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5-3480
2000년 8월부터 2002년 7월까지 한반도 남서연안 곰소만 바지락 양식장에 서식하는 바지락의 성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전조사기간동안 서식밀도는 평균 1,224 개체/<TEX>$m^2$</TEX> 로서 2000년 11월에 최고 밀도를 보인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월별 각장 빈도분포는 단일 모드형으로 중앙값은 시간경과에 따른 각장 성장에 의해 오른쪽으로 이동하였다. 바지락의 각장 성장은 시간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2001년 7월 이후부터 2002년 2월까지는 성장이 둔화하였고 2002년 3월 이후 다시 증가하였다. 무게 또한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2002년 3월 이후 증가폭이 컸다. 각장과 각고와의 상관관계는 직선식으로 표시할 수 있었으며, 각장과 전중, 육질습중량, 건육중량 및 AFDW와의 관계식은 지수식으로 표시할 수 있었다. 비만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2001년 4월 이후에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2002년에도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비만도 증감으로부터 2001년도 곰소만 양식장 바지락의 산란은 연 1회 5-10월 중으로 파악된다. 또한 곰소만 양식 바지락은 종패 살포이후 24개월 이후부터는 여름철 이전에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growth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habiting culturing ground was studied in west coast Gomso tidal flat of Korea, from August 2000 to July 2001. The density of the clam was the highest in November 2000, showing a monotonic decrease afterwards over the study period. Mean density was 1,224 ind./m2 during the study period. Size frequencies of the clam showed a unimodal distribution, and its mode increased with shell growth over time. Although the growth of shell length of manila clam was monotonic, the growth rates decreased between July 2001 and February 2002 and increased from March 2002. The biomass of the clam also increased with time, in which the increments becoming larger since March 2002. The clam shell length had linear relationship to shell height, and had logarithmic relationship to total weight, meat wet weight, dry meat weight, and AFDW. Condition index of the clam increased continuously until April, decreasing afterwards in 2001. The pattern was similar in 2002. Based on fluctuations in condition index, the spawning time of manila clam in Gomso tidal is inferred to be between May and Octobe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optimal harvests can be made before summer season when growth decreased and mass mortality occurred, after 24 months of seed shell release.
강경호, 장종윤, 김영훈 (2000) 양성장별 바지락, Tapes philippinarum의 성장. 한국패류학회지, 16: 49-54.
김현주, 장창익 (1999) 진해 연안산 바지락 (Tapes philippinarum)의 자원생태학적 연구. 한국수산자원학회지, 2: 32-43.
민광식, 이승주, 김병학, 박기열 (2004)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치패의 수온내성과 바닥기질에 따른 성장. 한국패류학회지, 20: 121-124.
박경일, 최광식, 최진우 (1999) 곰소만에 있어 바지락포자충, Perkinsus sp.의 출현에 관하여. 한국수산학회지, 32:303-309.
박종수, 김선용 (2009) 곰소만에 서식하는 바지락의 성장. 한국수산해양교육연구, 21(2), 230-236.
신현출, 신상호 (1999a) 광양만산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Bivalvia) 의 개체군 생물학. Ⅰ. 성장과서식환경. 한국패류학회지, 15: 21-30.
신현출, 신상호 (1999b). 광양만산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Bivalvia) 의 개체군 생물학. Ⅱ. 개체군동태 및 이차생산. 한국패류학회지, 15: 31-39.
유성규 (2000) 천해양식. 구덕출판사, pp. 639.
이용한, 장영진, 임한규, 정갑수 (1996) 산지별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성장과 생존율 비교. 양식학회지, 9: 223-232.
해양수산부 (2015) 해양수산통계연보.
Anderson, G. J. (1982) Comments on the settlement of Manila clam spats (Tapes philippinarum) at Filucy Bat, Washington, USA. J. Shellfish Res., 2(1): 115.
Chang J.H. and J.Y. Choi. (1998) Seasonal accumulation pattern and preservation potential of tidal-flat sediments;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The Sea」J. Oceanol. Soc. Korea, 3(3), 149-157
Chung, E.Y., D.K. Ryou and J.H. Lee, (1994) Gonadal development, age and growth of the shortnekc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Pelecypoda:Veneridae), on the coast of Kimje, Korea. Korea J. Malacol, 10: 38-54.
Loosanoff V. L. and Davis, H. C. (1963) Rearing of bivalve molusks, Advances marine biology academic pre. 1, pp. 11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