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미세조류 3종의 먹이에 따른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유생과 부착치패의 성장과 생존
민병희(부산광역시 수산자원연구소) ; 김병학(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 ; 권오남(강릉원주대학교) ; 박흠기(강릉원주대학교) ; 허성범(부경대학교) pp.293-303 https://doi.org/10.9710/kjm.2012.28.4.293
초록보기
초록

I. galbana, P. lutheri 및 C. simplex 3종을 먹이로 공급하며, 미세조류 종류에 따른 피조개 유생과 부착치패의 성장과 생존율 등을 비교하였다. 서로 다른 미세조류 3종을 단일 또는 혼합하여 먹이로 공급한 피조개 유생의 성장은 혼합 공급구에서 가장 빠르게 나타내었고, 단일 공급구 중에서 C. simplex 공급구에서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다. 또 유생의 생존율은 혼합 공급구에서 <TEX>$27.4{\pm}5.3%$</TEX>로 가장 높게 나타내었고, 단일 공급구 중에서 C. simplex 공급구에서 <TEX>$14.5{\pm}2.3%$</TEX>로 가장 높았다. I. galbana, P. lutheri, C. simplex 3종을 단일 또는 동일비율로 혼합한 미세조류의 지방산 조성은 EPA의 경우 C. simplex에서만 <TEX>$25.9{\pm}0.64%$</TEX>로 나타났고, 다불포화지방산(PUFA)과 n-3 HUFA 함량은 C. simplex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이들 미세조류를 먹이로 공급한 피조개 부착치패의 경우 C. simplex 공급구에서 포화지방산과 AA 함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와 같은 C. simplex의 지방산 조성이 피조개 유생과 부착치패의 성장과 생존율의 원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단일종으로는 C. simplex가 가장 적합하나 3종을 혼합하여 공급하는 것이 더 좋은 먹이효율을 유도할 수 있다.

Abstract

I. galbana, P. lutheri 및 C. simplex 3종을 먹이로 공급하며, 미세조류 종류에 따른 피조개 유생과 부착치패의 성장과생존율 등을 비교하였다. 서로 다른 미세조류 3종을 단일 또는 혼합하여 먹이로 공급한 피조개 유생의 성장은 혼합 공급구에서 가장 빠르게 나타내었고, 단일 공급구 중에서 C. simplex 공급구에서 가장 높은성장을 보였다. 또 유생의 생존율은 혼합 공급구에서 27.4 ±5.3%로 가장 높게 나타내었고, 단일 공급구 중에서 C. simplex 공급구에서 14.5 ± 2.3%로 가장 높았다. I. galbana, P. lutheri, C. simplex 3종을 단일 또는 동일비율로 혼합한 미세조류의 지방산 조성은 EPA의 경우 C. simplex에서만 25.9 ± 0.64%로 나타났고, 다불포화지방산(PUFA) 과 n–3 HUFA 함량은 C. simplex에서 가장 높게나타났다. 또 이들 미세조류를 먹이로 공급한 피조개 부착치패의 경우C. simplex 공급구에서 포화지방산과 AA 함량이 유의하게높았다. 이와 같은 C. simplex의 지방산 조성이 피조개 유생과 부착치패의 성장과 생존율의 원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단일종으로는 C. simplex가 가장 적합하나 3종을 혼합하여 공급하는 것이 더 좋은 먹이효율을 유도할 수 있다.

나프탈렌에 노출된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생존 및 생식지표 변화
진영국(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 ; 김태익(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 ; 명정인(국립수산과학원) ; 황형규(국립수산과학원) ; 박민우(국립수산과학원) pp.305-312 https://doi.org/10.9710/kjm.2012.28.4.305
초록보기
초록

