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권호 목록

The Occurrence of Clithon retropictus (von Martens in Kobelt, 1879, Gastropoda: Neritidae) in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Ronald. G. Noseworthy(제주대학교) ; 주세종(한국해양연구원) ; 최광식(제주대학교) ; Mostafizur Rahman Mondol(제주대학교) pp.81-90 https://doi.org/10.9710/kjm.2012.28.2.08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neritid species Clithon retropictus inhabits rivers and estuaries along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mainland but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from Jeju Island. In 2007 and 2011 specimens of this species were obtained from two separate localities on the south coast of the island. Comparisons were made with von Martens’ original description, specimens from the Korean mainland, and illustrations and descriptions in the literature.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color and markings, and slight differences in morphology, the specimens from Jeju Island compare well with those from the mainland and in the literature. The shells of this species become more ovate and more eroded with age. In one locality, a small river, specimens of the pleurocerid Semisulcospira libertina (Gould, 1859), were found adjacent to, and coexisting with, a population of C. retropictus, an association that often occurs. The occurrence of Clithon retropictus represents a range extension to Jeju Island.

섬진강에 분포하는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의 잠재어획가능량 추정
이재봉(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신영재(국립수산과학원 자원관리과) ; 이종희(국립수산과학원 자원관리과) ; 최영민(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이동우(동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차형기(남서해수산연구소 아열대수산연구센터) pp.91-99 https://doi.org/10.9710/kjm.2012.28.2.091
초록보기
초록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 은 백합목 재첩과에 속하는 담수 및 기수역에 분포하는 소형 이매패류로서 사니질의 얕은 수심에서 서식한다. 섬진강 일본재첩의 어획량은 우리나라재첩 총 생산량의 약 30%를 차지하며, 경남지역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섬진강 일본재첩에 대한 정확한 어획 및 자원량에 관한 연구가 미미하여 과학적인 자원평가 및 관리방안도출이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섬진강 일본재첩에대한 이용가능한 정보 및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과학적이고체계적인 자원관리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잠재어획가능량 산정의 5단계 체계를 구축하였다. 섬진강 일본재첩의 잠재어획가능량은 보다 높은 정보수준을 요구하는 1-2단계에서 산정하였다. 이에 섬진강 일본재첩의 잠재어획가능량은 상업어획조사에 의한 1단계 정보수준에서는 77.66 톤, 직접자원조사에의한 2단계 정보수준에서는 129.82 톤으로 추정되었다.

Abstract

Corbicula japonica, was belonging to Other Veneroida Family Corbiculidae, distributed in the freshwater and brackish rivers, where was a sandy and shallow depth. Catch of C. japonica in the Seomjin River occupied at a large portion of the catch in Kyungnam Province, which was about 30% of total catch in Korea. C. japonica has little studied on biomass, scientific resources assessment and management, because of inaccurate catch report data in the Seojin River. In this study, we conducted scientific and systematic approaches under data limited situation with application of the potential fishery yield system for sustainable fisheries resources management. Estimation system of the potential fishery yield was consisted of 5 tier system. We have used to tier 1 and 2 which were demanded higher level of information than the other tiers. The potential fishery yields were estimated 77.66ton for tier 1 using commercial fishery-dependent data, and 129.82ton for tier 2 with fishery-independent survey data.

경상북도 영일만에 분포하는 이매패류의 자원조사
차병열(서해수산연구소) ; 이채성(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 문태석(전략양식연구소) ; 박미선(동해수산연구소) pp.101-108 https://doi.org/10.9710/kjm.2012.28.2.101
초록보기
초록

