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학교

청소년의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 그 구조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Well-being in Korean Adolescents: Their Structure and Their Relationship to Subjective Well-being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Ryff(1989)가 제안한 심리적 안녕감의 6요인 구조가 우리나라 청소년 집단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둘째. Keyes(1998)가 제안한 사회적 안녕감의 5요인 구조가 우리나라 청소년 집단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셋째,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안녕감이 어떤 관계를 갖는지, 성별에 따라서는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반계 고등학생 602명(남학생 302명, 여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 척도, 긍정적-부정적 정서 목록, 심리적 안녕감 척도, 사회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확인적 요인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위의 문제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Ryff(1989)가 제안한 심리적 안녕감의 6요인 구조는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28문항의 6요인 구조모형(자아수용, 환경에 대한 통제,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이 우리나라 청소년 집단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eyes(1998)가 제시한 사회적 안녕감의 5요인 구조는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사회적 통합, 사회적 수용, 사회적 응집력, 사회적 실현이라는 4요인 구조모형이 우리나라 청소년 집단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한 분석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안녕감을 예언변수로 설정하고 주관적 안녕감을 준거변수로 설정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행한 결과 삶의 만족을 예언하는 요인은 자아수용과 환경에 대한 통제 그리고 자율성이었고, 긍정적 정서를 예언하는 요인은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정서를 예언하는 요인으로는 환경에 대한 통제, 긍정적 대인관계, 개인성장, 자아수용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자아수용은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삶의 만족,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를 모두 예언하는 하위요인이었다. 둘째, 사회적 안녕감을 예언변수로 설정하고 주관적 안녕감의 각 하위요인을 준거변수로 설정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행한 결과 삶의 만족을 예언하는 요인은 사회적 통합, 사회적 수용이었고, 긍정적 정서를 예언하는 요인은 사회적 통합이었다. 부정적 정서를 예언하는 요인은 사회적 수용, 사회적 응집력, 사회적 통합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통합은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삶의 만족,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를 모두 예언하는 하위요인이었다.

keywords
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안녕감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whether Ryff(1989)s' psychological well-being model and Keyes(1998)' social well-being model fit our data on Korean adolescents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s among Korean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well-being,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examined along with gender differences in those three areas. Factor analyses of our data confirmed that Ryff's six-factor mod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is indeed applicable to Korean adolescents. On the other hand, Keyes' original five-factor model of social well-being had to modified into a four-factor one to be a good fit to our data on Korean adolescent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n subjective well-being showed that self-acceptance as a sub-sca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integration as a sub-scale of social well-be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ree dimensions of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gender differences in subjective well-being showed that personal growth, a sub-sca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atisfaction with life and negative affect in both girls and boys. Social coherence as a sub-scale of social well-being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negative affect in the boys' group; autonomy, one of the sub-scal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actualization, one of the sub-scales of social well-be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atisfaction with life and negative affect in the girls' group.

keywords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well-being
투고일Submission Date
2007-03-31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7-05-31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