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회상의 딜레마-한국 공포영화의 식민과거의 재현 -

Conundrums of Flashback- Korean Horror Films and Representation of Colonial Past -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1, v.0 no.26, pp.261-280
https://doi.org/10.18856/jpn.2011..26.009
안진수 (홍익대학교)

초록

이 논문은 식민역사의 문제를 사유하는 공포 장르 특유의 상상력과 문제제기를 다룬다. 한국의 공포영화에서 식민의 문제가 두드러진 소재였다고 주장하기는 어렵지만 몇몇 작품들은 역사적 시기로서의 일제시대를 바라보는 현재적 관점을 뚜렷이 보여준다. 이런 관점은 식민시기가 특정한 방식으로 구성되었음을 의미하는 동시에 특별히 강조되거나 은폐되는 것이 내포되어 있음을 뜻한다. 식민시기의 재현을 고찰하는 것은 식민과거와 현재의 연결고리가 어떤 이해관계를 바탕으로 형성되었는지를 되묻는 작업이 될 수밖에 없는데 이 맥락에서 공포영화는 과거와 현재의 다층적인 관계와 의미망이 환상적 존재인 괴물 혹은 귀신의 존재를 빌어 노골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는 점에서 각별하다. 이 논문은 선행연구들이 지적한 귀신의 모순적 시간성의 주제를 식민시기 재현의 문제와 결부시키려는 시도다. 1967년 작 <월하의 공동묘지>가 이 역사인식의 문제를 공식화하였고 2007년 작 <기담>에서 새로운 변주를 발견할 수 있는데, 역사의 잔여물로서의 귀신의 존재가 후-식민주체에게 어떤 의미를 체현하는지에 주목하고자 한다.

keywords
Korean horror film, colonialism, temporality, inter-ethnic romance, perversion, 식민역사, 공포영화, 귀신, 역사재현, 시간성, <월하의 공동묘지>, <기담>, Korean horror film, colonialism, temporality, inter-ethnic romance, perversion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questions of colonialism in two South Korean horror films: <Public Cemetery under the Moon> (Kwon Chulhui, 1967) and <Epitaph> (The Chung Brothers, 2007). As for <Public Cemetery,> I interrogate the peculiar transformation of the character of prologue from hideous beast-man to dandy pyonsa narrator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What is at stake here, I claim, is distinct historicist gambit, according to which the colonial legacy, defined in terms of popular culture, can be overcome and marginalized. Valorized as a new horror in Korean film scene, an omnibus horror film <Epitaph> features three related stories set in a modern hospital against the backdrop of the late colonial period. I focus on the episode of the male protagonist and illustrate how his episode addresses and articulates the larger themes of memory and amnesia, while showcasing his yearning for passive perversion. The inquiry includes notions of violence, suffering, and the “return,” all of which are often central to the spectral universe of horror genre. I approach the film as a key text that addresses and problematizes the thorny problems of colonialism through generic imagination of horror. In particular, I bring attention to the implications of the inter-ethnic romance and reconciliation, the two themes for which the film’s presentation of spectral terror is structured with significance.

keywords
Korean horror film, colonialism, temporality, inter-ethnic romance, perversion, 식민역사, 공포영화, 귀신, 역사재현, 시간성, <월하의 공동묘지>, <기담>, Korean horror film, colonialism, temporality, inter-ethnic romance, perversion

참고문헌

1.

김기영, <현해탄은 알고 있다>, 한국문예영화사, 1961.

2.

권철휘, <월하의 공동묘지>, 제일영화사, 1967.

3.

김현석, <YMCA 야구단>, 명필름, 2002.

4.

김지운, <장화, 홍련>, 마술피리, 영화사 봄, 2003.

5.

김용균, <분홍신>, 청년필름, 2005.

6.

윤종찬, <청연>, 코리아픽쳐스, 2005.

7.

정가형제(정범식, 정식), <기담>, 영화사 도로시, 2007.

8.

정용기, <원스 어폰 어 타임>, 윈엔터테인먼트, 2007.

9.

정지우, <모던 보이>, KnJ엔터테인먼트, 2008.

10.

하기호, <라듸오 데이즈>, 싸이더스FNH, 2008.

11.

박대민, <그림자 살인>, CJ 엔터테인먼트, 2009.

12.

김소영, 『근대성의 유령들 : 판타스틱 한국영화』, 씨앗을 뿌리는 사람, 2000.

13.

백문임, 『월하의 여곡성: 여귀로 읽는 한국공포 영화사』, 책세상, 2008.

14.

Bliss Cua Lim, Translating Time: Cinema, the Fantastic, and Temporal Critique, Durham and London: Duke University Press, 2009.

15.

Timothy Corrigan, A Cinema Without Walls: Movies and Culture After Vietnam, Rutgers University Press, 1991.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