조사기간 동안 경상북도 영일만 내의 총 6개 정점에서 채집된 패류는 피조개와 떡조개 2종 이었다. 패류의 총 채집개체수에서는 1,703마리, 총 생체량은 140.9 kg이었는데, 이중 떡조개가 개체수 1,198마리 (생체량 76.1 kg), 피조개가 개체수505마리 (생체량 64.8 kg) 이었다. 채집된 주요 패류의 각장범위는 떡조개가 25.76-67.88 mm (평균, 58.08 mm), 피조개가 46.82-113.74 mm (평균, 76.86 mm) 로서 성숙한 개체들이었다. 주요 패류의 해역별 채집량에 있어서는 항외지역이 개체수 1,332마리 (생체량 105.4 kg) 로 항내지역의 개체수 371마리 (생체량 35.5 kg) 보다 많았다. 또한, 패류의 크기에 있어서도 항외지역의 패류가 항내지역보다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소해면적법에 의한 영일만 내의 피조개 현존량은242톤으로 산정되었으며, 어업인들에 의해 이용되고 있는 피조개의 연 생산량은 17.93-95.53톤이었다.

Abstract

Bivalves collected by a dredge in Yeongil Bay of Gyeongsangbuk-Do Province, Korea in May, 2010 and August, 2010 were 2 species including Dostinorbis japonicus and Scapharca broughtonii. The total abundance of bivalves were 1,703 inds. and 140.9 kg. Among them, the abundance of D. japonicus were 1,198 inds. and 76.1 kg. And the abundance of S. broughtonii were 505 inds. and 64.8 kg. The shell length by bivalves species were 25.76-67.88 mm (mean, 58.08 mm) in D. japonicus and 46.82-113.74 mm (mean, 76.86 mm) in S. broughtonii consisting mainly of recruitment group. By regional abundance comparison, the bivalves abundance collected in the outside harbor was 1,332 inds. and 105.4 kg, which was much more than that of the inside harbor indicating 371 inds. and 35.5 kg. In terms of size, the bivalves collected in the outside harbor were 49.49-67.88 mm (mean, 58.47 mm) in D. japonicus and 48.21-113.74 mm (mean, 77.48 mm) in S. broughtonii, which were larger than those of the inside harbor. The yearly biomass of the main commercial target species, S. broughtonii by swept area method (SAM) was estimated up to 242.1 tons. However, considering the regional differences of bivalves between the inside harbor and the outside harbor by abundance and size comparison, it might have been overfished to bivalves in the inside harbor.

완도 영흥지선 연안의 천연 바지락 자원에 대한 연구
조상만(군산대학교) ; 이종화(군산대학교) pp.109-116 https://doi.org/10.9710/kjm.2012.28.2.10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introduction of oyster rack culture on natural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stock, we investigated the status of natural clam stock prior to introduction of oyster rack culture at Yeongheung Coast of Wando Island. The growth equation of the clam was estimated as: Lt = 61.46· (1-e-0.172(t+0.155)) from ring radius composition of shell. Instantaneous coefficient of total mortality and natural mortality were calculated as: 2.4087/year and 0.478/year, respectively. The age at first capture was estimated to be 2.55 year. The total biomass was estimated to 3.23 ton in the bed (0.8 ha). Applied by these parameters, the annual recruit biomass and the current yield per recruit (Y/R) was corresponded to 114.7 individuals/m2 and 92.0 g/m2, respectively. Maximum sustainable yield (MSY) was estimated 0.77 ton/year which was close to annual catches, 0.74 ton/year, in the area.

비단가리비, Chlamys farreri 수하양식에서 채롱의 망목 및 재질에 따른 성장과 생존
박광재(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송재희(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윤상필(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박영제(바다녹색산업연구소) ; 송홍인(국립수산과학원) pp.117-123 https://doi.org/10.9710/kjm.2012.28.2.117
초록보기
초록

2005년 9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충남 태안군 안면읍 내파수도 지선의 수하식 양식장에서 비단가리비 치패 (평균 각고38.6 ± 6.8 mm, 전중량 7.2 ± 4.9 g) 를 채롱의 망목과 재질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을 연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채롱의망목은 1 cm와 2 cm, 재질은 경심망과 플라스틱의 두 종류였으며, 채롱 당 수용밀도는 동일하게 30마리로 하였다. 실험을 시작하여 13개월이 경과한 후 평균 각고는69.7-73.9 mm였고, 전중량은 36.1-47.0 g으로 나타났다. 생존율은 93-100%로 높게 나타났으며, 비단가리비의 성장률은채롱의 망목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채롱의 재질에 따른성장률은 2005년 9월부터 2006년 6월까지는 경심망 채롱보다 플라스틱 채롱에서 빠르게 나타났으나, 2006년 6월부터10월까지는 부착생물에 의한 먹이섭취 방해로 플라스틱 채롱에서 경심망 채롱보다 느리게 나타났다.

