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A filmic adaptation of Cheong, Bi-seok novels and its periodic trend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1, v.0 no.26, pp.173-204
https://doi.org/10.18856/jpn.2011..26.006

Abstract

This article observes the nature of medium transition and the specificity of the time revealed in the process of the transition centering around the films based on Cheong,Bi-seok fiction works. 16 of his novels had been adapted to films and some of his works were remade several times. Thus the films based on his novels are 22 in tot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mic adaptation of Chung’s novel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he first case is the controversial film in modern sense created by the trend of the period which his novels hold along with the new generation of the Korean motion picture field at that time. Madame Freedom is the prototype. The Enemy of Woman, A woman’s War, The River of Temptation and A Sad Pastorale would be included in this category. Most of these works were for a director’s debut or their early works. The second case is the film followed the popular genre movies in that period. This tends to be divided again into the details:the first was for producing a conventional melodrama, and the second was for the case chosen to make the work of the Sinpatrend. In these cases, the various backgrounds of the novels were adjusted into the similar period when the films were produced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r melodramas and Sinpa films in those days were inserted. The ending with the suicide of the two main characters of 1966’s Wild Flower is the typical example of the variation. This article especially focuses on narrator's problem produced in the process of filmic adaption of novel and the relevance between gender issues and the changes of contemporary society and culture caused from the disputable works with modern sense. In the case of Madame Freedom, narrator’s presence prevalent in the novel was deleted. Therefore audiences would have more freely interpreted the work and had more generous attitude to the conduct, the desire and spending habits of a female antagonist, Oh Sun-young. In addition, the discussion on suggestive nature induced by films based on Chung’s novels raised generational conflicts on the tolerance for free love and sexual depictions that were very sensitive issues in those days.

keywords
정비석, <여성의 적>, <자유부인>, <여성전선>, <산유화>, <유혹의 강>, <그밤이 다시오면>, <사랑의 십자가>, <낭만열차>, <슬픈 목가>, <청춘의 윤리>, <번지없는 주막>, <산호의 문>, <고원>, 소설의 영화화, 매체변환, 1950년대, 욕망, 화자, 나레이터, 시점, Cheong, Bi-seok, <The Enemy of Woman>, <Madame Freedom>, <A Woman's War>, <The River of Temptation>, <When the Night Comes Again>, <A cross of love>, <The romantic train>, <A sad pastorale>, <The moral of youth>, <An Bar without Address>, <A Coral Door>, <A Plateau>, 1950s, A filmic adaptation of novel, Desire, Narrator, Point of view

Reference

1.

ꠓ청춘의 윤리ꠗ,

2.

『고원』,

3.

『장미의 계절』,

4.

『여성전선』,

5.

『번지없는 주막』,

6.

『자유부인』,

7.

『산유화』

8.

『여성의 적』,

9.

『낭만열차』,

10.

『슬픈 목가』,

11.

『유혹의 강』

12.

『사랑의 십자가』

13.

『산호의 문』

14.

<자유부인>(한형모, 1956),

15.

<산유화>(박종호, 1966),

16.

<고원>(1969, 이성구)

17.

<자유부인>(1954),

18.

<산유화>(1957),

19.

<그밤이 다시오면>(1958),

20.

<사랑의 십자가>(1959),

21.

<낭만열차>(1959),

22.

<슬픈 목가>(1960),

23.

<청춘의 윤리>(1960),

24.

<번지없는 주막>(1961),

25.

<산유화>(1966),

26.

<산호의 문>(1966),

27.

<자유부인>(1969),

28.

<고원>(1969)

29.

안미영, 「정비석 대중소설에 나타난 ‘윤리’ 고찰-ꠓ청춘의 윤리ꠗ, ꠓ애정무한ꠗ, ꠓ민주어족ꠗ, ꠓ에덴은 아직 멀다ꠗ를 중심으로」, ꠓ개신어문연구ꠗ 21호, 개신어문학회, 2004, 429-457쪽.

30.

오영숙, 『1950년대, 한국영화와 문화담론』, 소명출판, 2007.

31.

이선미, 「정비석 장편연애‧세태소설의 세계인식과 그 시대적 의미」, 이영미 외, 『정비석 탄생 100주년 기념 - 정비석의 문학세계와 위상, 대중적 소비와 메카니즘』, 2011년 하반기 대중서사학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2011, 65-82쪽.

32.

이영미, 「정비석 장편연애‧세태소설의 세계인식과 그 시대적 의미」, 이영미 외, 『정비석 탄생 100주년 기념 - 정비석의 문학세계와 위상, 대중적 소비와 메카니즘』, 2011년 하반기 대중서사학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2011, 3-24쪽.

33.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개정증보판』, 소도, 2004.

34.

이혜령, 「‘해방기’ 식민기억의 한 양상과 젠더」, ꠓ여성문학연구ꠗ 19호, 한국여성문학회, 2008, 233-266쪽.

35.

장욱진, 「1960년대 한국영화의 서술하는 목소리 보이스오버」, 한양대학교 박사 논문, 2011.

36.

주유신, 「한국영화와 근대성: <자유부인>에서 <안개>까지」, 주유신 외, 『한국영화와 근대성』, 소도, 2001, 13-46쪽.

37.

진선영, 「대중소설의 이데올로기와 미학- 정비석의 ꠓ자유부인ꠗ을 중심으로 」, ꠓ구보학보ꠗ 4호, 구보학회, 2008. 263-2931쪽.

38.

한국영상자료원 엮음,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45-1957』, 공간과 사람들, 2004.

39.

한국영상자료원 엮음,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58-1961』, 공간과 사람들, 2005.

40.

김규대, 「발전의 소지 개척 / 영화 <여성전선>에서」, 『조선일보』, 1957.3.9., 4면.

41.

김초문, 「[기자논단] <자유부인>, <피아골>, <유전의 애수>의 한국영화사적 위치 」, 『한국일보』, 1956.9.9, 1면.

42.

유두연, 「상반기 영화작품의 단평/ 한국영화의 위기(2)」, 『경향신문』, 1956.7.19, 4면.

43.

유두연, 「상반기 영화작품의 단평/ 한국영화의 위기(4)」, 『경향신문』, 1956.7.23, 4면.

44.

이봉래, 「근래의 쾌작/ 영화 <자유부인>」, 『한국일보』, 1956.6.7, 4면.

45.

정비석, 「원작과 영화 / <자유부인>에 대체로 만족」, 『한국일보』, 1956.6.14, 4면.

46.

허백년, 「한국영화사 10년사 다이제스트」, 『영화세계』 1960.10.

47.

황영빈, 「"에누리 없다"는 평을 평함 / 이씨가 본 <자유부인>에 대하여」, 『한국일보』, 1956.6.15, 4면.

48.

「신영화 소개: <여성의 적>」, 『경향신문』, 1956.10.1, 4면.

49.

「[스크린] 현대여성의 생태, <여성전선>」, 『경향신문』 1957.3.6, 4면.

50.

「과도기적 미비 / 작년도 우수 국산영화 심사 소감」, 『조선일보』, 1957.10.17, 4면.

51.

「키스 장면의 시비 / 영화 <자유부인>을 계기로/ 찬성론이 지배적」, 『동아일보』, 1956.6.10, 3면.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