나프탈렌이 바지락 (각장 32.74 ± 2.18 mm, 전중 8.29 ±1.41 g) 의 생존, 성비 및 생식소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연구하였다. 노출농도는 대조구, solvent 대조구 (에탄올), 30,60, 90, 120 μg Nap L-1 였으며, 노출기간은 20주였다. 노출 종료 후 바지락의 생존율은 60 μg Nap L-1 이상의 농도에서 감소하였다. 성비는 대조구와 비교해 solvent 대조구 (에탄올)와 30 μg Nap L-1 실험구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60 μg Nap L-1 실험구의 경우 수컷의 비율이 높았다. 그 후 농도가 높아질수록 수컷의 비율이 감소하였다. 생식소 발달단계는 암컷의 경우 60 μg Nap L-1 이상의 농도에서,수컷의 경우 30 μg Nap L-1 이상의 농도에서 발달이 지연되는 결과를 보였다. 생식소에서 관찰된 intersex는 암컷에서16.28%, 수컷에서 1.68%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을 볼 때나프탈렌은 바지락의 생존 뿐 만 아니라 성비와 생식에 영향을주는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SL; 32.74 ± 2.18 mm, TW; 8.29 ± 1.41 g, N; 450) were exposed to various concentrations of naphthalene for 20 weeks. Exposure concentrations of naphthalene established control, solvent control (ethanol), 30, 60, 90 and 120 μg Nap L-1 following results of 96h acute exposure. After exposure during 20 weeks, survival rate of the manila clam was lowed in 60, 90 and 120 μg Nap L-1 exposure group compared control group. Also, sex ratio of male was higher in 60 μg Nap L-1 exposure group (χ2 = 5.492, P < 0.05) but lowed 90 μg Nap L-1 exposure group (χ2 = 4.214, P < 0.05) and 120 μg Nap L-1 exposure group (χ2 = 30.118, P < 0.05). Gonad development was delayed in female (> 60 μg Nap L-1) and male (> 30 μg Nap L-1). Intersex was 16.28% in female, 1.68% in male. In this result, naphthalene caused survival decrease, imbalance of sex ratio, delay of gonad development of the manila clam. Also, chronic exposure to naphthalene suggested abnormal effects in reproduction of the manila clam.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인공종묘의 대량생산
김태익(남서해수산연구소) ; 고창순(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 허영백(남동해수산연구소) ; 진영국(국립수산과학원 남서해수산연구소) ; 이정용(국립수산과학원) ; 장영진(부경대학교) pp.313-319 https://doi.org/10.9710/kjm.2012.28.4.313
초록보기
초록

2001년 8월 8일부터 12월 5일까지 말백합 대량 인공종묘생산 실험을 실시하였다. 채란은 평균각장 65.8 ± 8.4 mm의어미 100 개체로부터 공기노출과 수온상승자극 방법으로 채란하였으며, 수정란에서 D형유생까지 발생 소요시간은 수온 27℃에서 17시간 40분, 발생률은 6.1%, D형유생은 각장131.4 ± 2.6 μm였다. D형유생은 4일간 사육하여 각장190.2 ± 7.5 μm의 침착기 유생으로 성장하였고, 생존율은48.1%였다. 이후 침착기 유생 130,000 개체를 저면 모래순환여과 방법으로 침착시켜 사육하였으며, 46일째 평균각장 3.1 ± 0.8 mm, 87일째 6.6 ± 1.8 mm, 그리고 114일째에 10.5± 0.9 mm로 성장하였다. 치패의 각장 (SL) 에 대한 각고(SH) 의 상대성장식은 SH = 0.8501SL + 0.0196 (R2 =0.9987) 로 나타났다. 초기 침착치패인 각장 3.1 mm 이하에서 대량폐사가 일어났으며, 생존율은 사육 46일째 53.8%, 87일째 43.6%, 그리고 114일째에 51,000 개체가 생존하여 생존율 39.2%를 나타냈다.

Abstract

Mass production method on artificial seedling production of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was developed indoor culture system. Spawning of adult clam (SL 65.8 ± 8.4 mm) was induced using the combined method of air exposure and water temperature raising. The fertilized eggs were developed to D-shaped larvae after 17.7 hours at 27℃ and hatching rate was 6.1%. Shell length (SL) of D-shaped larvae was measured to be 131.4 ± 2.6 μm and thereafter the larvae grew to the settled spats with SL 190.2 ± 7.5 μm in 4 days. Estimated survival rate of settled spats was 48.1%. Spat collection on 130,000 spats with SL 0.19 ± 0.01 mm performed conducted by sand bottom circulation filtering method. Collected spats grew up to 3.1 ± 0.8 mm in 46 days, 6.6 ± 1.8 mm in 87 days, and 10.5 ± 0.9 mm in 114 days. The relative growth between SL and shell height (SH) was calculated to be SH = 0.8501SL + 0.0196 (R2 = 0.9987) during the whole spat period. During spats rearing, they were suffered from one time of mass mortality at SL 3.1 mm, but 51,000 spats were finally survived with the rate of 39.2% at 114 days of spat rearing in indoor tank system.

