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권호 목록

수온 증가에 따른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과 둥근전복, Haliotis discus discus의 체액의 생리학적 변화
민은영(부경대학교) ; 이정식(전남대학교) ; 김재원(전남대학교) ; 전미애(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강주찬(부경대학교) pp.1-8 https://doi.org/10.9710/kjm.2015.31.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수온 증가에 따른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과 둥근전복 (H. discus discus) hemolymph의 생리 및 면역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위 두 종을 20, 22, 24, 26 및 <TEX>$28^{\circ}C$</TEX> 수온에 각각 4 일간 노출시켰다. 노출 결과, hemolymph의 total-protein (TP), glucose, 칼슘 (Ca) 은 둥근전복이 북방전복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나, 마그네슘 (Mg), alkaline phosphatase (ALP) 및 lysozyme은 두 종에서 유사한 값을 보였다. 수온 증가에 따른 hemolymph의 TP, glucose 및 마그네슘은 두 전복 모두에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칼슘과 면역관련 인자인 ALP 및 lysozyme은 둥근전복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북방전복에서는 <TEX>$26^{\circ}C$</TEX> 또는 <TEX>$28^{\circ}C$</TEX>의 고수온에 노출되었을 때, 유의하게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한편 phenoloxidase (PO)는 북방전복에서 높은 값을 보였으며, 수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북방전복은 둥근전복과 달리 여러 지표에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된 것으로 보아 북방전복이 둥근전복보다 고수온에 보다 민감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vated water temperature (WT) on biochemical and immunological factors in the hemolymph of the abalones, Haliotis discus hannai and Haliotis discus discus. The abalone were exposed to various WT; 20, 22, 24, 26 and 28℃ for 4 days. In the control, 20℃, total-protein (TP), glucose and calcium (Ca) in hemolymph of H. discus discus were higher than the values in H. discus hannai. The values of manesium (Mg), alkaline phosphatase (ALP) and lysozyme in H. discus hannai were similar to the H. discus discus in the control. There were no significant alterations in TP, glucose, and Mg levels of hemolymph in H. discus hannai and H. discus discus by WT increases. The values of Ca, ALP, and lysozyme were increased in H. discus hannai exposed to the high temperature (26 and 28℃) compared to control, while the values in H. discus discu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WT groups. The phenoloxidase (PO) activity was increased in hemolymph of H. discus hannai exposed to high temperature (≥ 24℃) compared to the control (P < 0.05). These physiological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were significantly changed in H. discus hannai. However, these parameters in H. discus discus were barely altered at the high WT (P < 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 discus hannai is considered to be more sensitive than H.D. discus at the high WT.

피뿔고둥 Rapana venosa (Valalencienes) 정소소엽 내에서의 생식세포발달과 정자형성과정 중 출현하는 비정형 세포들의 미세구조적 연구 및 저정낭의 발달단계에 따른 상피세포들의 주기적 변화
이일호(군산대학교) ; 정재승(인제대학교) pp.9-19 https://doi.org/10.9710/kjm.2015.31.1.9
초록보기
초록

