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The Origin of the Era of Gendered Criticism and its Complaint―From “A Bunye Story” to “A Strange Land”, the Shift of Workplace and the Construction of “Laborer-Masculinity”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8, v.24 no.3, pp.322-351
https://doi.org/10.18856/jpn.2018.24.3.010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is article aimed to look into the representative objects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70s when the era of criticism opened. I have reviewed the representation framework of Korean literature and its critique from a gender perspective. How do we find missing point and excluded spaces in literary criticism based on the gender perspective? A Reading literature from a gender perspective is not about studying female characters or looking at female novelists’ viewpoints. It means examining the gendered nature in the expressed reality. Accordingly, I examined the horizon of critical discourse, focusing on novels that were selected or discussed as representative works by critics around the 1970s. Concretely, I reviewed of Bang Young-woong’s novel titled “A Bunye story” and Hwang Seok-yeong’s novel titled “A strange land” from a gender perspectiv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apture the hidden points by the representation framework of Korean literature an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new understanding of the representation framework itself.

keywords
the era of criticism, gender, collective emotion, indecency, soundness, Bang Young-woong, “A Bunye Story”, Hwang Seok-young, “A Strange Land”, 비평 시대, 젠더, 감정, 외설성, 건강성, 방영웅, 분례기, 황석영, 객지

Reference

1.

문학과지성 ,

2.

창작과비평

3.

방영웅, 「분례기」, 창작과비평 6·7·8, 1967년 여름·가을·겨울호.

4.

방영웅, 분례기 , 홍익출판사, 1968.

5.

방영웅, 살아가는 이야기 , 창작과비평사, 1974.

6.

방영웅, 분례기 , 창작과비평사, 1997.

7.

황석영, 「객지」, 창작과비평 20, 1971년 봄호.

8.

황석영, 객지 , 창작과비평사, 1974.

9.

황석영, 객지 , 창작과비평사, 2000.

10.

강인순, 「이효재와 분단시대의 사회학」, 한국사회학 50-4, 한국사회학회, 2016, 1-25쪽.

11.

권명아, 「소년범, 작가, 음란범」, 음란과 혁명 , 책세상, 2013.

12.

권보드래, 「4월의 문학혁명, 근대화론과의 대결—이청준과 방영웅, 산문시대 에서 창작과비평 까지」, 한국문학연구 39,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0, 269-312쪽.

13.

김건우, 「국학, 국문학, 국사학과 세계사적 보편성-1970년대 비평의 한 기원」, 한국현대문학연구 36, 한국현대문학회, 2012, 525-545쪽.

14.

김성환, 「1960-70년대 계간지의 형성과정과 특성 연구」, 한국현대문학연구 30, 한국현대문학회, 2010, 405-441쪽.

15.

김우영, 「초기 창작과비평 과 분례기 의 의미」, 한국현대문학연구 49, 한국현대문학회, 2016, 379-404쪽.

16.

박수현, 「‘우리’를 상상하는 몇 가지 방식-1970년대 소설과 집단주의」, 우리문학연구 42, 2014, 223-260쪽.

17.

소영현, 「중심/주변의 위상학과 한반도라는 로컬리티」, 현대문학의연구 56,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7-35쪽.

18.

소영현, 올빼미의 숲 , 문학과지성사, 2017.

19.

손유경, 「현장과 육체」, 현대문학의연구 56,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37-70쪽.

20.

송은영, 「 문학과지성 의 초기 행보와 민족주의 비판」, 상허학보 43, 상허학회, 2015, 11-46쪽.

21.

오혜진, 「퇴행의 시대와 ‘K문학/비평’의 종말」, 문화과학 85, 2016년 봄호, 83-105쪽.

22.

이효재, 여성과 사회 , 정우사, 1979.

23.

이효재, 「한국 가부장제와 여성」, 여성과사회 7, 한국여성연구소, 1996, 160-176쪽.

24.

이효재 엮음, 여성해방의 이론과 현실 , 창작과비평사, 1979.

25.

정지영, 「조선후기 첩과 가족질서—가부장제와 여성의 위계」, 사회와역사 61, 한국사회사학회, 2004, 6-42쪽.

26.

조연정, 「세속화하는 지성— 문학과지성 의 지성 담론에 대한 재고」, 한국현대문학연구 45, 한국현대문학회, 2015, 313-354쪽.

27.

최기숙·소영현 외, 집합감성의 계보 , 앨피, 2017.

28.

허 윤, 「냉전 아시아적 질서와 1950년대 한국의 여성혐오」, 역사문제연구 35, 역사문제연구소, 2016, 79-115쪽.

29.

게일 루빈, 일탈 , 신해수·임옥희·조혜영·허윤 옮김, 현실문화, 2015.

30.

윌리엄 M. 레디, 감정의 항해—감정 이론, 감정사, 프랑스혁명 , 김학이 옮김, 문학과지성사, 2016.

31.

쥴리엣 미첼, 여성의 지위 , 이형랑·김상희 옮김, 동녘, 1984.

대중서사연구