소라, Batillus cornutus (Lightfoot, 1786) 혈구의 종류 및 미세구조적 특징
김석렬(국립수산과학원) ; 박정준(국립수산과학원) ; 이정식(전남대학교) ; 박명애(국립수산과학원) ; 김재원(강원도립대학) ; 정귀권(영광정보산업고등학교) pp.321-328 https://doi.org/10.9710/kjm.2012.28.4.321
초록보기
초록

전라남도 완도군 인근연안에서 채집된 소라, Batillus cornutus의 혈구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혈구의 종류 및 미세구조적인 특징을 연구하였다. 광학현미경 상에서 소라의 혈구들은 호염기성 세포로 관찰되었다. 혈구의 형태학적인 특징으로 분류를 하였을 때 소라의 혈구는 모두 8종류로 나눌 수 있었다. 미성숙 혈구는 직경 약 4.5-5.5 μm로서 세포질 내에 지름 2-3 μm인 원형의 핵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과립세포는 직경 약 7 μm로서 세포질에는 전자밀도가 낮고 크기가 다양한 과립들과 미토콘드리아, 글리코겐 과립들이 관찰되었다. 초자세포는 핵의 크기 및 세포질에 존재하는 미세소관의 특징에 따라 6종류로 세분화 할 수 있었다. 초자세포 III은 라이소좀 및 글리코겐 과립의 형성이 미약하여식세포의 기능 보다는 영양분의 흡수 및 운반 기능을 수행하는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초자세포 VI은 형태가 불규칙한 아메바형으로 세포질에 글리코겐 과립의 분포가 높고, 이식포와 자식포가 분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 혈구들의 정확한 기능을파악하기 위해서는 효소학적 및 면역학적 연구를 추가적으로수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Light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of Batillus cornutus hemocytes revealed differences that the morphological distinctions between blast-like cell, granulocytes and hyalinocytes. Base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ells, we identified the eight types of hemocytes and present a categorization of the hyalinocytes into six sub-categories. The hemocytes of B. cornutus were observed basophilic cell under the light microscopy. Blast-like cells had a spherical profile with a central nucleus filling almost the whole cell. Granulocytes were characterized by presenting variable numbers of granules. This cell had spherical shape with diameter 7 μm and smooth endoplasmic reticula, granules, mitochondria, glycogen granules in the cytoplasm. Hyalinocytes were the most abundant cell type. Especially, hyalinocyte VI had iirregular an amoebal shape and observed autophagosome and heterophagosome in the cytoplasm.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re are eight types of cells in the hemolymph of B. cornutus. Further studies are now needed to identify the role of these hemocytes in the enzymological and immunological response.

Three Unrecorded Muricid Species from Korean Waters
길현종(국립생물자원관) ; 이준상(강원대학교) ; 고동범(한빛신경과의원) pp.329-333 https://doi.org/10.9710/kjm.2012.28.4.32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Korean muricid snails are listed include previous record and three unrecorded species, Morula iostoma, Coralliophila morishimai, and C. abnormis collected from Mudo of Jeju-do were redescribed. As a result, the family Muricidae in Korea turned out to be 44 species of 22 genera.

