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 P-ISSN1225-0163
  • E-ISSN2288-8985
  • SCOPUS, ESCI, KCI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논문 상세

    제주도 고산지역 대기 에어로졸의 입경별 산성화-중화 특성

    Acidification and neutralization characteristics of size-fractionated atmospheric aerosols at Gosan site of Jeju Isalnd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15, v.28 no.1, pp.47-57
    https://doi.org/10.5806/AST.2015.28.1.47
    김원형 (제주대학교)
    송정민 (제주대학교)
    김현아 (제주대학교)
    강창희 (제주대학교)
    김인환 (대구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제주도 고산지역에서 2010~2011년에 대기 에어로졸을 입경별로 채취하여 산성화와 중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인위적 기원의 <TEX>$NH_4{^+}$</TEX>와 nss-<TEX>$SO_4{^{2-}}$</TEX>은 일반적으로 <TEX>$0.7{\sim}1.1{\mu}m$</TEX>의 극미세 입자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으나, 황사 시에는 <TEX>$4.7{\sim}5.8{\mu}m$</TEX>의 조대입자 범위에서도 함께 농도가 높은 이산형 분포를 나타내어 황사와 비황사 간에 서로 다른 분포 패턴을 보였다. nss-<TEX>$Ca^{2+}$</TEX>과 <TEX>$NO_3{^-}$</TEX>은 <TEX>$3.3{\sim}4.7{\mu}m$</TEX>의 조대입자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특히 <TEX>$NO_3{^-}$</TEX>은 미세입자와 조대입자 영역에서 농도가 높은 이산형 분포를 나타내었다. 고산지역 대기 에어로졸의 산성화는 황산과 질산 등 무기산에 의한 영향이 대부분이며, 유기산인 포름산과 아세트산은 1.6~6.4% 정도 산성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암모니아,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등이 대기 에어로졸의 산성 물질 중화에 주로 관여하고 있으며, 특히 암모니아에 의한 중화는 비황사와 황사 기간 모두 미세입자 영역에서 훨씬 더 높은 기여도를 보였으나, 탄산칼슘은 조대입자 영역에서 더 큰 중화 기여도를 보였다.

    keywords
    size-fractionated aerosols, ionic species, acidification, neutralization, Gosan site

    Abstract

    제주도 고산지역에서 2010~2011년에 대기 에어로졸을 입경별로 채취하여 산성화와 중화 특성을조사하였다. 인위적 기원의 NH4+와 nss-SO42−은 일반적으로 0.7~1.1 μm의 극미세 입자에서 높은 농도를보였으나, 황사 시에는 4.7~5.8 μm의 조대입자 범위에서도 함께 농도가 높은 이산형 분포를 나타내어 황사와 비황사 간에 서로 다른 분포 패턴을 보였다. nss-Ca2+과 NO3−은 3.3~4.7 μm의 조대입자에서 높은농도를 보였으며, 특히 NO3−은 미세입자와 조대입자 영역에서 농도가 높은 이산형 분포를 나타내었다. 고산지역 대기 에어로졸의 산성화는 황산과 질산 등 무기산에 의한 영향이 대부분이며, 유기산인 포름산과 아세트산은 1.6~6.4% 정도 산성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암모니아,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등이 대기 에어로졸의 산성 물질 중화에 주로 관여하고 있으며, 특히 암모니아에 의한 중화는 비황사와 황사 기간 모두 미세입자 영역에서 훨씬 더 높은 기여도를 보였으나, 탄산칼슘은 조대입자 영역에서 더 큰 중화 기여도를 보였다.

    keywords
    size-fractionated aerosols, ionic species, acidification, neutralization, Gosan site


    참고문헌

    1

    1. Y. J. Kim, K. W. Kim, S. D. Kim, B. K. Lee and J. S. Han, Atmos. Environ., 40, 593-605 (2006).

    2

    2. J. H. Woo, J. Kor. Soc. Atmos. Environ., 25(6), 579-593 (2009).

    3

    3. I. Colbeck, “Environmental Chemistry of Aerosols”, p16, Blackwell Publishing Ltd., U.K., 2008.

    4

    4. P. McMurry, M. Shepherd and J. Vickery, “Particulate Matter Science for Policy Makers; a NARSTO Assessment (Chapter 3)”, p103, Cambridge University Press, U.K., 2004.

    5

    5. J. H. Seinfeld and S. N. Pandis,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p408,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U.S.A., 1998.

