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A Study of Inaction in Jung, Young Moon’s A World of Artificiality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3, v.0 no.30, pp.365-396
https://doi.org/10.18856/jpn.2013..30.011

Abstract

Novelist Young Moon Jung has tried to broaden the horizons of Korean literature during seventeen years since his debut. Before 2011 the year A World of Artificiality published, His novels has shown the quest for existence or the game of language. His writing of insignificance and uselessness, based on Kafka’s nihilism, faces the despair of the existence or confronts the meaninglessness of life. Therefore Jung’s novels have been understood as the contradiction, conflict and struggle between novelist and the world. His progress from the earlier work view and new generation lets him attract an attention. In A World of Artificiality which is the turning point work in his writing, the ideological expression of the inaction appears deeply. His writing, having been against artificiality and civilization, revolves from the human centrism to the nature centrism and ultimately returns to the original human nature. The Inaction appeared by protagonist in A World of Artificiality exposes innocence like a child. It is abstract as mist, flows like stream and is created with the face of the nature. He resists against the actual reality adopting ‘doing nothing but not doing nothing.’ He dreams the absolute freedom through ‘peripatetic enjoy.’ In A World of Artificiality, The human’s desire that makes him carry on the artificial life is sublimated to the pleasure. It becomes possible through protagonist’s imagination of self-renunciation and writing of pleasure. Jung floats and changes himself in A World of Artificiality. I analyze A World of Artificiality through Asian thought, especially Taoism. A World of Artificiality is the world of inaction and fiction. Jung’s writing becomes the best way that the people, being confronted with the life that is made by artificiality, could carry on his life with maintaining his nature.

keywords
무위, 정영문, 상상, 저항, 자유, 무의미, 소요유, 욕망, 뜬구름, 무용, 유희, 초월, 본성, 한국문학, inaction, Young Moon Jung, imagination, resistance, freedom, insignificance, peripatetic enjoy, desire, vapor, uselessness, pleasure, transcendence, nature, Korea Literature

Reference

1.

정영문, 겨우 존재하는 인간 , 세계사, 1997,

2.

정영문, 검은 이야기 사슬 , 문학과 지성사, 1998.

3.

정영문, 중얼거리다 , 이마고, 2002.

4.

정영문, 하품 , 작가정신, 2006.

5.

정영문, 바셀린 붓다 , 자음과 모음, 2010.

6.

정영문, 어떤 작위의 세계 , 문학과 지성사, 2011.

7.

정영문, 목신의 어떤 오후 , 문학동네, 2012

8.

김경수, 「작가 정영문의 새로운 소설 시도 : 자신만의 장르적 변별성, 확고한 개인문법」, 문학사상 341호, 문학사상사, 2001, 51-59쪽.

9.

김시천, 「역사에서 이야기로– 노자 장자 의 이야기론적 해석을 위한 시론」, 동서철학연구 제31호, 한국동서철학회, 2004, 187-210쪽.

10.

김시천, 「무위(無爲)의 네 가지 개념에 관하여」, 시대와 철학 제 30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5, 85-105쪽.

11.

김연경, 「다수의 소수적인 문학을 위하여 – 정영문, 어떤 작위의 세계 」, 세계의문학 제38권2호, 민음사, 2013, 363-381쪽.

12.

김윤식, 「우리에게 카프카란 과연 무엇인가 : 윤대녕·정영문·김연경 및 김동리에 부쳐 : 「당신의 자리」, 박정란 著/ 「이방에 살던 여자는 누구일까」, 윤성희 著 「書評」」, 문학동네 319호, 1999, 284-301쪽.

13.

김윤식, 「아, 서정인 : 오수연에서 정영문까지」, 문예중앙 제99호, 중앙일보사, 2002. 389-433쪽.

14.

김춘식, 「미완성의 시간과 권태, 탈주의 글쓰기」, 검은 이야기사슬 , 정영문, 문학과 지성사, 1998, 246-261쪽.

15.

김태환, 「미의 무의미」, 어떤 작위의 세계 , 정영문, 문학과 지성사, 2012, 271-294쪽.

16.

김형중, 「변전(變轉)하는 이항대립, 혹은 이상한 가역 반응 : 김연수·박성원·정영문의 소설에 대하여」, 문학동네 제28호, 문학동네, 2001, 454-472쪽.

17.

백지연, 「문학적 자의식의 두 형태 : 정찬과 정영문」, 문학판 제3호, 열림원, 2002, 302-312쪽.

18.

손정수, 「삶 이전, 혹은 죽음 이후의 세계」, 하품 , 정영문, 작가정신, 2006, 105-115.

19.

윤경수, 「노자의 무위자연관과 문학」, 현대문학 제245호, 현대문학, 1975, 230-249쪽.

20.

윤천근, 「도가와 유가의 행위론 –행위의 무위성과 유위성의 차이」, 동서철학연구 제57호, 한국동서철학회, 2010, 199-224쪽.

21.

이수형, 「반복과 차이에 대한 다섯 개의 주석 : 정영문론」, 문학동네 제31호, 문학동네, 2002, 166-182쪽.

22.

이종성, 「소요와 노님, 또는 걸림 없는 자유」, 동서철학연구 67호, 한국동서철학회, 2013, 31-55쪽.

23.

이준경, 「존재와 의식을 위한 반복과 변주의 수사학 : 정영문론」, 한국문학평론 , 제34호, 한국문학평론가협회, 2008, 316-335쪽.

24.

이찬훈, 「노자의 탈근대적 모티브」, 철학연구 제97집, 대한철학회, 2006, 285-313쪽.

25.

이택용, 「노자의 無爲에 대한 연구」, 동양철학연구 제72집, 동양철학연구회, 2012, 127-166쪽.

26.

한사유, 「그는 어디에도 없는 곳을 향해 간다 - 소설가 정영문을 만나다」, 쉼표, 마침표 , 국립국어원, 2012.8. (온라인 매체)

27.

함정임, 「소설, 어떤 무용(無用)의 세계」, 신동아 640호, 동아일보사, 2013.1, 580-583쪽.

28.

노자, 道德經과 왕필의 주 , 홍익출판사, 김학목 옮김, 2012.

29.

박이문, 노장사상 , 문학과 지성사, 2005.

30.

신동준, 장자 , 인간사랑, 2012.

31.

조현규, 왕필이 본 道德經 , 새문사, 2011.

32.

오강남, 장자 , 현암사, 1999.

33.

왕카이, 소요유 장자의 미학 , 신정근 외 옮김,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2,

34.

Janouch, G., 카프카와의 대화 , 편영수 역, 문학과 지성사, 2007.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