31개월령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성장형질에 대한 선발반응 추정
박종원(국립수산과학원) ; 박철지(국립수산과학원) ; 이정호(국립수산과학원) ; 노재구(국립수산과학원) ; 김현철(국립수산과학원) ; 황인준(국립수산과학원) ; 김성연(국립수산과학원) pp.335-342 https://doi.org/10.9710/kjm.2012.28.4.3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31개월령 북방전복의 성장형질에 대한 선발반응을 추정하기 위해 2008년에 생산된 2세대 육종전복의 모집단 6,858마리와 다음 세대 생산을 위해 최종 교배지침에 포함된 614마리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각 형질별 전체평균은 각 장, 각폭 및 중량이 각각 76.31 mm, 49.48 mm 및 56.90 g로 조사되었고, 중량의 변이계수가 28.70%로 나타나 다른 형질에 비해 자료의 변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각장, 각폭, 중량 및 비만도에 있어서 성과 성숙도의 효과에 대한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만도를 제외한 모든 형질에서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p < 0.01), 성의 효과는 비만도를 제외한 모든 형질에 있어서 수컷보다 암컷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각 형질별 육종가와 표현형가의 상관관계는 각장, 각폭 및 중량에 있어서 순위상관계수와 단순상관계수의 범위가 0.63에서 0.71로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나 육종가와 표현형가의 상관관계를 더 높인다면 보다 효율적인 개량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선발반응 예측치 즉, 기대되는 유전적 개량량은 각장, 각폭 및 중량이 각각 9.6%, 9.5% 및 26.1%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음 세대에 있어서 보다 높은 선발반응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선발의 정확도는 물론 최종교배를 위해 선발되는 개체의 비율과 선발강도를 적절히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31개월령 북방전복의 성장형질에 대한 선발반응을 추정하기 위해 2008년에 생산된 2세대 육종전복의 모집단 6,858마리와 다음 세대 생산을 위해 최종 교배지침에 포함된 614마리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각 형질별 전체평균은 각장, 각폭 및 중량이 각각 76.31 mm, 49.48 mm 및 56.90 g 로 조사되었고, 중량의 변이계수가 28.70%로 나타나 다른 형질에 비해 자료의 변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각장, 각폭, 중량 및 비만도에 있어서 성과 성숙도의 효과에 대한 분산분석을실시한 결과 비만도를 제외한 모든 형질에서 고도의 유의성이인정되었으며 (p < 0.01), 성의 효과는 비만도를 제외한 모든형질에 있어서 수컷보다 암컷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각형질별 육종가와 표현형가의 상관관계는 각장, 각폭 및 중량에있어서 순위상관계수와 단순상관계수의 범위가 0.63에서 0.71로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나 육종가와 표현형가의 상관관계를더 높인다면 보다 효율적인 개량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선발반응 예측치 즉, 기대되는 유전적 개량량은 각장,각폭 및 중량이 각각 9.6%, 9.5% 및 26.1%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음 세대에 있어서 보다 높은 선발반응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선발의 정확도는 물론 최종교배를 위해 선발되는개체의 비율과 선발강도를 적절히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선발육종기술을 이용한 북방전복의 성장
박철지(국립수산과학원) ; 이정호(국립수산과학원 육종연구센터) ; 노재구(국립수산과학원) ; 김현철(국립수산과학원 육종연구센터) ; 박종원(국립수산과학원) ; 황인준(국립수산과학원 전략양식연구소 양식관리과) ; 김성연(국립수산과학원) pp.343-347 https://doi.org/10.9710/kjm.2012.28.4.343
초록보기
초록

속성장을 위한 선발 1세대 전복 (Selected abalone : SA)의 성장률을 조사하기 위하여 동일 사육 환경 조건에서 대조구전복 (control abalone : CA) 과 비교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각 성장형질 (각장, 각폭 및 중량) 은 SA구가 CA구보다 유의하게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45일째 및 90일째의 평균 각장에있어 SA구가 CA구 보다 각각 31.7% 및 17.8% 빠르게 나타났으며, 중량에 있어서도 각각 43.7% 및 25.6% 빠른 것으로나타났다. 더욱이 90일째의 각장과 중량의 상대성장 비교에있어서도 SA구가 CA구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선발육종기술을 이용하여 양식전복의 성장률을 증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The growth rates of offspring (SA) of selecte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population for rapid growth were compared to those of offsping (CA) of the control abalone at bred under the same condition. The growth traits (shell length, shell breadth and total weight) of SA were significantly faster than those of CA at this experiment. At the 45th day and 90th day, the growth rates in shell length of SA were estimated 31.7% and 17.8% faster than those of CA, total weight of SA were estimated 43.7% and 25.6%, respectively. Moreover, the relative growth rate between shell length and total weight of S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higher than one in CA at 90th day. The results suggest a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growth rate of cultured abalone using selection techniques.

Filtration Rates of Juvenile Purple Clam, Saxidomus purpuratus (Sowerby) Feeding on Red Tide Dinoflagellates
이창훈((주)네오엔비즈) ; 문성대((주)네오엔비즈) ; 성찬경(이에이치알앤씨 주식회사) pp.349-359 https://doi.org/10.9710/kjm.2012.28.4.34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learance rate (CR) and intake rate (IR) of juvenile purple clam, Saxidomus purpuratus when feeding on different unialgal diet of red tide dinoflagellates (RTDs), and to know what is the most important cell characteristic of RTDs to cause the differences in feeding parameters.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measure the CR and IR of juvenile S. purpuratus as a function of algal concentration when food was either the standard food, Isochrysis galbana or one of 9 RTDs. Patterns of CR with increasing algal concentration were similar among different RTDs. The highest Cmax was observed when S. purpuratus was feeding on A. affine, while the lowest on C. polykrikoides. The patterns of IR with increasing algal concentration were also similar among different RTDs. However, there were great differences in the maximum value of IR (Imax) among different RTDs. The highest Imax was observed when S. purpuratus was feeding on A. carterae, while the lowest on G. catenatum. Some RTDs similar in size showed different Cmax. Other RTDs different in size showed similar Imax. Life form of each RTD affected significantly the Imax, which was higher for single-celled RTDs than chain-forming RTD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eding parameters between toxic and nontoxic RTDs. Moreover, a toxic dinoflagellate, A. carterae recorded the highest Imax among RTD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RTD as a factor affecting the feeding rate of S. purpuratus was life form, not size or toxicity of RTD species.