피뿔고둥, Rapana venosa의 정소소엽 내에서 정자형성과정 중에 생성되는 정상적인 생식세포의 발달과 함께 섞이어 일정 시기에만 출현하는 비정형세포들을 미세구조적으로 관찰하였고, 또한 정소 발달단계에 따른 저정낭 내층 상피세포들의 주기적 변화를 조직학적 관찰에 의해 조사하였다. 생식세포의 발달단계는 정원세포기, 정모세포기, 정세포기, 정자기로 나누어지며, 정모세포기는 다시 제1 정모세포기와 제2 정모세포기로 세분할 수 있어, 총 5 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정상적인 웅성생식세포들의 분화와 발달과정은 다른 복족류 종들과 유사하였다. 정자는 길이가 대략 <TEX>$50{\mu}m$</TEX> 정도이었다. 정자의 미부 편모의 악소님 (axoneme) 은 주변에 9쌍의 미세소관들과 중앙에 1쌍의 미세소관들로 구성되어 있다. 즉, 9+2 구조를 이루고 있다. 특히, 대형 복족류 중 뿔소라과 피뿔고둥의 경우는 예외적으로 다른 이매패류나 두족류 등과 달리 정소소엽 내에서 정자형성과정 중에 정상적인 생식세포들 사이에서 총 4종 (Type IA, IB, Type IIA, IIB) 의 비정형세포들 (atypical cells) 이 함께 출현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대형 복족류의 단지 소수의 종들에 한하여 출현하는 예외적인 특이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비정형세포들은 저정낭의 여러 단계 중 내층 상피세포들 내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추측컨대 몇 가지 비정형세포들은 리소좀-모양의 공포들이나 리소좀-모양의 소체들을 가지는데, 이들은 정소소엽 내에서 붕괴나 그 자신들의 흡수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상당량의 정자들이 정소소엽 내에서 형성되어, 그들의 일부는 7월 말까지 정소에서 저정낭으로 이동된다. 교미 성기는 6-7 월 사이이었다. 피뿔고둥 저정낭 발달단계의 주기적 변화는 (1) S-1 단계 (휴지단계), (2) S-II 단계 (축적단계), 그리고 S-III 단계 (배정단계) 의 3 단계로 구분되었다.

Abstract

Germ cell development and cyclic changes in the epithelial cells of the seminal vesicle of the male rapa whelk, Rapana venosa, were investigated by cytological and histological observations. The process of germ cell development can be classified into five stages: (1) spermatogonial, (2) primary spermatocyte, (3) secodary spermatocyte, (4) spermatid, and (5) spermatozoon. In particular, four atypical cells (Type IA, IB, IIA and IIB cells) occur among normal germ cells in the acini during spermatogenesis. Presumably, the atypical cells, which have lysosome-like vacuoles or lysosome-like bodies in the cells, are involved in breakdown and absorption themselves in the acini. However, atypical cells were not found in the epithelial cells of the inner layer of the seminal vesicle. A considerable amount of spermatozoa are transported from the testis towards the the seminal vesicles until late July. The main coupulation period is between June and July. The process of the cyclical changes of the seminal vesicle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phases: (1) resting, (2) accumulating, and (3) spent. Yellow granular bodies are involved in resorption or digestion of residual spermatozoa.

한국산 둥근전복, Haliotis discus discus 의 생식주기
김재원(강원도립대학) ; 이병욱(부경대학교 해양생물학과) ; 강주찬(부경대학교) ; 민은영(부경대학교) ; 원승환(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 ; 임한규(목포대학교) ; 강승완(경상남도수산자원연구소) ; 이정식(전남대학교) ; 전미애(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pp.21-26 https://doi.org/10.9710/kjm.2015.31.1.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제주도에 서식하는 둥근전복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를 조직학적으로 기재하였다. 생식소는 조직학적으로 계절적인 변화를 보였다. 암컷의 비율은 59% (n = 182/309) 로 조사되었다. 생식소지수는 암, 수 모두 9월에 최고값 (3.2, 3.3) 을 보였으며, 1월과 2월에 최저값 (1.7, 1.4) 을 보여주었다. 난경 조성 변화는 3월의 초기성장기부터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여 완숙기인 8월에 <TEX>$180{\mu}m$</TEX> 전후의 난경을 나타냈다. 비만도는 암,수 모두 7월에 최고값 (0.0748, 0.0760) 을 보였으며, 5월에 최저값 (0.0268, 0.0278) 을 나타냈다. 생식소지수, 난경 및 비만도는 생식소조직의 계절적 변화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다. 생식주기는 비활성기 (11월-12월), 초기활성기 (1월-3월), 후기활성기 (3월-4월), 완숙기 (5월-6월), 방출 및 퇴화기 (7월-10월) 로 구분할 수 있다. 2014년 제주도에서 둥근전복의 주산란기는 8월-10월 이었다.