Abstract

We studied that the effects of mesh size and material of cages on the growth of C. farreri (initial shell height 38.6 mm and shell total weight 7.2 g) held in suspension cage from September 2005 to October 2006.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two mesh sizes (1 cm and 2 cm) and two materials (net and plastic) of cages in same densities. After 13 months from culture beginning, ranges of shell height and total weight were from 69.7 mm to 73.9 mm and from 36.1 g to 47.0 g,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 was from 93% to 100%, respectively. The growth rates of the scallop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mesh size. In the growth rate according to culture material, the growth of scallop in the plastic cage was faster than that in the net cage from September 2005 to June 2006, but the growth in the plastic was slower than that in the net cage for obstruction by attaching organisms from June to October 2006.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초기치패의 저질개선제 종류에 따른 성장 및 생존
김병학(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 ; 조기채(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변순규(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 ; 김민철(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지영주(국립수산과학원 생명공학과) pp.125-129 https://doi.org/10.9710/kjm.2012.28.2.125
초록보기
초록

실험에 사용한 어미는 2011년 7월 4일 전남 영광군 백수면하사리에서 채집된 어미를 수송 후 채란하여 3일간 유생 사육한 초기치패 (각장 196 ± 14 μm) 9천 6백만 마리를 사용하였으며, 시험기간은 2010년 7월 7일부터 8월 6일까지 30일간사육 실험하였다. 실험 개시 전 각 저질개선제의 농도별로 치패의 생존가능 범위 조사 하였고, 농도는 요오드 10 ppm, 과산화수소 5 ppm, 차염소산나트륨 100 ppm, 이산화염소 100ppm, 과망간산칼륨 5 ppm 으로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성장은 차염소산나트륨 100 ppm 실험구가 1.04 ± 0.26 mm 로가장 높았고, 이산화염소 100 ppm 실험구 1.03 ± 0.25mm, 요오드 실험구 1.01 ± 0.28 mm 순이었고, 생존율은이산화염소 100 ppm 실험구가 31.4% 로 가장 높았고, 차염소산나트륨 실험구 100 ppm 12.1%, 요오드 실험구 10ppm 11.6%, 과산화수소 실험구 5 ppm 1.5% 순이었으며, 과망간산칼륨 실험구 5 ppm 은 전량 폐사하였다.

Abstract

The study describes growth and survival on different kinds of sediment improvements of early spats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Specimens of the mature hard clam were collected in the intertidal zone of Yeonggwang, Korea, July 2011. After transportation, early spats(shell length 196 ± 14 μm) collected in mature hard clam were used. Experiment period were July 7 to August 6 in 2011 (30 days). Sediment improvements used iodine(10 ppm), hydrogen peroxide(H2O2, 5 ppm), sodium hypochlorite (NaClO, 100 ppm), chlorine dioxide(ClO2, 100 ppm) and potassium permanganate (KMnO4, 5 ppm). After cultured during 30 days, shell length growth of hard clam were observed 1.04 ± 0.26 mm in sodium hypochlorite 100 ppm, 1.03 ± 0.25 mm in chlorine dioxide 100 ppm and 1.01 ± 0.28 mm in iodine 10 ppm. Survival rate were 31.4% in chlorine dioxide 100 ppm, 12.1% in sodium hypochlorite 100 ppm, 11.6% in iodine 10 ppm, 1.5% in hydrogen peroxide 5 ppm and 0% in potassium permanganate 5 ppm.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계절별 생리적 변화
신윤경(국립수산과학원 전략양식연구소 양식관리과) ; 이원찬(국립수산과학원 기반연구부 어장환경과) ; 김형철(국립수산과학원 전략양식연구소 양식관리과) ; 손맹현(국립수산과학원 전략양식연구소 양식관리과) ; 김응오(국립수산과학원 전략양식연구소 양식관리과) ; 전제천(국립수산과학원 전략양식연구소 양식관리과) ; 김성희(국립수산과학원 연구기획부 연구기획과) pp.131-136 https://doi.org/10.9710/kjm.2012.28.2.131
초록보기
초록

