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3480
본 조사는 2013년 6월부터 8월까지 금강 상류에서 멸종위기야생생물 I급인 두드럭조개 (Lamprotula coreana)의 서식지를 조사하였다. 서식지 평가를 위하여 하천의 물리적 구조인 여울, 소 및 유수역이 모두 포함된 다양한 서식환경에서 서식상태를 조사하였으며, 하천단면, 수심, 유속, 하상재료 및 서식지 유형 등을 현장에서 측정 하였다. 서식 확인된 두드럭조개는 크기, 무게 및 연령을 기록하고 서식지에 재살포하였고, 서식지적합도지수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와 PHABSIM (physical habitat simulation system)에 의한 최적 생태유량 산정을 위하여, 각각의 채집 장소에서 수심, 유속 및 하상재료 등을 기록하였다. 서식지 평가는 수위, 유량 및 하천단면의 현장조사 결과와 두드럭조개의 HSI를 PHABSIM에 적용하여 가용서식지면적 (weighted usable area, WUA)과 유량의 관계 곡선을 작성하였다. 금강 상류에서 채집된 두드럭조개는 각장 <TEX>$73.1{\pm}18.4mm$</TEX> 및 전중 <TEX>$131.6{\pm}72.3g$</TEX> 이었으며, 연령은 2-7년생까지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드럭조개의 HSI는 수심 0.4-0.5 m, 유속 0.3-0.5 m/s, 하상재료는 모래-호박돌로 나타났다. PHABSIM에 의해 모의된 최적유량은 2.1 cms였으며, WUA는 <TEX>$3,730m^2$</TEX>/1000 m로 나타났다. 두드럭조개의 서식지 평가 결과는 최근 각종 하천 공사 및 생태적 교란 등으로 서식 범위가 감소하고 있는 시점에서 서식지 복원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ampled endangered species, Lamprotula coreana, and surveyed its habitat at the Guem River with three times from June to August 2013. To assess the habitat, this study conducted field survey considering diverse physical conditions of stream, such as pool, run and riffle, and measured transect, water depth, water velocity, substrate structure, and habitat type. When L. coreana collected, length, weight and age were measured. Water velocity, water depth and substrate structure were recorded to develop HSI (habitat suitability index) and performed PHABSIM (physical habitat simulation) to estimate the optimum flow discharge. Water level, flow discharge and transect data were used for habitat assessment, and PHABSIM was applied to calculate WUA (weighed usable area). Shell length was 73.1 ± 18.4 mm (28.5-102.0 mm), shell weight was 131.6 ± 72.3 g (28.0-281.0 g) and age was two to seven years from L. coreana collected at the upstream of the Guem River. Developed HSI indicated that the optimal habitat for L. coreana was 0.4-0.5 m for water depth, 0.3-0.5 m/s for water velocity and sand to boulder for substrate structure. The optimum ecological flow discharge for L. coreana was 2.1 cms and WUA was 3,730 m2/1000 m by the result of PHABSIM. Recently, river construction work and habitat disturbance have caused negative impact on the distribution of L. coreana.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habitat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L. coreana.
Lee, J.-S., Min, D.-K. (2002) A catalogue of Molluscan Fauna in Korea.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18(2): 93-217.
Petts, G.E., Maddock (1998) Flow allocation for in river needs. The river handbook hydrological, ecological principles, 2: 289-307.
Stalnaker, C.B., Lamb, B.L., Henriksen, J., Bovee, K.,, Bartholow, J. (1995) The instream flow incremental methodology a primer for IFIM. Biological report 29.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45pp.
U.S. Geological Survey-Midcontinent Ecological Science Center (2001) PHABSIM for Windows Software (Version 1.20). User's manual, exercises, Open file report 01-340.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288pp.
Rutherford, D.A. A.A. Echelle, O.E. Maughan. (1987)Changes in the fauna of the little river drainage, south-eastern Oklahoma, 1948-1955 to 1981-1982:Test of the Hypothesis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Community, evolutionary ecology of north American stream fishes. Univ. of Oklahoma, pp. 17.
국립수산과학원 (2009) 멸종위기종 개체군 생태 및 어류산란숙주 관계 연구. 45pp.
김덕만 (1969) 담수산 패류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제1보 한강산Lamprotula coreana와 L. gottschei의 분포 및 밀도에 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2: 29-34.
민덕기, 이준상, 고동범, 제종길 (2004) 한국패류도감. 패류연구소, 566pp.
최기철, 최신석 (1965) 두드럭조개 (Lamprotula coreana) 에관한 생태학적 연구. 1. 임란기와 Glochidia에 관하여. 한국동물학회지, 8(2): 67-72.
최기철, 최신석, 권오길 (1967) 두드럭조개 (Lamprotula coreana) 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1. 유생 (glochidia) 의어체부착에 관하여. 한국동물학회지, 11(1): 1-4.
허준욱, 김정곤 (2009) 용담댐 하류의 하천 건강성 평가 및 어류 서식처를 고려한 최적유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지, 42(6): 481-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