Abstract

This study histologically describes the gonadal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discus inhabiting Jeju island of Korea. Gonads displayed histologically definitive seasonal changes. The gonad index (GI) of both females and males was the highest (3.2 and 3.3) in September and was the lowest (1.7 and 1.4) in January and February. Egg diameter increase from early stage in March and reach about 180 μm to ripe stage in August. The condition index (CI) were highest in July and lowest in May. The pattern of changes in the GI. egg diameter and CI were similar to the pattern of seasonal changes in gonadal tissues. The female ratio (F/F + M) was 59% (n = 182:127). The reproductive cycle was divided into an inactive stage (January-February), early active stage (March-April), late active stage (May–July), ripe stage (August–October) and spent and degenerative stage (November-January). The main spawning period of Haliotis discus discus was August to October at Jeju island in 2014.

꼬막, Tegillarca granosa 소화맹낭의 미세구조
주선미(전남대학교) ; 전미애(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김혜진(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구가연(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이정식(전남대학교) pp.27-33 https://doi.org/10.9710/kjm.2015.31.1.27
초록보기
초록

꼬막 소화맹낭의 해부학적 구조와 미세구조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기재하였다. 소화맹낭은 생식소 위쪽에 위치하며, 일차소관으로 위와 연결되어 있었다. 소화맹낭은 다수의 소화선세관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소화선세관은 단층 상피층으로 호염기성세포와 소화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호염기성세포는 원주형으로 소화세포에 비해 전자밀도가 높았다. 세포질에는 잘 발달된 조면소포체, 관상의 미토콘드리아, 골지체 및 전자밀도가 높고 막을 가진 분비과립들을 함유하고 있었다. 소화세포는 세 가지 종류 (A, B, C) 로 구분 할 수 있었는데 이들 소화세포들은 세포형태, 전자밀도, 세포소기관의 발달 차이를 보였으나 자유면에서 섬모와 미세융모의 발달 및 세포질의 용해소체는 세 가지 상피세포에서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결과는 소화선세관의 호염기성세포와 소화세포는 각각 세포외 소화와 세포내 소화에 적당하게 분화되었음을 의미한다.

Abstract

The anatomy and ultrastructure of the digestive diverticulum of Tegillarca granosa were described using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The digestive diverticulum of straw color was situated on the gonad and connected to stomach by a primary duct. Digestive diverticulum is composed of numerous digestive tubules. The epithelial layer of digestive tubule, which is simple, is composed of basophilic cells and digestive cells. Basophilic cells are columnar in shape, and the electron density is higher than that of the digestive cell. The cytoplasm has a well-developed endoplasmic reticulum, tubular mitochondria, Golgi complex and high electron density of membrane-bounded granules of high electron density. Digestive cells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cell shape, electron density and cell organelles. However, three types of epithelia were same that striated border was observed in free surface and lysosome was observed in cytoplas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asophilic cells and digestive cells in the digestive tubule are specialized in the extracellular and intracellular digestions, respectively.

이매패류 먹이생물로 이용되는 미세조류 4종의 적정 배양환경조건
민병희(부산광역시 수산자원연구소) ; 허성범(부경대학교 해양바이오신소재학과) pp.35-41 https://doi.org/10.9710/kjm.2015.31.1.35
초록보기
초록