북방전복의 계절변동에 따른 대사변화 및 에너지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 5월부터 2011년 2월 동안 성장, 산소소비율, 암모니아질소배설률, 먹이섭취율 및 동화효율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수온은 8-23.2 ℃, 염분은 31.9-34.1psu이었다. 북방전복의 각장은 1년산에서 36.3 mm에서66.1 mm으로, 2년산에서는 60.6 mm에서 66.1 mm으로 성장하였으며, 육중은 각각 3.16 g에서 12.04 g과 15.8 g에서21.5 g으로 증가하였다. 산소소비율과 암모니아질소배설률은수온 상승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먹이섭취율은 7월-10월 동안 높았다. 동화효율은 68-71 %으로 연령 및 계절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SFG는 북방전복 1년산은 연중 +값을 보였으며, 2년산의 경우에는 7월을 제외하고 +값을 보여 연중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사기간 동안 수온, 염분 등에 의한 환경적인 영향은 없었다.

Abstract

Growth, oxygen consumption, ammonia excretion, feeding and assimilation rate were examined from May 2010 to February 2011 in order to assess the physiological changes of Haliotis discus hannai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season. The water temperature was in the range of 8-23.2℃ and the salinity in the range of 31.9-34.1psu during the examination period. The length of shell of Haliotis discus hannai grew from 36.3 mm to 66.1 mm in the 1 year old entities and from 60.6 mm to 66.1 mm for the 2 year old entities, while the weight of the meat increased from 3.16 g to 12.04 g and from 15.8 g to 21.5 g, respectively. The oxygen consumption and ammonia excretion rate displayed trend of increase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in water temperature, while the feeding rate was high during the period from July to October. The assimilation rate was in the range of 68%-71%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ge of the entities and seasons. SFG displayed +value throughout the year for the 1 year old entities of Haliotis discus hannai as well as for the 2 year old entities with the exception of the period of July, thereby showing that they are growing throughout the year. Therefore, there was no environmental effect including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during the examination period.

큰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 치패의 성장 및 생존율 향상을 위한 대체 먹이원 개발
남명모(국립수산과학원) ; 박진철(국립수산과학원) ; 이주(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pp.137-143 https://doi.org/10.9710/kjm.2012.28.2.137
초록보기
초록

큰가리비 치패의 대체 먹이원을 개발하기 위해 각기 다른 먹이원을 공급하여 성장, 생존율 및 체내 조성을 조사하였다. 생존율은 PTE + PHY 실험구에서 90.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장과 각고는 PHY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PTE +PHY 실험구와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반면, PTE와 OTE 단독구는 유의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편, 각폭 및 전중량도 동일한 경향을 보여 PHY 단독 실험구와 PTE+PHY 혼합 실험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PTE와 OTE 단독구는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한편, 체내 지방산 분석에서 DHA 함량은 기존 먹이인 미세조류 단독 실험구 (PHY) 와 경제적인 먹이원인 INS 실험구에 비해 지질강화원인 PTE와 OTE가 혼합된 실험구에서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높은 값에 기인하여 n-3 PUFA도 높았다. 또한, 총 단백질 함량은 주요 단백질원인 PHY와 INS가 들어간 실험구가 55.5-65.2%의 함량을 보인반면 지질영양강화원만 들어간 PTE, OTE 단독 실험구는 각각 44.8%, 47.0%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필수아미노산 함량도 동일한 경향을 보여 단순 지질강화원 실험구에서는 낮았다. 한편, 체내 핵산 분석에서 RNA 값은 PHY 단독 실험구와 PTE+PHY 혼합구에서 0.7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PTE, OTE 단독구는 각각 0.35, 0.3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DNA 값도 PHY 단독 실험구와 PTE + PHY 혼합구에서 3.9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PTE, OTE 단독구는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경향에 의해 RNA/DNA ratio 값도 PHY와 INS가 들어간 단독구와 몇몇 혼합구가 PTE와 OTE 단독구 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미세조류 단독 공급구인 PHY에 PTE를 혼합해 준 PTE+PHY 혼합 공급구는 큰가리비 치패의 성장, 생존율 및 체내 조성을 향상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을 통해 새롭게 대체 개발된 PTE+PHY 혼합구는 이매패류 양식에서 차지하는 미세조류 생산비용의 절감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는 것으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Abstract