The first record of Bursa (Bursa) bufonia (Gmelin, 1791) (Caenogastropoda, Bursidae) from Korea
길현종(국립생물자원관) ; 이준상(강원대학교) ; 고동범(한빛신경과의원) pp.361-362 https://doi.org/10.9710/kjm.2012.28.4.36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specimens of bursid snail, Bursa (Bursa) bufonia (Gmelin, 1791) were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and diagnostic characters were analysed.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family Bursidae and the genus Bursa in the Korean waters.

Gametogenic Cycle and the Number of Spawning Seasons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Size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in Atrina (Servatrina) pectinata (Bivalvia: Pinnidae) in Western Korea
정재승(인제대학교) ; 정의영(군산대학교) ; 이창훈((주)네오엔비즈) pp.363-375 https://doi.org/10.9710/kjm.2012.28.4.36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gametogenic cycle, the number of spawning seasons per year and first sexual maturiity of the pen shell, Atrina (Servatrina) pectinata, were investigated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 Image Analyzer System. Compared two previous results (the spawning periods in the reproductive cycles in 1998 and 2006) by qualitative histological analysis with the present results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spawning periods: the spawning period (June to September)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one month longer than those of two previous reports (June to July or June to August) by qualitative histological analysis. However, the number of spawning seasons studied by the qualitative and quatitative analyses occurred once per year. In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 image analyzer system, the patterns of monthly changes in the percent (%) of the areas occupied by follicles to the ovary area in females (or that of the areas occupied by spermatogenic stages to the testis area in males) showed a maximum in May, and then sharply droped from June to September, 2006. From these data, it is apparent that the spawning season of A. (S.) pectinata occurred once a year from June to September, indicating a unimodal gametogenic cycle during the year. Shell heights of sexually mature pen shell (sizes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RM50) that were fitted to an exponential equation were 15.81 cm in females and 15.72 cm in males (considered to be one year old).

한국산 백합 (Meretrix lusoria) 의 전사체 분석
강정하(국립수산과학원) ; 정지은(인제대학교) ; 김봉석(국립수산과학원) ; 안철민(국립수산과학원) ; 강세원(인제대학교) ; 황희주(순천향대학교) ; 한연수(전남대학교) ; 채성화((주)지앤시바이오) ; 고현숙(신라대학교) ; 이준상(강원대학교) ; 이용석(인제대학교) pp.377-384 https://doi.org/10.9710/kjm.2012.28.4.377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importance of biological resources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and mollusks have been utilized as main fishery resources in terrestrial ecosystems. But little is known about genomic and transcriptional analysis in mollusks.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transcriptomic profile of Meretrix lusoria.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cDNA library and determined 542 of distinct EST sequences composed of 284 singletons and 95 contigs. At first, we identified 180 of EST sequences that have significant hits on protein sequences of the exclusive Mollusks database through BLASTX program and 343 of EST sequences that have significant hits on NCBI NR database. We also found that 211 of putative sequences through local BLAST (blastx, E < e-10) search against KOG database were classified into 16 functional categories. Some kinds of immune response related genes encoding allograft inflammatory factor 1 (AIF-1), B-cell translocation gene 1 (BTG1), C-type lectin A, thioester-containing protein and 26S proteasome regulatory complex were identified. To determine phylogenetic relationship, we identified partial sequences of four genes (COX1, COX2, 12S rRNA and NADH dehydrogenase) that significantly matched with the mitochondrial genomes of 3 species-Ml (Meretrix lusoria), Mp (Meretrix petechialis) and Mm (Meretrix meretrix).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re was a little bit of a difference between sequences of Korean isolates and other known isolates.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develop breeding technology and might also be helpful to establish a classification system.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