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불안민감성과 행동억제가 걱정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s of Anxiety Sensitivity and Behavioral Inhibition on Worr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초록

본 연구는 불안민감성 및 행동억제와 걱정과의 관계를 정서조절곤란이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32명이 불안민감도 척도, 행동억제 척도, 정서조절곤란 척도, 걱정 증상 척도를 완성하였다. 연구 결과 기질적인 요인인 불안민감성과 행동억제가 걱정에 미치는 영향이 정서적인 요인인 정서조절곤란에 의해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 경로는 남녀집단에서 상이하였다. 남자 집단에서는 불안민감성이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고, 여자 집단에서는 행동억제가 정서조절곤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기질적인 취약성이 걱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정서조절곤란이 매개하고, 성차에 따라 경로가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함의점과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keywords
걱정, 불안민감성, 행동억제, 정서조절곤란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xistence of a mediating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among anxiety sensitivity, behavioral inhibition, and worry. A total of 332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Anxiety Sensitivity Index, Behavioral Inhibition Scale, Emotion Dysregulation Scale, and Worry Scal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al factors (anxiety sensitivity, behavioral inhibition) and worry was partially mediated by an emotional factor (emotion dysregulation). However, the path coefficients were different for male and female groups. On the one hand, the path from anxiety sensitivity to emotion dysregulation was not significant in the male group. On the other hand, the path from behavioral inhibition to emotion dysregulation was not significant in the female group.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relation between temperamental vulnerabilities and worry was mediated by emotion dysregulation; however,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the pathway.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om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keywords
worry, anxiety sensitivity, behavioral inhibition, emotion dysregulation
투고일Submission Date
2016-12-05
수정일Revised Date
2017-02-08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17-02-23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