큰가리비 치패의 대체 먹이원을 개발하기 위해 각기 다른먹이원을 공급하여 성장, 생존율 및 체내 조성을 조사하였다. 생존율은 PTE + PHY 실험구에서 90.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장과 각고는 PHY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PTE +PHY 실험구와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반면, PTE와OTE 단독구는 유의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편, 각폭및 전중량도 동일한 경향을 보여 PHY 단독 실험구와PTE+PHY 혼합 실험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반면 PTE와 OTE 단독구는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한편, 체내 지방산 분석에서 DHA 함량은 기존 먹이인 미세조류 단독 실험구 (PHY) 와 경제적인 먹이원인 INS 실험구에 비해 지질강화원인 PTE와 OTE가 혼합된 실험구에서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높은 값에 기인하여 n-3PUFA도 높았다. 또한, 총 단백질 함량은 주요 단백질원인PHY와 INS가 들어간 실험구가 55.5-65.2%의 함량을 보인반면 지질영양강화원만 들어간 PTE, OTE 단독 실험구는 각각 44.8%, 47.0%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필수아미노산 함량도 동일한 경향을 보여 단순 지질강화원 실험구에서는 낮았다. 한편, 체내 핵산 분석에서 RNA 값은 PHY 단독 실험구와PTE+PHY 혼합구에서 0.7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PTE, OTE 단독구는 각각 0.35, 0.3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DNA 값도 PHY 단독 실험구와 PTE + PHY 혼합구에서3.9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PTE, OTE 단독구는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경향에 의해 RNA/DNA ratio 값도 PHY와 INS가 들어간 단독구와 몇몇 혼합구가 PTE와OTE 단독구 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미세조류 단독 공급구인 PHY에PTE를 혼합해 준 PTE+PHY 혼합 공급구는 큰가리비 치패의 성장, 생존율 및 체내 조성을 향상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을 통해 새롭게 대체 개발된 PTE+PHY 혼합구는이매패류 양식에서 차지하는 미세조류 생산비용의 절감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는 것으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결과라 할 수 있다.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번식량 측정 및 유생발달에 관한 연구
이희중(제주대학교) ; 강현실(제주대학교) ; 박경일(군산대학교) ; 최광식(제주대학교) ; Mostafizur Rahman Mondol(제주대학교) pp.145-156 https://doi.org/10.9710/kjm.2012.28.2.14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의 번식량 및 유생발생을 관찰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수정란 및 유생을 21일 간 실내사육수조를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바지락은 2011년 8월 제주시 김녕에서 채집 실험 수조로 옮겨졌으며,다음날 자연적인 방란 방정이 관측되었다. 바지락 수정란은19시간의 배 발생과정을 거쳐 21일 후 포복피면자유생(pediveliger) 으로 발달하였다. 조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바지락의 생식소를 관찰한 결과, 방란, 방정 전 모든 개체는 성적으로 완숙한 상태였고, 산란 후 모든 개체에서 부분산란이관찰되었다. 효소면역학적 방법 (ELISA) 에 의한 번식량 측정 결과, 암컷 바지락의 생식소 지수는 (GSI) 산란 전 28.6%에서 산란 후 17.3%로 11.3% 감소하였으며, 추정된 포란수는6,998,658 eggs였다. 이 연구서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을이용하여 관찰된 바지락 유생 발달 및 번식량은 향후 바지락인공종묘 산업 및 바지락 자원관리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Larval development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reared in an indoor tank system was examined in this study using light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o induce spawning and subsequent larval development, clams were collected from the intertidal zone at Gim-nyeong harbor in Jeju Island in August 2011. After 2 days of rearing in the tank, all Manila clams spawned in the midnight. Non-feeding trochophore larvae appeared 7hrsafter fertilization and the first D-shape larvae could be observed at 19 hrs. Twenty one days after fertilization the pediveliger larvae crawling on the bottom of the tank with well-developed foot were observed. Histology indicated that all the clams used in this study were in the ripe stage prior to spawning and the gonad-somatic index (GSI), a ratio of the egg mass to the tissue weight, of the ripe female measured by ELISA was 28.6%.The GSI of female clam declined to 17.3% after the massive spawning in the tank, suggesting that Manila clam discharged 40% of the total eggs during the first spawning event. In conclusion, spawning and subsequent larval development of Manila clam was successfully carried out in this study using an indoor tank system, and the information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could be useful in future Manila clam hatchery development.

