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Love Story and Reconstruction of Gender system - Focusing on {The Star of Lost Paradise} written by Kim Nae-seong -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9, v.0 no.22, pp.175-210
https://doi.org/10.18856/jpn.2009..22.007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is Article is about {The Star of Lost Paradise} written by Kim Nae-seong as love Story. Political liberatio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of Korea lead the sexual liberation. Many novels enlightened the way of loving, and sexual process. Loving-narrative idealized sexual drive and process in romantics. {The poem of the Hell} written by Park Gyue-ju seems to be tend to this aspect. And then, {Liberal Woman} written by Jeong Bi-seok is included in this trend. But wommen with liberal mind were called or catagorized as “apres” or “liberal wommen” who strayed away from traditional female gender ideology in nagatively. On the other hand, {The Star of Lost Paradise} written by Kim Nae-seong represented a new gender, reflected a change in situ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Kang Seok-woon and Kim Ok-young represented the new relation of husband and wife. The relatiohnship between Kang Seok-woon and Go young-lim represented the changed relation of lovers. Love Story written by Kim Nae-seong reversed the conservative gender idea. This trend of Kim Nae-seong's novel is comparitive with that of Jeong Bi-seok' novel.

keywords
연애소설, 애욕, 박계주, 정비석, 김내성, 연애결혼, 섹슈얼리티, 근대성/탈근대성, {The Star of Lost Paradise}, Kim Nae-seong, Love Syory, gender system, sexual liberation

Reference

1.

경향신문 ,

2.

여원 ,

3.

명랑

4.

김내성, 실락원의 별 , 민중서관, 1957.

5.

박계주, 지옥의 시 , 박영사, 1959.

6.

정비석, 고원 , 백민문화사, 1946

7.

정비석, 자유부인 , 정음사, 1954.

8.

강인철, 「한국전쟁과 사회의식 문화의 변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한국전쟁과 사회구조의 변화 , 백산서당, 1999, 197-308.

9.

권보드래, 연애의 시대 , 현실문화연구, 2003.

10.

김동윤, 신문소설의 재조명 , 예림기획, 2001.

11.

김복순, 「아프레걸의 계보와 반공주의 서사의 자기구성 방식」, 어문연구 37권, 2009.3, 285-308.

12.

김은하, 「전후 국가 근대화와 ‘아프레걸(전후여성)’ 표상의 의미」, 여성문학연구 16, 2006, 177-209.

13.

김해경, 식민지 하 근대가족의 형성과 젠더 , 창비, 2006.

14.

김현주, 「‘아프레걸’의 주체화 방식과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의 구조」, 한국문예비평연구 , 2006, 315-335.

15.

김현주, 「김내성 후기소설 애인 에 나타난 욕망과 윤리」, 대중서사연구 21호, 2009.6, 203-236.

16.

니클라스 루만, 정성훈‧권기돈‧조형준 옮김, 열정으로서의 사랑 , 2009.

17.

배은경‧황정미, 「이 책을 펴내면서:현대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 현대사회의 그림자 혹은 탈출구?」, 앤소니 기든스, 현대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 새물결, 1996, 6-17.

18.

변재란, 「한국영화사에서 여성관객의 영화관람 경험 연구」, 중앙대 박사논문, 2000.

19.

서영채, 사랑의 문법 , 민음사, 2004.

20.

소영현, 「미적 청년의 탄생」, 연세대 박사, 2006.

21.

앤소니 기든스, 배은경‧황정미 옮김, 현대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 새물결, 1996.

22.

유지영, 「전후 멜로드라마 영화에 재현된 ‘아프레걸’ - 범죄와 고백의 양상을 중심으로」, 연세대 석사, 2008.

23.

이봉범, 「해방공간의 문화사」, 상허학보 , 2009.6, 13-54.

24.

이선미, 「1950년대 젠더 인식의 보수화 과정과 ‘왈순아지매’ - 여원 만화의 여성캐릭터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 2009.6, 161-201.

25.

이선미, 「젊은 여원 , 여성상의 비등점」, 권보드래 외, 아프레걸 사상계를 읽다 , 동국대 출판부, 2009, 255-286.

26.

이시은, 「전후 국가재건 윤리와 자유의 문제 - 정비석의 <자유부인>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 2005.7, 139-166.

27.

이영미, 「추리와 연애, 과학과 윤리 - 장편소설로 본 김내성의 작품세계」, 대중서사연구 , 2009.6, 7-50.

28.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 소도, 2004.

29.

이혜령, 「‘해방기’ 식민기억의 한 양상과 젠더」, 여성문학연구 , 2008.6, 233-266.

30.

전미경, 근대 계몽기 가족론과 국민 생산 프로젝트 , 소명, 2005.

31.

정종현, 「자유와 민주, 식민지 윤리감각의 재맥락화-정비석 소설을 통해 본 미국 헤게모니 하 한국 문화재편의 젠더정치학」, 권보드래 외, 아프레걸 사상계를 읽다 , 동국대출판부, 2009, 105-150.

32.

주창윤, 「1950년대 중반 댄스 열풍:젠더와 전통의 재구성」, 한국언론학보 , 53권 2호, 2009, 277-430.

33.

최미진, 「1950년대 신문소설에 나타난 아프레걸」, 대중서사연구 18호, 2007.12,119-153.

34.

케이트 밀렛, 김전유경 옮김, 성 정치학 , 이후, 2009.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