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Anti-communism and 1960s Spy Thriller in South Korea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09, v.0 no.22, pp.39-69
https://doi.org/10.18856/jpn.2009..22.002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aspects and contexts of anti-communism in the Spy thriller film in the 1960s. The motivation for this work is to try to define the meaning and forms of the typical representation of anticommunism constituted in popular film such as spy thriller, and to understand the function and forms of Korean cinema in 1960s in relation to the internalization of ideology. ‘James Bond’ was perhaps popular and widespread mass-hero at that time, and the most important symbol to take notice of. Korean film tried to mimic ‘James Bond’, which producted spy thriller in 1965 and 1966. Important motives to the spy thriller are ‘strong man’ and ‘family reunit’. Especially, motif of ‘family’ reunit concerned the trauma which people want to cure, and emotion which people had in that era. They gave 1960's spectators pleasure by making them console their trauma and a sense of frustration in relation to historical experiences such as Korean War and 5.16 military coup and making the anticommunism internalized in spectator.

keywords
1960년대, 반공, 첩보 액션물, 007 제임스본드, 가족, 트라우마, 1960s, Korean Cinema, spy thriller, James Bond, family, trauma

Reference

1.

한형모, <운명의 손>(1954)

2.

고영남, <상해55번지>(1965)

3.

장일호, <국제간첩>(1965)

4.

최경옥, <여간첩 에리샤>(1965)

5.

고영남, <스타베리 김>(1966)

6.

권혁진, <비밀첩보대>(1966)

7.

김봉환, <누명 쓴 사나이>(1966)

8.

김수용, <동경특파원>(1966)

9.

김시현, <살인스파이 제5전선>(1966)

10.

김화랑, <007 폭소판: 살살이 몰랐지>(1966)

11.

문여송, <간첩작전>(1966)

12.

이봉래, <무정가 1번지>(1966)

13.

이한욱, <적선지대>(1966)

14.

전홍직, <비밀정보 88번지>(1966)

15.

정진우, <8240 KLO>(1966)

16.

정창화, <순간은 영원히>(1966)

17.

편거영, <위기 113>(1966)

18.

장일호, <남남서로 직행하라>(1967)

19.

강범구, <내가 반역자냐>(1968)

20.

장일호, <250조>(1969)

21.

김기영‧유지형, 김기영 감독 인터뷰집:24년간의 대화 , 선, 2006.

22.

김윤식, 바깥에서 본 한국문학의 현장 , 집문당, 1998.

23.

김윤식, 운명과 형식 , 솔, 1997.

24.

김진기 외 지음, 반공주의와 한국문학의 근대적 동학 1 , 한울, 2008.

25.

김철‧신형기 외 지음, 문학 속의 파시즘 , 삼인, 2001.

26.

박유희, 「만주웨스턴 연구」 대중서사연구 20호, 대중서사학회, 2008, 7-46쪽.

27.

박유희, 「한국 추리서사에 나타난 ‘탐정’ 표상」,《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HK연구단 제65차 월요모임 발표문》, 2009.6.1.

28.

사회와 철학 연구회, 한국사회와 모더니티 , 이학사, 2001.

29.

오영숙, 「1960년대 스릴러의 양상과 현실인식」 영화연구 33호, 한국영화학회, 2007, 43-74쪽.

30.

윤평중, 「한국사회와 자유주의」, 비평 6호, 한국비평이론학회, 2001년 겨울호, 108-143쪽.

31.

윤충로‧강정구, 「분단과 지배 이데올로기의 형성‧내면화」, 사화과학연구 6집,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1998.

32.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 소도, 2004.

33.

이영일, 한국영화사강의록 , 소도, 2004.

34.

전재호, 반동적 근대주의자 박정희 , 책세상.

35.

주유신, 「한국영화에서 가족의 재현」, 김미현 책임편집, 한국영화사:開化期에서 開化期까지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209-215쪽.

36.

조희연 편, 한국의 정치사회적 지배담론과 민주주의의 동학-한국민주주의와 사회운동의 동학(3) , 함께 읽는 책, 2003.

37.

최장집 편, 해방 전후사의 인식 4, 한길사, 1997.

38.

하길종, 사회적 영상과 반사회적 영상 , 전예원, 1981.

39.

한국영상자료원 편, 이효인 외, 한국영화사공부:1960~1979 , 도서출판 이채, 2004.

40.

한국영상자료원,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62~1964 , 공간과사람들, 2006.

41.

한국영상자료원,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65~1966 , 공간과사람들, 2007.

42.

한국영상자료원,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67 , 공간과사람들, 2008.

43.

Bruce Cummings,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vol.1),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1(김자동 역, 한국전쟁의 기원 , 일월서각, 1986).

44.

Tania Modleski edited, Studies in Entertainment:Critical Approaches to Mass Culture, A Midland Book, 1986.

45.

Terry Lovell, Pictures of Reality:Aesthetics, Politics and Pleasure, BFI, 1983.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