아코야 진주의 화학조성과 내부구조가 진주광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민준(경북대학교) ; 박지민(경북대학교) ; 장윤득(경북대학교) pp.157-164 https://doi.org/10.9710/kjm.2012.28.2.157
초록보기
초록

우리는 같은 지역에서 생성된 진주의 표면품질 차이점의 원인을 다양한 분석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들을 토대로 진주의 표면품질은 진주를 구성하고 있는 아라고나이트와 방해석의 함유량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내부 구조분석을 통해 표면품질이 서로 다른 진주의 발생원인은 내부구조와 일정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진주의 생성환경 또한 영향을 줄 것이라 사료되었다. 하지만 앞서 실시한 대부분의 실험들이 파괴분석이며 이러한 분석들은 진주와 같은 가치 있는 시료에 부적합하므로 앞으로 새로운 방법의 실험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우리는 같은 지역에서 생성된 진주의 표면품질 차이점의 원인을 다양한 분석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들을 토대로 진주의 표면품질은 진주를 구성하고 있는 아라고나이트와 방해석의 함유량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내부 구조분석을 통해 표면품질이 서로 다른 진주의발생원인은 내부구조와 일정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진주의 생성환경 또한 영향을 줄 것이라 사료되었다. 하지만 앞서 실시한 대부분의 실험들이 파괴분석이며 이러한분석들은 진주와 같은 가치 있는 샘플에 부적합하므로 앞으로새로운 방법의 실험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Morphology and Taxonomic Values of the Sperm in Male Chlamys (Swiftopecten) swiftii (Pteriomorphia: Pectinidae) in Western Korea
전제천(국립수산과학원) ; 김진희(Marine Eco-Technology Institute) ; 박영제(바다녹색산업연구소) ; 강희웅(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정재승(인제대학교) ; 정의영(군산대학교) pp.165-174 https://doi.org/10.9710/kjm.2012.28.2.16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Morphology and taxonomic values of the sperm in male Chlamys (Swiftopecten) swiftii were investigat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s. The morphologies and ultrastructures of the sperm nucleus and the acrosome of this species are the vase shape and long cone shape, respectively. Spermatozoa are approximately 45-50 μm long including a sperm nucleus (approximately 2.60 μm long), an acrosome (about 0.63 μm long), and a tail flagellum (approximately 44-47 μm in length). The axoneme of the sperm tail shows a 9+2 structure. In this study, the right and left basal rings in the acrosomal vesicle of this species show electron opaque part (region), and also the anterior apex part of the acrosomal vesicle shows electron opaque part (region).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acrosomal vesicle were found in Pectinidae and other several families in subclass Pteriomorphia. The number of mitochondria in the midpiece of the sperm of this species are four, as one of common characteristics appear in most species in Pectinidae in subclass Pteriomorphia. In addition, the satellite fibres are found near the distal centriole of this species, as have been reported in other species of Pectinidae in subclass Pteriomorphia. Accordingly, structutral characteristics which are found in the acrosomal vesicle, four mitochondria in the sperm midpiece and the appearance of the satellite fibers near the distal centriole of C. (S.) swiftii in Pectinidae (subclass Pteriomorphia), can be employed for phylogenetic and taxonomic analyses as taxonomic key or a significant tool.

