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저장장애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와 심리치료를 위한 개관 논문

A Review on Psychological Understanding and Psychotherapy for Hoarding Disorder

초록

저장장애 또는 수집광이란 물건의 실제 가치와 무관하게 소유물을 버리는 데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이다. 저장장애는 병식이 부족하고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며, 개인에게 상당한 정신, 신체 및 경제적 문제를 초래한다. 또한, 가족 및 주변인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화재나 공공 위생 저해 등 사회적 문제와 사회 비용을 발생시킨다. 국외에서는 저장장애의 특성 및 심리적 개입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관련 연구가 많지 않으며 저장장애를 위한 심리치료를 다루는 연구가 특히 빈약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를 개관하여 저장장애와 관련된 변인과 이론적 모델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저장장애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심리치료를 탐색하고, 기존 개입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인 위험감소 접근을 소개하였다.

keywords
hoarding disorder, cognitive behavioral model for hoarding disorder, attachment theory, compromised self-identity, harm reduction approach, 저장장애, 인지-행동 모델, 애착 이론, 손상된 자아정체감, 위험감소 접근

Abstract

Hoarding disorder, also known as compulsive hoarding, is a mental disorder characterized by persistent difficulty in discarding possessions regardless of their actual value. Hoarding disorder is characterized by a lack of insight and chronic course and causes significant mental, physical, and economic problems. It also harms family members and their surroundings, leading to social issues (such as fire hazards and public health concerns) that result in social costs.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psyc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hoarding disorders and interventions for hoarding disorders overseas. However, in South Korea,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oarding disorders, especially psychological interventions.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the existing research to understand various models of hoarding disorder and examines the factors related to its symptoms. Additionally, this study explores psychological interventions known to be effective for hoarding disorders and introduces a new treatment approach called the Harm Reduction Approach to complement existing interventions.

keywords
hoarding disorder, cognitive behavioral model for hoarding disorder, attachment theory, compromised self-identity, harm reduction approach, 저장장애, 인지-행동 모델, 애착 이론, 손상된 자아정체감, 위험감소 접근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