    6

    6. G. T. Wolff, P. E. Korsog, N. A. Kelly and M. A. Ferman, Atmos. Environ., 19(8), 1341-1349 (1985).

    7

    7. G. Hwang, M. Lee, B. Shin, G. Lee, J. Lee and J. Shim, J. Kor. Soc. Atmos. Environ., 24(5), 501-511 (2008).

    8

    8. Z. He, Y. J. Kim, K. O. Ogunjobi, J. E. Kim and S. Y. Ryu, Atmos. Environ., 38, 1795-1800 (2004).

    9

    9. H. J. Shin, T. J. Lee and D. S. Kim, J. Kor. Soc. Atmos. Environ., 12(1), 67-77 (1996).

    10

    10. D. J. Na and B. K. Lee, J. Kor. Soc. Atmos. Environ., 16(1), 23-35 (2000).

    11

    11. S. H. Lee, B. W. Kang, I. J. Yeon, J. R. Choi, H. P. Park, H. S. Lee and B. Y. Cho, J. Kor. Soc. Atmos. Environ., 28(5), 595-605 (2012).

    12

    12. M. S. Oh, T. J. Lee and D. S. Kim, J. Kor. Soc. Atmos. Environ., 25(2), 108-121 (2009).

    13

    13. S. Hatakeyama, K. Murano, F. Sakamaki, H. Mukai, H. Bandow and Y. Komazaki,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30, 373-378 (2001).

    14

    14. J. S. Han, Y. M. Kim, J. Y. Ahn, B. J. Kong, J. S. Choi, S. U. Lee and S. J. Lee, J. Kor. Soc. Atmos. Environ., 22(1), 99-106 (2006).

    15

    15. K. J. Kim, S. H. Lee, D. R. Hyeon, H. J. Ko, W. H. Kim and C. H. Kang, Anal. Sci. Technol., 27(1), 1-10 (2014).

    16

    16. D. E. Lee, W. H. Kim, E. K. Jo, J. H. Han, C. H. Kang and K. H. Kim, J. Kor. Soc. Atmos. Environ., 27(5), 603-613 (2011).

    17

    17. K. F. Ho, S. C. Lee, C. K. Chan, J. C. Yu, J. C. Chow and X. H. Yao, Atmos. Environ., 37(1), 31-39 (2003).

    18

    18. M. Nishikawa, S. Kanamori, N. Kanamori and T. Mizoguchi, Sci. Tot. Environ., 107, 13-27 (1991).

    19

    19. A. Avila, Atmos. Environ., 30(9), 1363-1373 (1996).

    20

    2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Press Release (2010.03.21), Republic of Korea.

    21

    2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sian Dust Report (2011.05.13), Republic of Korea.

    22

    22. J. Liang and M. Z. Jacobson, J. Geo. Res., 104(D11), 13749-13769 (1999).

    23

    23. W. C. Keene and D. L. Savoie, Geo. Res. Lett., 25(12), 2181-2184 (1998).

    24

    24. J. C. Chow, Air & Waste Manage. Assoc., 45, 324-382 (1995).

    25

    25. B. W. Kang, H. S. Lee and H. K. Kim, J. Kor. Air Poll. Res. Assoc., 13(5), 333-343 (1997).

    26

    26. A. Sirois and W. Fricke, Atmos. Environ. Part A., 26(4), 593-607 (1992).

    27

    27. S. G. Yeatman, L. J. Spokes and T. D. Jickells, Atmos. Environ., 35(7), 1321-1335 (2001).

    28

    28. B. R. Appel, E. L. Kothny, E. M. Hoffer, G. M. Hidy and J. J. Wesolowski, Environ. Sci. Technol., 12(4), 418-425 (1978).

    29

    29. X. Yao, A. P. S. Lau, M. Fang, C. K. Chan and M. Hu, Atmos. Environ., 37(21), 2991-3000 (2003).

    30

    30. H. Zhuang, C. K. Chan, M. Fang and A. S. Wexler, Atmos. Environ., 33(26), 4223-4233 (1999).

    31

    31. S. B. Hong, W. H. Kim, H. J. Ko, S. B. Lee, D. E. Lee and C. H. Kang, Atmos. Res., 101(1-2), 427-437 (2011).

    32

    32. J. H. Seinfeld and S. N. Pandis,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from air pollution to climate change”, p287-358, Wiley, New Jersey, 1998.

    33

    33. J. N. Galloway and W. C. Keene, Tellus, 41B, 427-443 (1989).

    34

    34. D. R. Hyeon, J. M. Song, K. J. Kim, W. H. Kim, C. H. Kang and H. J. Ko, Anal. Sci. Technol., 27(4), 213-222 (2014).

    35

    37. C. H. Kang, W. H. Kim, H. J. Ko and S. B. Hong, Atmos. Res., 94(2), 345-355 (2009).

    상단으로 이동

    분석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