북한강 참다슬기, Semisulcospira coreana (v. Martens) 의 번식생태
김대희(국립수산과학원) ; 방인철(순천향대학교) ; 이완옥(국립수산과학원) ; 백재민(국립수산과학원) pp.175-185 https://doi.org/10.9710/kjm.2012.28.2.175
초록보기
초록

북한강에 서식하고 있는 참다슬기의 산란생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생식소 발달단계에 따른 생식주기, 성비, 군성숙도, 보육낭유생의 월별변화 등 번식생태와 관련된 생물학적 기초 자료를 조사하였다. 각고에 대한 각경, 전중, 육중의 상관계수 (<TEX>$R^2$</TEX>) 는 0.7761-0.8719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참다슬기의 암컷 생식소는 청록색, 수컷 생식소는 옅은 황색을 띠고, 암컷은 유생을 기르는 보육낭 (brood pouch) 을 가지고 있었다. 암수성비는 0.17-0.58의 범위로 계절적 불균형이 심하였으며, 여름철 암컷 비율이 높고 겨울철 암컷비율이 낮았다. 생식소의 조직학적 조사 및 비만지수, 생식소지수 조사 결과 봄, 가을에 두 번의 정점을 나타낸 후 급격히 떨어지는 경향을 보여 생식소 발달은 봄, 가을 연 2회 이루어짐을 알 수 있으며, 암컷 보육낭속의 유생수 월별변화도 연중 두 번의 피크를 나타냈었고, 보육낭속의 유생수는 월 평균 286-975범위로, 11월에 연중 가장 적었고 3월과 9월에 각각 975개, 863개로 연중 가장 많은 유생을 보유하였다. 50%가 성숙하는 군성숙체장은 각고 13.95 mm였으며, 각고 15mm 이상은 모든 개체가 성숙하고 보육낭을 형성하였다.

Abstract

북한강에 서식하고 있는 참다슬기의 산란생태를 파악하기위하여 생식소 발달단계에 따른 생식주기, 성비, 군성숙도, 보육낭유생의 월별변화 등 번식생태와 관련된 생물학적 기초 자료를 조사하였다. 각고에 대한 각경, 전중, 육중의 상관계수 (R2) 는0.7761-0.8719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참다슬기의 암컷 생식소는 청록색, 수컷 생식소는 옅은 황색을 띠고, 암컷은 유생을 기르는 보육낭 (brood pouch) 을 가지고 있었다. 암수성비는 0.17-0.58의 범위로 계절적 불균형이 심하였으며, 여름철 암컷 비율이 높고 겨울철 암컷비율이낮았다. 생식소의 조직학적 조사 및 비만지수, 생식소지수 조사 결과봄, 가을에 두 번의 정점을 나타낸 후 급격히 떨어지는 경향을보여 생식소 발달은 봄, 가을 연 2회 이루어짐을 알 수 있으며,암컷 보육낭속의 유생수 월별변화도 연중 두 번의 피크를 나타냈었고, 보육낭속의 유생수는 월 평균 286-975범위로, 11월에연중 가장 적었고 3월과 9월에 각각 975개, 863개로 연중 가장 많은 유생을 보유하였다. 50%가 성숙하는 군성숙체장은 각고 13.95 mm였으며, 각고 15mm 이상은 모든 개체가 성숙하고 보육낭을 형성하였다.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