실험에 사용된 미세조류는 이매패류 종묘생산시 유생과 치패의 먹이생물로 주로 이용되고 있는 Isochrysis galbana, Pavlova lutheri, Chaetoceros simplex, Tetraselmis tetrathele 등 4종을 선정하였으며, 배양환경으로 수온 (20, 25, 30, <TEX>$35^{\circ}C$</TEX>), 염분 (20, 25, 30, 33 psu) 그리고 조도 (60, 100, <TEX>$140{\mu}mol\;m^{-2}s^{-1}$</TEX>) 를 서로 달리하여 4종의 미세조류에 대한 성장을 조사하였다. I. galbana의 성장은 수온 <TEX>$20^{\circ}C$</TEX> 보다 <TEX>$25^{\circ}C$</TEX>에서 빠른 성장을 나타내었으며, 수온 <TEX>$25^{\circ}C$</TEX>일 때 일간 성장률은 염분 33 psu에서 0.413으로 가장 높았고, 20 psu에서 0.36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P < 0.05). 25 psu에서 일간 성장률은 0.383으로 30 psu 보다 낮게 나타났고, 20 psu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P < 0.05). 이와 같은 수온과 염분에 따른 미세조류의 성장률은 종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P. lutheri, T. tetrathele에서도 I. galbana의 성장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C. simplex의 성장은 수온 <TEX>$25^{\circ}C$</TEX> 보다 <TEX>$30^{\circ}C$</TEX>에서 빠른 성장을 나타내었으며, 수온 <TEX>$30^{\circ}C$</TEX>에서 일간 성장률은 배양 10일째 염분 33 psu에서 0.428로 가장 높았고, 20 psu에서 0.38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P < 0.05). 그리고 서로 다른 조도에서 배양한 미세조류 4종의 성장은 <TEX>$100{\mu}mol\;m^{-2}s^{-1}$</TEX> 보다 <TEX>$140{\mu}mol\;m^{-2}s^{-1}$</TEX>의 조도에서 가장 빠른 성장을 나타내었다 (P < 0.05).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ive food value of microalgae for efficacious rearing of larvae and spats of bivalve, we studied growth rates of four microalgal species (Isochrysis galbana, Pavlova lutheri, Chaetoceros simplex, Tetraselmis tetrathele) cultured in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These include changes in temperatures (20, 25, 30 and 35℃), salinities (20, 25, 30 and 33 psu) and light intensities (60, 100 and 140 μmol m-2 s-1). The growth rate of I. galbana was faster at 25℃ than that of 20℃. At 25℃ the highest growth rate of I. galbana was observed at 33 psu (0.413) and the lowest at 20 psu (0.368) in 10 days of culture (P < 0.05). The growth rate of I. galbana was lower at 25 psu (0.383) than that of 30 psu and higher than that of 20 psu (P < 0.05). Similar temperature and salinity-dependent changes were also found in P. lutheri and T. tetrathele. C. simplex showed faster growth rate at 30℃ than that of 25℃. The highest growth rate of C. simplex was observed at 33 psu (0.428) and the lowest at 20 psu (0.389) in 10 days of culture (P < 0.05). Upon exposure to the light with different intensities, all four microalgal species showed a significantly faster growth rate at 140 μmol m-2 s-1 than at 100 μmol m-2 s-1 (P < 0.05).

산소동위원소 분석을 이용한 신석기시대 연대도 패총의 굴 (Crassostrea gigas) 채집 계절성 연구
안덕임(한서대학교) ; 이인성(서울대학교) pp.43-48 https://doi.org/10.9710/kjm.2015.31.1.4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Oxygen isotope ratios (δ18O) of thre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specimens from the Neolithic Yeondae-do shell midden site, Tongyeong, Korea,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seasonality of shellfish gathering and site occupation. Oxygen isotope samples were taken from the left valve hinge sections of the specimens. Oxygen isotope values ranged between - 0.1 ‰ and - 2.4 ‰, between - 0.2 ‰ and - 2.9 ‰, and between 0.3 ‰ and - 2.8 ‰ in oyster specimen #one, #two and #three, respectively. The isotope profiles showed seasonal temperature cycles,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asonality of shellfish gathering and site occupation. Hinge-edge oxygen isotope values of the specimens showed decreasing trends after passing through maximum values (winter), indicating that they formed during spring. Thus it can be assumed that during spring season, oysters were gathered and the site was occupied.

