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3480
새조개의 효율적인 종묘생산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난발생 및 유생사육에 미치는 환경요인으로서 수온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수정란은 산란유도하여 6개의 수온별 실험구 (14, 17, 20, 23, 26 및 <TEX>$29^{\circ}C$</TEX>)에 수용하여 발생과정을 관찰하였다. 유생사육의 각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수온 (T, <TEX>$^{\circ}C$</TEX>) 에 따른 발생속도 (1/h, 시간) 는 수온이 높을수록 빨랐으며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4-cell : 1/h = 0.0067T-0.0879 (<TEX>$r^2$</TEX> = 0.8760) 8-cell : 1/h = 0.0128T-0.1794 (<TEX>$r^2$</TEX> = 0.7589) M (상실기) : 1/h = 0.0234T-0.3274 (<TEX>$r^2$</TEX> = 0.9587) B (포배기) : 1/h = 0.0306T-0.4276 (<TEX>$r^2$</TEX> = 0.9236) T (담륜자기) : 1/h = 0.0442T-0.6224 (<TEX>$r^2$</TEX> = 0.9121) V (D형유생) : 1/h = 0.0864T-1.2850 (<TEX>$r^2$</TEX> = 0.8586) 유생사육시 수온과 난발생 속도와의 관계에서 추정된 D형 유생까지 난발생의 생물학적 영도 및 적산수온은 평균 <TEX>$0.1^{\circ}C$</TEX> 및 <TEX>$597.3^{\circ}C$</TEX>였다. D형유생까지 가장 적합한 수온은 <TEX>$23^{\circ}C$</TEX>였으며, 발생은 20시간으로 나타났다.
새조개의 효율적인 종묘생산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를얻고자 난발생 및 유생사육에 미치는 환경요인으로서 수온의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수정란은 산란유도하여 6개의 수온별 실험구 (14, 17, 20, 23, 26 및 29℃) 에수용하여 발생과정을 관찰하였다. 유생사육의 각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수온 (T, ℃) 에 따른 발생속도 (1/h, 시간) 는 수온이 높을수록 빨랐으며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4-cell : 1/h = 0.0067T-0.0879 (r2 = 0.8760)8-cell : 1/h = 0.0128T-0.1794 (r2 = 0.7589)M (상실기) : 1/h = 0.0234T-0.3274 (r2 = 0.9587)B (포배기) : 1/h = 0.0306T-0.4276 (r2 = 0.9236)T (담륜자기) : 1/h = 0.0442T-0.6224 (r2 = 0.9121)V (D형유생) : 1/h = 0.0864T-1.2850 (r2 = 0.8586)유생사육시 수온과 난발생 속도와의 관계에서 추정된 D형유생까지 난발생의 생물학적 영도 및 적산수온은 평균 0.1℃및 597.3℃였다. D형유생까지 가장 적합한 수온은 23℃였으며, 발생은 20시간으로 나타났다.
ASTM. (1994) Standard guide for conducting acute toxicity tests starting with embryos of four species of saltwater bivalve molluscs. ASTM E724-94. pp. 1-7. American socity for testing and Materisls, Philadelphia.
Breese, W.P. and Malouf, R.E. (1977) Hatchery rearing techniques for the oyster Crassostrea rivuaris Gould. Aquaculture, 12, 123-126.
Chang, Y.J. and Lee, T.Y. (1982) Gametogenesis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Cockle of Fulvia mutica (Reeve). Bulletin of Korean Fisheries Society, 15, 241-253.
Fujiwara M. (1995) Inheritance of yellow coloration of the shell in the Cockle Fulvia mutica (Reeva) in Tokyo Bay. Nippon Susian Gakkaishi, 61, 927-928.
Mokady, O. (1992) Settlement and metamorphosis specificity of Lithophaga simplex Iredale (Bivalvia: Mytilidae) on Red sea corals.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logy, 162, 243-251.
Tian, Y. and Shimizu, M. (1997a) Growth increment pattern in the shell of the Cockle Fulvia mutica (Reeva) and their use in age determination. Nippon Susian Gakkaishi, 63, 585-593.
Tian, Y. and Shimizu, M. (1997b) Growth, maturation and spawning season of Fulvia mutica (Reeva) in Tokyo Bay. Nippon Susian Gakkaishi, 63, 361-369.
Walne, P.R. 1974. Shellfish culture. In: Sea fisheries research. (Ed, by Jones, F.R.H.). pp. 379-398. Elek, London.
김귀식, 하봉석, 배태진, 진주현, 김현주. (1993a) 새조개 생육과 자숙육 및 자숙액즙의 식품성분 비교 1. 일반성분 및 지질조성의 비교. 한국수산학회지, 26, 102-110.
김귀식, 하봉석, 배태진, 진주현, 김현주. (1993b) 새조개 생육과 자숙육 및 자숙액즙의 식품성분 비교 2. 함질소엑스성분 및 무기성분의 비교. 한국수산학회지, 26, 111-119.
문태석, 정민민, 신윤경, 양문호, 고창순, 장영진. (2004) 꼬막(Tegillarca granosa)(Linnaeus)의 산란유발 및 난발생과 초기유생 사육. 한국수산학회지, 37, 485-491.
배태진, 강동수, 최옥수. (1996) 새조개 연체부위의 색소동정.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5, 1074-1079.
성찬경, 김기범, 서진영, 이창훈, 류태권, 한기명, 최진우, 김용현. (2005) 지중해담치, Mytilus galloprovincialis의 발생 최적조건. 한국패류학회지, 21, 25-31.
유성규, 강경호. (1995) 강굴, Crassostrea rivularis의 난발생 및 유생사육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한국패류학회지, 11, 165-170.
유호영, 박두원, 정춘구, 김대희, 김경희, 전창영, 명정인, 임영섭, 김수호, 손형우. (1993) 참담치 인공종묘생산기술에 관한 연구. 경상남도, 156 pp.
윤호섭, 김정, 최상덕. (2005) 살조개, Protothaca jedoensis 자원조성을 위한 양식생물학적 연구Ⅰ. 난발생과 유생사육. 한국양식학회지, 18, 260-266.
이정용. (1996) 북방대합, Spisula sachalinensis의 생식주기와 산란유발. 부산수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pp.
장영진, 최윤희, 장윤정, 최석원. (2000) 진주조개, Pinctada martensii와 참굴, Crassostrea gigas의 난발생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한국수산학회지, 33, 559-564.
최신석. (1975) 대합(Meretrix lusoria) 과 가무락 (Cyclina sinensis) 의 초기발생 및 성장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수산학회지, 8, 185-195.
허영백. (1994) 이매패류 8종 유생의 발생 및 성장에 관한 기초연구. 부산수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