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영화 <다우트(Doubt)>의 서사 공간 분석

Spatial Analysis of the Movie Doubt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7, v.23 no.1, pp.165-195
https://doi.org/10.18856/jpn.2017.23.1.006
김중철 (안양대학교)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d the role and meaning of space in the movie Doubt. In this article, I considered how the characters’ actions and the flow of events interact with space and implement the message of this movie. The movie Doubt is relatively in terms of limited time and space, characters, and objects, but it generates tension and excitement. The narrative tension that characterizes the work is formed through the fierce and persistent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of the characters, and it is constructed by the space in this work and the meaning of the props that fill the space. The cathedral, the principal-saint room, and the classroom, which are the main spaces of the film, highlight the narrative existence of each of the three main characters. Other places, such as restaurants, access roads, and gardens,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ilm narrative. These spaces in this movie are imbued with meaning and elements like power, conflict, hierarchy, and discipline. The development of the narrative of the movie Doubt is a spatial composition and arrangem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tory, the frequency, rhythm and order of the appearance of specific places, such as the church chapel, the principal-saint room, restaurant, and garden is very effective. The narrative of the movie Doubt is constructed through the symmetrical, cross-over arrangement and composition of space and objects.

keywords
영화 <다우트>, 서사, 공간, 성당, 편견, 권력, 의심과 확신, 보수와 개혁, Doubt, narrative, space, catholic church, prejudice, power, doubt and assurance, conservatism and renovation

참고문헌

1.

존 패트릭 셰인리 감독, 영화 <다우트(Doubt)>, Miramax 제작, 2008.

2.

고은애, 「영화 <건축학개론>의 장소성과 공간 서사」, 인하대 석사학위논문, 2014.

3.

류상욱, 『류상욱의 익스트림 시네다이어리』, 이숲, 2012.

4.

박우영, 「한국 사회 내 교회 공간 읽기와 공간 구조 균열 만들기」, 『기독교사회윤리』 27집,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3, 237-274쪽.

5.

서정남, 『영화 서사학』, 생각의 나무, 2004.

6.

송명희, 「이상화 시의 장소와 장소상실」, 『한국시학연구』 23호, 한국시학회, 2008, 219-242쪽.

7.

영상문화학회, 『이미지는 어떻게 살고 있는가』, 생각의 나무, 1999.

8.

이진경,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그린비, 2010.

9.

이형식, 「섹스, 거짓말, 그리고 교육: Oleanna와 Doubt」, 『현대영미드라마』 24권 2호, 현대영미드라마학회, 2011, 219-244쪽.

10.

조명래, 『공간으로 사회 읽기』, 한울아카데미, 2014.

11.

조재현, 『공간에게 말을 걸다』, 멘토플레스, 2009.

12.

지은영, 「의혹과 확신의 배경은 무엇인가- 다우트」, 『월간 신문예』, 도서출판 책나라, 2007.

13.

니콜라스 디폰조, 『루머사회』, 곽윤정 역, 흐름출판, 2012.

14.

대니얼 카너먼, 『생각에 관한 생각』, 이진원 역, 김영사, 2012.

15.

롤랑 부르뇌프‧ 레알 월레, 『현대소설론』, 김화영 역, 현대문학, 1996.

16.

안톤 지더벨트·피터 L. 버거, 『의심에 대한 옹호』, 함규진 역, 산책자, 2010.

17.

에드워드 펄프, 『장소와 장소상실』, 김덕현·김현주·심승희 역, 논형, 2005.

18.

캐스 선스타인, 『루머』, 이기동 역, 프리뷰, 2009.

19.

http://differenttastes.tistory.com/1190 (최종검색일: 2016.5.25.)

20.

http://blog.daum.net/bambi7777/16139088 (최종검색일: 2016.10.4)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