Radula Tooth Structure of Eight Bithyniid Snail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김재진(배재대학교) pp.49-59 https://doi.org/10.9710/kjm.2015.31.1.49
초록보기
초록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유럽, 호주 등에서 채집한 쇠우렁이 과 패류 8종 (Bithynia striatula, B. tentaculata, B. siamensis, B. leachi, B. kiusiuensis, B. misella, Bithynia sp., Gabbia australis) 을 대상으로 주사전자현미경 (SEM) 을 이용하여 치설을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설열의 수는 B. siamensis와 B. leachi의 경우 60-70개로 다른 종들의 치설열의 수 40-50개보다 많았다. 관찰한 8종의 패류의 치설 구조는 좌우대칭으로 한 치설열에 7개의 치아가 있었다. 즉 1개의 중치를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1개의 측치와 2개의 외연치가 분포하였다. 따라서 기본 치설식은 2:1:1:1:2로 표시할 수 있었다. 소첨두의 수와 모양은 개체별, 종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중치에만 기저돌기가 분포하였다. 중치의 중앙돌기의 구조는 B. striatula, B. tentaculata, B. siamensis 및 Bithynia sp.의 구조가 다른 종들과 차이가 있었다.

Abstract

Eight species of the family Bithyniidae, Bithynia striatula, B. tentaculata, B. siamensis, B. leachi, B. kiusiuensis, B. misella, Bithynia sp. from Nepal, and Gabbia australis were studied for comparison of the radula structure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Radular ribbons of B. siamensis and B. leachi had 60-70 rows, and the other species had 40-50 rows in the radula. Teeth of all species studied had symmetrical structure, i.e. a total of seven teeth (one central tooth and one lateral and two pairs of marginal teeth on each side) in each row were observed. The basic tooth formula of eight bithyniids was 2:1:1:1:2. Numbers and shapes of cusps were slightly differ from individuals or species. The mesocone of the central tooth of B. striatula, B. tentaculata, B. siamensis and Bithynia sp. differed from those of the other species observed.

Utilizing the grazing effect of fresh water clams (Unio douglasiae) for the remediation of algal bloom during summer
남기웅(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이정열(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박경일(군산대학교) pp.61-67 https://doi.org/10.9710/kjm.2015.31.1.6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occurrence of ‘algal bloom’, caused by the mass proliferation of phytoplankton, causes serious problems in streams and lakes in Korea.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hytoplankton filter-feeding trait of Unio douglasiae, a type of freshwater clam, was used to reduce the algal bloom in outdoor water tanks during the summer. This involved theconstruction of a U. douglasiae cultivation apparatus, wherein 1,000 clams were divided into 8 rectangular baskets arranged in the shape of an empty square. The control tank was manufactured in exactly the same shape within the water tank, but without the addition of clams. The algal bloom-reducing effect of U. douglasiae was confirmed by the measurement of (and comparing between) the water quality at the center and periphery of the test and control cultivation apparatus. Water quality measurements included the measurement of water temperature, pH, turbidity, dissolved oxygen (DO) content, and chlorophyll-α concentrations; the water quality was measured twice a month between June and November 2014.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ater quality (temperature, pH, turbidity, DO) between the center and periphery of the test and control tanks. However, the chlorophyll-α concentration was observed to be much lower at the center of the test tank compared to that at the center and periphery of the control tank, as well as at the periphery of the test tank. This was believed to be a result of the U. douglasiae surrounding the center of the test tank, which prevented the influx of plankton from the periphery.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U. douglasiae cultivation could reduce the proliferation of algal blooms in lakes and streams during the summer. In particular, these results indicate possible improvements in U. douglasiae activity (reduction in algal blooms) by their effective arrangement in the water bodies.

A report of three unrecorded Ovulid species (Gastropoda, Heterodonta) from Korea
고동범(연강병원 신경정신과) ; 이준상(강원대학교) ; 민덕기(민패류연구소) pp.69-72 https://doi.org/10.9710/kjm.2015.31.1.6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ree species of Ovulid molluscs collected from Jeju Island were identified as Habuprionovolva aenigma (Azuma & Cate, 1971), Habuprionovolva basilia (Cate, 1978) and Diminovula kosugei (Cate, 1973). This is the first record from the Korean waters, providing a description of the species with illustration for the shell morphology.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