridae in the subclass Heterodonta, unlike a characteristic of the subclass pteriomorphia showing all part of the acrosome being composed of electron opaque part (region). Therefore, it is easy to distinguish the families or the subclasses by the acrosome structures. Exceptionally, In particular, a cylinder-like nucleus of the sperm is curved (the angle of the nucleus is about 20°), as seen in Veneridae species (range from 0°-80°). The number of mitochondria in the midpiece of the sperm of this species are four, as one of common characteristics appeared in most species except for a few species in Veneridae in the subclass Heterodonta. Cross-sectioned axoneme of the sperm tail flagellum shows a 9+2 structure:. The axoneme of the sperm tail flagellum consists of nine pairs of peripheral microtubules at the periphery and a pair of central doublets at the cent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eal-time PCR method for the rapid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the protozoan pathogen Perkinsus olseni using a TaqMan probe. For the standard,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105 in vitro-cultured P. olseni trophozoites, and then 10-fold serial dilutions to the level of a single cell were prepar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technique, triplicates of genomic DNA were extracted from 5 × 10⁴cells and 10-fold serial dilutions to the level of 5 cells were prepared. The standards and samples were analyzed in duplicate using an Exicycler™ 96 real-time quantitative thermal block. For quantification, the threshold cycle (C_T) values of samples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from standard dilutions. There was a strong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C_T value and the log concentration of cells in the standard (r²= 0.996). Detection of DNA at a concentration as low as the equivalent of a single cell showed that the assay was sensitive enough to detect a single cell of P. olseni. The estimated number of P. olseni cells was similar to the original cell concentrations, indicating the reliability of P. olseni quantification by real-time PCR. Accordingly, the designed primers and probe may be used for the rapid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P. olseni from clam tissue, environmental water, and sediment samples.
Phylogenetic analyses on the Phylum Mollusks have so far been conducted by many researchers in the world. However, there was no report of taxonomic analysis on Acila (Acila) divaricata vigila belonging to Class bivalvia, subclass Protobranchia. In this study, we performe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n Acila (Acila) divaricata vigila using 16S rRNA sequence through maximum likelihood method. As a result, it is clearly divided into the legion of mollusk classification unit (when you zoom in order) and represented to support the current classification in the Phylum Mollusca belong to Class bivalvia, Subclass Protobranchia, Subclass Pteriomorphia, Subclass Paleoheterodonta, Subclass Heterodonta and Subclass Anomalodesmacea.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and thus these data indicates that 16S rRNA gene will be useful for analyzing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Subclass Protobranchia, and also tracking the level of conservation and preservation of genetic information about the Phylum Mollus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