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소녀잡지의 등장과 순정만화의 장르확립 - 한국과 일본의 순정만화를 중심으로

The Rise of Girl's Magazines and the formation of a Genre called Sunjung Manhwa - Focusing Korean and Japanese Sunjung Manhwa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6, v.22 no.3, pp.247-277
https://doi.org/10.18856/jpn.2016.22.3.007
김소원 (상명대학교)

Abstract

Sunjung Manhwa is a comics which definitely distinguishes another ones. It was born under the name of Shojo Manga in Japan, and it developed in East Asia including Korea under the influence of Japan. Thus, Sunjung Manhwa got ratings for imitation of Japanese comics for a long time. Shojo Manga was received by readers a short time. Korean readers received Shojo Manga naturally and rapidly. I raise a question of whether this phenomenon is simplified as the influence of Japanese comics. This study starts from a question that Korean readers would have shared the features and sensibility of Shojo Manga. This article supplements preceding researches by this time, and considers relationships between Sunjung Manhwa and Shojo Manga by and large. I studies magazines which have been neglected in comics studies up to date. I analyses how girl's magazines represent a social aspect at that time. Furthermore, this paper examines how a unique sensibility of Sunjung Manhwa was formed as a result. This essay makes a comparison between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girl's magazines and their serial comics. In addition, it investigates popular sensibilities that Korean and Japanese readers share. Moreover, I analyses that these sensibilities influence later authors and their works, and illuminates the roles of girl's magazines in the process that Sunjung Manhwa and Shojo Manga were generalized.

keywords
Sunjung Manhwa, Manhwa, Shojo Manga, girl's comic, girl's magazine, 순정만화, 만화, 쇼죠망가, 소녀만화, 소녀잡지

참고문헌

1.

『여학생』

2.

『여고시대』

3.

『소녀시대』

4.

『少女の友』

5.

『少女倶楽部』

6.

김복순, 「소녀의 탄생과 반공주의 서사계보: 최정희의 '녹색의 문'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18호, 한국근대문학연구회, 2008, 203-234쪽.

7.

김소원, 「일본 소녀만화의 시각적 표현의 원류에 관한 고찰: 나카하라 준이치의 작품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18호,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0, 1-16쪽.

8.

김소원, 「초기 순정만화와 소녀만화의 스토리 형식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권 8호, 한국콘텐츠학회, 2015, 109-118쪽.

9.

김소원, 「엄희자의 등장과 한국 순정만화의 변화」, 『만화포럼 칸 2015』,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15, 133-141쪽.

10.

김양선, 「1960년대 여성의 문학『교양 형성의 세대적 특성」, 『현대문학이론연구』 제61집,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27-49쪽.

11.

나윤경, 「60~70년대 개발국가 시대의 학생잡지를 통해서 본 10대 여학생 주체형성과 관련한 담론분석」, 『한국민족운동사연구』 56호,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8, 323-374쪽.

12.

노수인, 「한국 순정만화와 일본 소녀만화의 관계 연구: 순정만화가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13.

박기준, 『박기준의 한국만화야사』, 부천만화정보센터, 2009.

14.

박기준, 『박기준의 세계 속 한국만화야사』, 한국만화영상진흥원, 2013.

15.

박인하, 『박인하의 순정만화 맛있게 읽기: 누가 캔디를 모함했나』, 살림, 2000.

16.

백정숙, 「소녀세계의 창을 연 엄희자」, 『한국만화의 선구자들』, 열화당, 1995.

17.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 『한국 교육사』, 교육과학사, 1997.

18.

서은영, 「‘순정’장르의 성립과 순정만화」, 『대중서사연구』 제21권 3호, 대중서사학회, 2015, 147-177쪽.

19.

손상익, 『한국만화통사 하』, 시공사, 1998.

20.

이윤희, 「한국 근대 여성잡지의 표지화를 통해 본 여성 이미지: 『신여성』과 『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1.

정미지, 「1960년대 ‘문학소녀’표상과 독서양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2.

최은경 「근대일본 소녀소설 연구: 『꽃 이야기(花物語)』의 에스 관계를 중심으로」, 『日本近代學硏究』 第50輯,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303-320쪽.

23.

한상정, 「순정만화라는 유령 -순정만화라는 장르의 역사와 감성만화의 정의」, 『대중서사연구』 제22권 2호, 대중서사학회, 2016, 297-325쪽.

24.

今田絵里香, 『「少女」の社会史』, 頸草書房, 2007.

25.

国際協力総合研究所, 『日本の教育経験』, 国際協力機構, 2003.

26.

夏目房之介, 『マンガはなぜ面白いのか: その表現と文法』, 日本放送出版協会, 1999.

27.

中野晴行, 『マンガ産業論』, 筑摩書房, 2004.

28.

中川裕美, 『少女雑誌に見る 「少女」像の変遷: マンガは「少女」をどのように描いたのか』, 出版メディアパル, 2013

29.

浜崎廣, 『女性誌の源流: 女の雑誌、かく生まれ、かく競い、かく死せり』, 出版ニュース社, 2004.

30.

本田和子, 『女学生の系譜』, 青土社, 1990.

31.

山中夕起子, 「蕗谷虹児、さまざまな 「抒情画」のかたち: パリ時代、アニメーション映画 『夢見童子』について」, 『Core Ethics』 Vol.5, 立命館大学大学院, 2009, 371-380쪽.

32.

米沢嘉博, 『戦後少女マンガ史』, ちくま文庫, 2007.

33.

渡部周子, 『<少女>象の誕生: 近代日本における「少女」規範の形成』, 新泉社, 2007.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