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새조개 (Fulvia mutica) 난 발생 및 유생 성장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WatEffects of er Temperatures on the Larval Development and Spat Growth of the Cockle Shell, Fulvia mutica

초록

새조개의 효율적인 종묘생산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난발생 및 유생사육에 미치는 환경요인으로서 수온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수정란은 산란유도하여 6개의 수온별 실험구 (14, 17, 20, 23, 26 및 <TEX>$29^{\circ}C$</TEX>)에 수용하여 발생과정을 관찰하였다. 유생사육의 각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수온 (T, <TEX>$^{\circ}C$</TEX>) 에 따른 발생속도 (1/h, 시간) 는 수온이 높을수록 빨랐으며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4-cell : 1/h = 0.0067T-0.0879 (<TEX>$r^2$</TEX> = 0.8760) 8-cell : 1/h = 0.0128T-0.1794 (<TEX>$r^2$</TEX> = 0.7589) M (상실기) : 1/h = 0.0234T-0.3274 (<TEX>$r^2$</TEX> = 0.9587) B (포배기) : 1/h = 0.0306T-0.4276 (<TEX>$r^2$</TEX> = 0.9236) T (담륜자기) : 1/h = 0.0442T-0.6224 (<TEX>$r^2$</TEX> = 0.9121) V (D형유생) : 1/h = 0.0864T-1.2850 (<TEX>$r^2$</TEX> = 0.8586) 유생사육시 수온과 난발생 속도와의 관계에서 추정된 D형 유생까지 난발생의 생물학적 영도 및 적산수온은 평균 <TEX>$0.1^{\circ}C$</TEX> 및 <TEX>$597.3^{\circ}C$</TEX>였다. D형유생까지 가장 적합한 수온은 <TEX>$23^{\circ}C$</TEX>였으며, 발생은 20시간으로 나타났다.

keywords
Cockle Shell, Fulvia mutica, egg developmental, seed production.

Abstract

새조개의 효율적인 종묘생산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를얻고자 난발생 및 유생사육에 미치는 환경요인으로서 수온의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수정란은 산란유도하여 6개의 수온별 실험구 (14, 17, 20, 23, 26 및 29℃) 에수용하여 발생과정을 관찰하였다. 유생사육의 각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수온 (T, ℃) 에 따른 발생속도 (1/h, 시간) 는 수온이 높을수록 빨랐으며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4-cell : 1/h = 0.0067T-0.0879 (r2 = 0.8760)8-cell : 1/h = 0.0128T-0.1794 (r2 = 0.7589)M (상실기) : 1/h = 0.0234T-0.3274 (r2 = 0.9587)B (포배기) : 1/h = 0.0306T-0.4276 (r2 = 0.9236)T (담륜자기) : 1/h = 0.0442T-0.6224 (r2 = 0.9121)V (D형유생) : 1/h = 0.0864T-1.2850 (r2 = 0.8586)유생사육시 수온과 난발생 속도와의 관계에서 추정된 D형유생까지 난발생의 생물학적 영도 및 적산수온은 평균 0.1℃및 597.3℃였다. D형유생까지 가장 적합한 수온은 23℃였으며, 발생은 20시간으로 나타났다.

keywords
Cockle Shell, Fulvia mutica, egg developmental, seed production

참고문헌

1.

ASTM. (1994) Standard guide for conducting acute toxicity tests starting with embryos of four species of saltwater bivalve molluscs. ASTM E724-94. pp. 1-7. American socity for testing and Materisls, Philadelphia.

2.

Breese, W.P. and Malouf, R.E. (1977) Hatchery rearing techniques for the oyster Crassostrea rivuaris Gould. Aquaculture, 12, 123-126.

3.

Chang, Y.J. and Lee, T.Y. (1982) Gametogenesis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Cockle of Fulvia mutica (Reeve). Bulletin of Korean Fisheries Society, 15, 241-253.

4.

Fujiwara M. (1995) Inheritance of yellow coloration of the shell in the Cockle Fulvia mutica (Reeva) in Tokyo Bay. Nippon Susian Gakkaishi, 61, 927-928.

5.

Mokady, O. (1992) Settlement and metamorphosis specificity of Lithophaga simplex Iredale (Bivalvia: Mytilidae) on Red sea corals.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logy, 162, 243-251.

6.

Tian, Y. and Shimizu, M. (1997a) Growth increment pattern in the shell of the Cockle Fulvia mutica (Reeva) and their use in age determination. Nippon Susian Gakkaishi, 63, 585-593.

7.

Tian, Y. and Shimizu, M. (1997b) Growth, maturation and spawning season of Fulvia mutica (Reeva) in Tokyo Bay. Nippon Susian Gakkaishi, 63, 361-369.

8.

Walne, P.R. 1974. Shellfish culture. In: Sea fisheries research. (Ed, by Jones, F.R.H.). pp. 379-398. Elek, London.

9.

김귀식, 하봉석, 배태진, 진주현, 김현주. (1993a) 새조개 생육과 자숙육 및 자숙액즙의 식품성분 비교 1. 일반성분 및 지질조성의 비교. 한국수산학회지, 26, 102-110.

10.

김귀식, 하봉석, 배태진, 진주현, 김현주. (1993b) 새조개 생육과 자숙육 및 자숙액즙의 식품성분 비교 2. 함질소엑스성분 및 무기성분의 비교. 한국수산학회지, 26, 111-119.

11.

문태석, 정민민, 신윤경, 양문호, 고창순, 장영진. (2004) 꼬막(Tegillarca granosa)(Linnaeus)의 산란유발 및 난발생과 초기유생 사육. 한국수산학회지, 37, 485-491.

12.

배태진, 강동수, 최옥수. (1996) 새조개 연체부위의 색소동정.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5, 1074-1079.

13.

성찬경, 김기범, 서진영, 이창훈, 류태권, 한기명, 최진우, 김용현. (2005) 지중해담치, Mytilus galloprovincialis의 발생 최적조건. 한국패류학회지, 21, 25-31.

14.

유성규, 강경호. (1995) 강굴, Crassostrea rivularis의 난발생 및 유생사육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한국패류학회지, 11, 165-170.

15.

유호영, 박두원, 정춘구, 김대희, 김경희, 전창영, 명정인, 임영섭, 김수호, 손형우. (1993) 참담치 인공종묘생산기술에 관한 연구. 경상남도, 156 pp.

16.

윤호섭, 김정, 최상덕. (2005) 살조개, Protothaca jedoensis 자원조성을 위한 양식생물학적 연구Ⅰ. 난발생과 유생사육. 한국양식학회지, 18, 260-266.

17.

이정용. (1996) 북방대합, Spisula sachalinensis의 생식주기와 산란유발. 부산수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pp.

18.

장영진, 최윤희, 장윤정, 최석원. (2000) 진주조개, Pinctada martensii와 참굴, Crassostrea gigas의 난발생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한국수산학회지, 33, 559-564.

19.

최신석. (1975) 대합(Meretrix lusoria) 과 가무락 (Cyclina sinensis) 의 초기발생 및 성장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수산학회지, 8, 185-195.

20.

허영백. (1994) 이매패류 8종 유생의 발생 및 성장에 관한 기초연구. 부산수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pp.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